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전나무숲 식생구조 분석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김지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최진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발행 : 2008.04.30

초록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일주문에서 금강교 사이에 분포하는 전나무 숲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대상지내 흉고직경(DBH) 20cm이상 전나무는 총 977주이었으며, 2006년 조사당시 생육이 불량하거나 고사한 수목은 96주로 전체의 9.8%이었다. 전나무 수령은 $41\sim135$년(DBH $11\sim82cm$)이었으며, DBH 100cm이상 대경목은 8주이었고 가장 큰 전나무는 DBH 175cm, 수고 31m이었다. 전나무 밀도는 $400m^2(20\times20m)$당 6.1개체이었으며, DBH $20\sim70cm$까지의 개체가 $400m^2$당 5.1개체로 가장 많았다. TWINSPAN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소나무전나무군집은 전나무군집으로 변화가 예상되었으며 나머지 3개 군집은 전나무 군집으로써 피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수와의 경쟁이 예상되었다.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 주변 전나무 숲은 지속 가능한 문화경관관광자원으로서 가치가 높기 때문에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전체 전나무 중 생육불량 수목과 고사목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나무 숲 내 아교목층 또는 관목층에 출현하는 피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수는 전나무와 지속적으로 경쟁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제거 등의 적극적 관리를 해야 하며, 발아 후 초기 생장이 매우 느려 주변 수목에 의한 피압 우려가 있는 전나무 치수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was aimed at looking into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distributed between Iljumun of Woljeong Temple and Keumgang bridge in Odaesan National Park. It was found that existed a total of 977 tree of Abies holophylla which are more than 20cm in DBH within the target site, and in 2006 when the survey was made, the number of fallen trees and poor growth trees was about 96, accounting for 9.8% of all. The age of Abies holophylla ranged from 41 years to 135 years($11\sim82cm$ in DBH). The number of Abies holophylla over 100cm in DBH was 8 and the largest Abies holophylla was 175cm in DBH and 31m in height. Its density was 5.9 individuals per $400m^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using the TWINSP AN classification, Abies holophylla was divided into four community types. Firstly, Pinus densiflora-Abies holophylla community was predicted to vary into Abies holophylla community. In case of other three other communities, Abies holophylla communities were predicted to compete with deciduous broadleaf trees, such as Tilia amurensis and Acer pictum subsp. mono. Abies holophylla forest adjacent to Woljeong Temple of Odaesan National Park has a high value as sustainable resources for culture, landscape and tourism. Thu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ason for the incidence of poor growth trees and fallen trees among all trees of Abies holophylla and take counter-measures against it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bies holophylla forest. In addition, a more aggressive managrment like getting rid of the deciduous broadleaf trees, such as Tilia amurensis and Acer pictum subsp. mono, which appear mostly on understory layer or shrub layer within Abies holophylla, and continuous management is also needed for the young trees of Abies holophylla which are feared to be pressurized outside from their neighboring trees because their initial growth after germination is very slow.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오대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738쪽
  2.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3. 김소영(2006) 오대산 국립공원 내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의 식생구조와 주요 목본의 공간분포. 강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석사학위논문, 60쪽
  4. 김정언(1987)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내장산 삼림식생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5쪽
  5. 김지홍(1992) 추이행렬 모델에 의한 오대산 활엽수-젓나무속 혼효림의 천이 경향 분석. 한국임학회지 81(4): 325-336
  6. 김창호, 임경빈(1996) 오대산 전나무림의 분포형식. 동국논총 자연과학편 35: 135-146
  7. 남성열(2001) 오대산국립공원 월정사지역 전나무림의 환경 및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석사학위논문, 28쪽
  8. 문화재관리국(1972) 울릉도 종합학술조사보고서.오대산 및 소금강 종합학술예비조사보고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202쪽
  9. 박봉규(1972) 오대산의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원 논총 9: 9-19
  10. 박인협, 류석봉, 김례화(1996) 오대산 국립공원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환경생태학회지 9(2): 126-132
  11. 변두원, 이호준, 김창호(1998) 오대산 산림식생의 패턴과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21(3): 283-290
  12. 송호경(1989) 계룡산 삼림군집형과 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3: 19-58
  13. 오구균, 권태호(1996) 오대산 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 구조. 환경생태학회지 9(2): 202-210
  14. 월정사(미상). 오대산-월정사.상원사-. 140쪽
  15. 유재은, 이정호, 권기원(2003) 속리산과 오대산의 해발고에 따른 산림군락 구조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5(4): 238-246
  16. 이 선(2000) 오대산의 산림식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II) -동대산 식물군락의 입지특성-. 한국임학회지 89(5): 552-563
  17.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6a) 오대산 국립공원 소나무림의 식물군집 구조. 환경생태학회지 9(2): 115-125
  18. 이경재, 조재창, 최영철(1996b)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비로봉지역 노령임분의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66-181
  19. 이경재, 최송현, 강현경(1996c) 오대산 국립공원 진고개 Eco-bridge 식재계획. 환경생태학회지 9(2): 221-231
  20. 임경빈 등(1985) 조림학원론. 향문사, 491쪽
  21. 임경빈 등(1991) 조림학본론. 향문사, 340쪽
  22. 임목육종연구소(1997) 임목육종연구보고서. 임목육종연구소, 475쪽
  23. 임양재, 백순달(1985) 설악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190쪽
  24. 정태성(1996)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전나무의 임분 특성, 생장양상 및 천연 갱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석사학위논문, 40쪽
  25. 최송현, 권전오, 민성환(1996) 오대산 국립공원 노인봉지역 식물군집구조분석. 환경생태학회지 9(2): 156-165
  26. 홍경락, 최영철, 강범용, 홍용표(2001) 오대산 전나무림의 숲틈에서 발생된 전나무 치수들의 공간적 유전구조. 한국임학회지 90(4): 565-572
  27. Cox, T. F. and T. Lewis(1976) A conditioned distance ratio method for analyzing spatial patterns. Bilmetrik 63: 483-491
  28. Curtis, J. T. and R. P. Ma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9. Hill, M. O.(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99pp.
  30. Pielou, E. 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
  31. Whittaker, R. 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aphs 26(1): 1-80 https://doi.org/10.2307/1943577
  32. Whittaker, R. H.(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 Rev. 42: 207-264 https://doi.org/10.1111/j.1469-185X.1967.tb0141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