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행정자료 분석을 통한 공원관리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월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alysis of Administration Data1a - In the Case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 Kim, Dong-P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 Jae-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Baek, Jae-B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2.28

초록

본 연구는 월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1992년과 2004의 12년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주요 관리체계 항목인 관리목표, 주요 공원관리사업, 토지이용, 관리인원 및 조직, 탐방객 현황, 예산 등을 행정자료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서, 국립공원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공원관리사업은 유지를 위한 공원시설의 단순 관리나 단속의 수준을 벗어나 탐방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로 발전하고 있었다. 공원내 토지이용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중심적인 보전지구인 자연보존지구가 대폭 확대되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인원 및 조직에 있어 관리업무나 이용객의 확대에 비해 조직 및 인원의 증가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자의 업무량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출예산의 집행은 인력에 지출되는 비용이 68.2%로 매우 높게 나타나 인력에 의한 관리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ults as basic data of National Park management-policy by surveying and analyzing management goals, management missions, land zoning, numeral of visitors, management organization, management staff and revenue and Expenditure budget of 1992 and 2004 those are main factors to know the management system well. The main management missions was found not only to put value on developing nature program but also to prepare for keeping and renewing of nature resources. The change of zoning land was researched to be controlled and nature preservation area was showed to be enlarged. While management missions and visitors have been increased, there weren't raise of organization and staffs at all. And expenditure budget had management formation by manpower. Although there are progressive changes in park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period, several improvements are needed in details. They are as follows; To be sustainable preservation and usage which are the intrinsic roles of National Park by increasing the government investment than own revenu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순, 김진영, 박경(2005)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 립공원과 오대산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50-161
  2.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관리사무소(1992) 업무현황. 1-38
  3.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관리사무소(2004a) 업무보고. 1-25
  4.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관리사무소(2004b) 일반회계예산서
  5. 국립공원관리공단 월악산관리사무소(2003) 2005월악산국립공원 관리계획(안). 1-49
  6. 김동필, 이기철(1996) 도시공원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4): 1-11
  7. 김동필, 조우, 유기준(2006) 월출산 탐방객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분석. 환국환경생태학회지 20(2): 153-158
  8. 박청인(2005) 혼잡지각의 규범적 접근에 의한 사회적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1): 10-18
  9. 배중남(2004) 한일 국립공원 관리체계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446-455
  10. 백재봉, 김동필(2003) 국립공원에 있어서 관리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원휴양학회지 5(2): 107-115
  11. 송병화, 양병이, 이관규(2006) 기대-성과 불일치 분석을 통한 북한 산 국립공원 탐방객의 시설물 이용만족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2): 44-56
  12. 유기준(2006) 해안형 국립공원에서의 휴양경험의 영향요소와 휴양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 20-28
  13. 이덕재(2006) 국립공원 선호의 문화권간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4): 482-492
  14. 조우, 유기준, 김동필(2006) 월출산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탐방객 태도. 환경환경생태학회지 20(2): 143-152
  15. 최송현, 오구균, 조현서, 강현미(2005) 월악산 국립공원 탐방로의 주 연부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06-110
  16. 최태영, 박종화(2005)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 보호구역 설정기법 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6): 23-35
  17. 환경부.국립공원관리공단(2002) 공원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pp. 92
  18. 環境省阿自然環境局 九州地區自然保護事務所(2001) 阿蘇 國立 公園 阿蘇地域管理計劃書
  19. Sharpe G. W., Odegaard C. H., Sharpe W. F.(1983) Park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U.S.A., 19-27pp
  20. Sternloff R. E., Warren R.(1984) Park and Recreation Maintenance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9-10
  21. Robert Sullivan(editor)(2003) Our National Parks-Celebrating America's Natural Splendor, Life Magazine; Time Inc.,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