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V media star conformity and Information source by the Types of fashion involvement

패션관여도에 따른 TV미디어 스타 동조성과 정보원 연구

  • Ha, Jong-Kyung (Dept. of Fashion Design, Tongmyong University) ;
  • Kim, Ju-Hee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ategorize the fashion involvement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types of fashion involvement to the conformity to TV media stars and information sour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 test, cluster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ashion involvemen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pleasure, fashionableness, symbolism, and availability. The conformity to TV media stars was categorized into fashion conformity, star imitation, interests in TV programs, and interests in stars. Information source was divided into mass media, product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formity to media stars and information source by the different types of fashion involvement. 3. The result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formity to TV media stars and information sourc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of the factors.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진병호(1995), 상설할인매장 애고 소비자의 구매성향, 상점속성중요도 및 정보원 이용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1), 104-114.
  2. 김선희(1994), 소비자 관여에 따른 패션광고의 태도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의 표현형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지현, 홍금희(2000), 남성집단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4. 류은정(1991), 의복관여도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신민경(1991), 패션광고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경렬, 김상훈, 조민희(2001), 텔레비젼 의상협찬의 광고효과에 관한 소비자 마케터간의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7. 이영선(2000), 의복중요성 지각과 의복관여: 가치, 유행의사 선도력 및 쇼핑행동과 관련지어. 한국의류학회지, 24(4), 549-559.
  8. 이운현(1997), 의복관여도에 따른 신세대 의복 선택요인과 정보탐색활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임경복(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706-715.
  10. 전경숙(2002), 의복관여와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 여자 중고생 중심으로. 복식학회지, 52(4), 75-85.
  11. 정미실(1987), 경주시 남녀대학생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12. 정희진(1998), TV프로그램에 나타나는 연예인의 의복연출이 대학생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아란(1987), 유행몰입도에 따른 소비자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채윤희(2002),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패션학과 석사학위논문.
  15. 홍혜은(1999), 청소년의 TV미디어스타에 대한 의복동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 시내 여자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Herbert E. Krugman (1965)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Learning. without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29, Fall, 349-356. https://doi.org/10.1086/267335

Cited by

  1. A Study on Fashion Leadership of Clothing and Make-up, Information Sources, and Ongoing Information Search vol.17, pp.1,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3.17.1.157
  2.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SNS, relationship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Facebook - vol.22, pp.5, 2014, https://doi.org/10.7741/rjcc.2014.22.5.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