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saurus Construction at University Archives: Case Study of Myongji University Archives Center

대학기록관 시소러스 구축 지침의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이해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이미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이은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이혁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이현정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최영실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박미자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
  • Received : 2008.05.22
  • Accepted : 2008.06.20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Some issues and solutions considered for the various situations that we fac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guidelines of thesaurus construction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re were many proper names and proper nouns among the terms considered in the process. The thesaurus needed to include a function of an authority file. Preferred terms were selected based on what the university's official records would use. The scope of the proper names for inclusion was the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in the university and the people who were the subject of the materials. However, when the system allows synthesized retrieval of the field of creator and donor, inclusion of too many names were considered unnecessary.

이 논문에서는 대학기록관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통제하여 검색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소러스 구축을 위한 지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중요한 이슈 및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대학 기록관 기록물 정리과정에서 도출된 용어들은 고유명사가 많아 시소러스는 전거파일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개발되어야 했다. 대학의 공식문서에 자주 나타나는 용어를 우선어로 제시하였다. 또한 포함될 인명의 범위는 주요 보직자 및 주제가 된 개인들로 하되, 작성자 및 기증자들의 필드 통합 검색이 가능하면 지나친 범주의 포함은 불필요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