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s of Primary Productivity Analyzed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in the Beopsu Marsh, Haman-gun,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늪에서 엽록소 형광광도계(Phyto-PAM)에 의한 일차생산의 계절변동

  • Kim, Mi-Kyung (Marine Science Research Center,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Yeungnam University)
  • 김미경 (영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해양과학연구센터)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he seasonal variations of primary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as well as classical methods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s and chlorophyll ${\alpha}$) in the Beopsu Marsh, Haman-gun, Gyeongsangnam-do. The amounts of turbidity, SS, T-N, T-P, BOD, COD, Ca$^{2+}$ and Cl$^-$ were the highest at the station 3, where located in flowout site of wastewater treated by the filtration plants. The water quality was the third level by the standard of BOD and COD. The amount of chlorophyll a (268.8 mg L$^{-1}$) was the highest at the station 2 in April because the cell density (2,677 cells mL$^{-1}$) of Micractinium pusillum increased suddenly from February (180 cells mL$^{-1}$). The patterns of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were fallen in with those of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of phyto-planktons. The primary production was varied according to stations and seasons. The water environments of the Beopsu Marsh as a natural mounument should be under the control of a regular examination in order to preserve the eco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법수늪 유역 내에 유입되는 비점오염원과 늪지의 유입부의 점오염원 예측지역을 선정하여 수환경의 계절적 변화와 형광광도계(phyto-PAM)에 의한 1차 생산력을 분석하여 늪지 생태계의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했다. 조사 시기는 2006년 2월, 4월, 8월과 11월에 각각 1회 정점 1$\sim$5의 수 표면에서 수심 1m사이의 수역에서 채수하고, 법수늪 유역 5개 지점, 늪 중앙을 1개 지점으로 하여 정점을 설정하였다. 특히, 생활하수와 오수정화시설에서 방류되는 하수로가 늪 안으로 유입되는 정점을 각각 2와 3으로 정하고, 인근의 청소년 수련원과 민가의 생활오수 등으로 유입되는 하수로 지점을 정점 4로 정하였는데 정점 3은 용존산소(1.39 mg L$^{-1}$)가 낮았고, 탁도, SS, T-N, T-P, BOD, COD, $Ca^{2+},\;Cl^-$가 장 높게 나타나 정점 6곳 중에 가장 오염원이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BOD와 COD를 기준으로 했을 때 법수늪의 수질은 전반적으로 3급수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본다. 엽록소 ${\alpha}$의 농도는 4월에는 정점 2와 3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정점 2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258.75 mg L$^{-1}$, 61.32 mg L$^{-1}$). 이는 4월에 정점 2에서 녹조류(Micratinium pusillum)가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식물플랑크톤의 2월에서 4월로 정점 2(180$\rightarrow$2,677 cells mL$^{-1}$)와 5(700$\rightarrow$6,590 cells mL$^{-1}$)에서 세포밀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phyto-PAM에 의한 연중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도는 엽록소 a의 농도,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높은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동희. 2006. 한국의 습지지형 연구성과와 과제. 한국지형학회지. 13:25-34
  2. 김귀곤. 2001. 내륙습지의 유형별 평가기법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5
  3. 김미경, 박정원, 이영옥, 2003. 남매지의 수환경요인과 식물 플랑크톤의 계절적인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6:48-56
  4. 김미경. 2004. 운문댐의 조류발생 원인 및 예방대책. 경북지 역환경기술개발센터. 60pp
  5. 김미경. 2005. 영천댐의 조류발생원인 및 예방대책. 경북지 역환경기술개발센터. 57pp.
  6. 김미경, 김영환. 1991. 일반조류학. 아카데미 서적. 229pp
  7. 김범철, 김재옥, 전만식, 황순진. 1999a. 소양호 동∙식물플랑 크톤의 계절 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2:127-134
  8. 김범철, 전만식, 정근, 정연숙, 황길순. 1999b. 농촌배수처리용 습지의 생물상 및 유기물 제거율. 환경생물. 17:407-414
  9. 김범철, 전만식, 황길순, 김호섭. 2000. 습지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 한국육수학회지. 33:295-303
  10. 김성봉, 신효중. 2006. 복원비용을 통한 습지의 가치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8:83-92
  11. 김종흥, 이도진. 2002. 호소생물학의 생태학. (주)북스힐. 231 pp.
