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Reproducibility and Repeatability for Color Vision Test

색각검사법의 재현성 및 반복성평가

  • Joo, Seok-He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eabul University) ;
  • Lee, Eun-Hee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주석희 (대불대학교 안경광학과) ;
  • 이은희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Received : 2008.10.21
  • Accepted : 2008.12.09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Purpose: To assess the reproducibility and repeatability for each color vision test method. Methods: The subjects for color vision test were 30 students without congenital color vision deficiency and they major in optometry in a university, Korea. The type of color vision test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Hans color vision test, Hans 15 hue test and Lanthony D 15 hue test. The Ishihara test was added for assessment of reliability of inter-tester. Results: All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rmal at pseudoisochromatic plates, but one subject's result showed mild blue-yellow color deficiency at Hue discrimination. Results of 3 repeated test for subjects and inter-tester examination showed no errors at pseudoisochromatic plates. There were differences in mild errors among repeated test at Hue discrimination,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repeated test to classify color vision deficiency. Conclusion: Each tester had better be more skilled to test even simple color vision test for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mild errors. Each subject might just as well be careful in color vision test. It is required to test both method of pseudoisochromatic plates and Hue discrimination in screening test.

목적: 본 연구는 색각검사법의 반복측정에 따른 결과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선천성 색각이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개 대학교 안경광학과 학생 30명이었다. 색각이상검사 종류는 한식색각검사와 Hans 15 hue 검사 그리고 Lanthony D 15 hue 검사를 선택하였고, 3명의 검사자를 비교하기 위한 검사에서는 이시하라검사도 추가하였다. 결과: 가성동색표에서는 모두 정상으로 분류되어졌으나, 색분별법에서는 1명이 약한청황색각이상을 보였다. 가성동색표는 3번의 측정 및 검사자간 결과값이 일치하였으며, 색분별법 반복 측정에서 경미한 오류들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색각이상자의 분류에 있어서는 반복측정에 따른 결과값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각 검사자는 비교적 간단한 색각검사라도 좀더 숙련된 기술로 피험자를 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험 자 역시 세 번의 측정으로 인한 경험에 의존하여 색각검사를 하기보다는 매 검사는 신중을 기해야 함이 요구되어 진다. 선별검사에서는 두 가지 검사의 병행이 요구되어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