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Surface Damage Possibility on Strip Roads

작업로 노면의 피해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 Ji, Byoung-Yu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ung, Do-Hyu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Forest Research Institute) ;
  • Oh, Jae-Heu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a, Du-Song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지병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정도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오재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차두송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Received : 2008.10.13
  • Accepted : 2008.11.13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forest road when locating strip roads in the future for stability of timberland after afforestation by assess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amage on the forest road surface and making appropriate constructing standards.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damage to the strip road surface were location, longitudinal gradients, soil types, cross-section shape in order of influence on damage. it is considered that structural road factors like longitudinal gradients, road width, location factors such as construction location, slope gradients and road material like soil types were greatly related to occurrence of road surface damage. Damage occurrences in the forest road were severe at the valley, longitudinal gradients of over 24%, weathered granite soil, concave of road position, road width of over 3.0 m. stability was high at longitudinal gradients of 4~24%, road width of under 3.0 m, ridge of road position, straight slope, soil materials. The evaluation table of damage possibility on forest road was manufactured by discriminant analysis using Quantification theory(I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criminant ratios was 79.4% and this table was available for forest manager.

본 연구는 숲가꾸기 작업을 위하여 개설된 작업로를 대상으로 노면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여 작업로 노면의 피해예방을 위한 적정 시설기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작업로 노면피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인은 시설위치, 종단기울기, 겉보기토질, 산지사면형상, 노폭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단기울기, 노폭 등 도로 구조적인 요인과 시설위치, 산지사면형상 등 입지적 요인 그리고 겉보기 토질과 같은 도로 구성물질이 노면 피해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로의 피해발생은 계곡부, 종단기울기 24%이상, 마사토 토질, 요형사면, 노폭 3.0 m이상에서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은 능선부, 종단기울기 4~24%, 토사지역, 직선형(-)사면, 노폭 3.0 m이하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화II류의 판별식의 판별적중률은 79.4%로 상당히 양호한 값으로 나타나 작업로 노면의 양부판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호. 1987. 임도구조 및 입지요인이 임도의 노면침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39pp.
  2. 김기원. 2002. 신속한 배수와 토공절약을 위한 외향경사임도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1(1): 128-141.
  3. 김종윤, 이해주, 이봉수, 오세원. 1990. 수량화에 의한 임도 피해원인 분석. 임업연구원연구보고 41: 36-62.
  4. 김종윤. 1987. 임도노면 피해에 미치는 구조인자의 한계규격 추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pp.
  5. 이해주, 지병윤, 정도현, 김종윤, 차두송. 2000. 임도 옆도랑의 침식요인 평가와 안정성 판별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9(3): 379-404.
  6. 차두송, 지병윤. 1999. 수량화II류에 의한 임도 성토사면의 붕괴요인 평가 및 예측. 한국임학회지 88(2): 168-169.
  7. 古谷士郞, 藤井禧雄, 酒井撤郞, 佐佐木功. 1982. 林道の路面浸蝕について(III). 路面の流出解析. 日林論 93: 545-546.
  8. 近藤惠市, 神谷信按. 1995. 赤石山地南部における林道災害危險個所の要因分析. 森林利用學會誌 10(3): 205-212.
  9. 近藤惠市. 1994. 溪流橫斷部における林道災害の硏究. 靜岡大學農學部演習林報告 18: 45-75.
  10. 吉村哲彦, 赤羽 元, 宮崎裕之, 神崎康一. 1996. Fuzzy積分による林道のり面の崩壞危險度判定法. 森林利用學會誌 11(3): 165-172.
  11. 吉村哲彦, 赤羽 元, 神崎康一. 1995. Fuzzy理論を用いた林道のり面の崩壞危險度判定法. 森林利用學會誌 10(3): 195-204.
  12. 峰松浩彦, 南方康. 1982. 橫斷排水溝の間隔に 關する硏究. 日林誌. 64: 193-197.
  13. 中尾博美. 1980. 林道の構造と路面侵食について. 日林論 91: 455-456.
  14. Demir, M., Makineci, E. and Gungor, B.S. 2008. Plant Species Recovery on a Compacted Skid Road. Sensors (8): 3123-3133.
  15. Keller, G. and Sherar. J. 2003. Low-Volume Roads Engineer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Field Guide-. USDA Forest Service. 158pp.
  16. Kochenderfer, J.N. 1970. Erosion control on logging roads in the Applanchians. USDA For. Serv. Res. Pap. NE-158. 28pp.
  17. Packer. P.E. 1967. Criteria for designing and locating forest roads to control sediment. For. Sci. 13: 2-18.
  18. Pestal, E. 1975. The routing and the use of forest roads in the mountains: 23-30, Technical report of FAO/Austria Trainning Course on Forest Roads and Wood Harvesting in Mountainous Forests, F. A. O: 313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