  12. 윤춘경, 장재호, 정광욱, 함종화. 2004. 습지-연못 연계시스템 에 의한 수질개선과 농업적 재이용 타당성 분석. 육수지. 37:344-354
  13. 송인주, 구정은. 2006. 습지보전과 개발의 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 한국습지학회지. 8:5-13
  14. 이진환, 정승원, 김종만. 2004. 통영해역에서 일차 생산량의 비교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엽록소-a 및 탄소량을 중심 으로. 2004년 한국조류학회 Proceedings
  15. 함안군. 2006. 함안군 법수면 늪지식물 보호관리학술조사. 181 pp.
  16. 환경부. 2001, 2002.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질날늪, 법 수늪, 석교천습지). 215 pp.
  17. 환경부. 2003a.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청미천습지, 바 위늪구비, 방축골습지. 1-543
  18. 환경부. 2003b.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해평습지, 검압습지. 1-429
  19. 환경부. 2005a.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섬진강(송전습 지). UNDP/GEF 국가습지 보전사업관리단. 1-214
  20. 환경부. 2005b.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제주도, 동백동 산, 용수저수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1- 261
  21.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Eaton AD, LS Clesceri and AE Greenberg eds.). Baltimore, 10:157 pp.
  22. Beutler M, KH Wiltshire, B Meyer, C Moldaenke, C Luring, M Meyerhofer, UP Hansen and H Dau. 2002. A fluorometric method for the differentiation of algal populations in vivo and in situ. Photosynth. Res. 72:39-53 https://doi.org/10.1023/A:1016026607048
  23.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361-37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24. Dorigo U and C Leboulanger. 2001. A pulse-amplitude modulated fluorescence-based method for assessing the effects of photosystem II herbicides on freshwater periphyton. J. Appl. Phycol. 13:509-515 https://doi.org/10.1023/A:1012598816581
  25. Heinz Walz GmbH. 1999. Phytoplankton analyzer PHYTOPAM: system components and principle of operation. Walz 78 pp.
  26. Horne SE and Goldman CR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576 pp.
  27. Jakob T, U schreiber, V Kirchesch, U Langner and C Wilhelm. 2005. Estimation of chlorophyll content and primary production of the major algal groups by means of multiwavelength- excitation PAM chlorophyll fluorometry: performance and methodological limits. Photosynth. Res. 83: 343-361 https://doi.org/10.1007/s11120-005-1329-2
  28. Juneau P, A El Berdey and R Popovic. 2002. PAM fluorometry in the determination of the sensitivity of Chlorella vulgaris, Selenastrum capricornutum and Chlamydomonas reinhardtii to copper. Arch. Environ. Contam. Toxicol. 42: 155-164 https://doi.org/10.1007/s00244-001-0027-0
  29. Juneau P and R Popovic. 1999. Evidence for the rapid phytotoxicity and environmental stress evaluation using the PAM fluorometric method: importance and future application. Ecotoxicology 8:449-455 https://doi.org/10.1023/A:1008955819527
  30. Kautsky H and A Hirsch 1931. Neue versuche zur kohlensa ureassimilation. Naturwissenschaften 19:964
  31. Schmitt-Jansen M and R Altenburger. 2007. The use of pulseamplitude modulated (PAM) fluorescence-based methods to evaluate effects of herbicides in microalgal systems of different complexity. Toxicol. Env. Chem. 89:651-667
  32. Schmitt-Jansen M and R Altenburger. 2008. Community-level microalgal toxicity assessment by multiwavelength-excitation PAM fluorometry. Aquatic Toxicology 86:49-58 https://doi.org/10.1016/j.aquatox.2007.10.001
  33. Woo YK, Park EJ, Lee KS and Lee DW 1996. Effects of Persicaria thunbergii on Nitrogen Retention and Loss in Wetland Microcosms. Korean J. Ecol. 19:179-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