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숲 이용실태 및 성과 분석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Achievement of School Forest

  • Byeon, Jae-Sang (Dept. of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 Yun, Hee-Jeong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
  • Kim, In-Ho (Dept. of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College)
  • 발행 : 2008.04.30

초록

School forests, an important part of the urban forest, has diverse func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artificial environment. It has three main functions: educational for children, ecological for nature, and cultural for residents. In spite of its diverse functions and roles, the actual conditions and achievements of school forests have not been correctly evaluated, resulting in institutional inertia.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synthetically conducted by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users(residents,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 forest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gni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forests supported by private organizations was higher than those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post management system of private organizations is more effective than the simple financial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2. The frequency of use of school forests by resi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Their purposes were mainly to rest or walk However, teachers used school forests for nature observation and education. 3. In a survey of teachers about a reform measure and problems of school forests, the necessity of a post management system and financial security were significant requests. In addition, steady publicity and education, participant program, and incentives for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ystematically develop and activate the school forest movement. The integrated approach to the school forest movement reflects opinions of related users and is expected to become a useful foundation in studying about the improvement of city environ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원, 정용문(1998) 충남 공주지역 초등학교의 조경수목 식재현황과 학교원 관리 실태분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2): 17-24
  2. 강현영(1993) 도시청소년을 위한 환경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관악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경기도(2006) 2006 학교숲 평가보고서. 경기도: 푸른경기21실천협의회
  4. 고영미(1991) 학교조경에 있어서의 식재 Pattern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구본학(2001) 학교 교정에 학교 숲과 생태연못 만들기. 2001 대전지역 학교 숲 가꾸기 세미나 자료집. 대전: 대전의제21추진협의회. pp. 81-105
  6. 김귀곤(1997) 도시자연복원을 위한 인공습지 조성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0(2): 175-189
  7. 김명록(1984) 학교조경의 새로운 모형개발을 위한 일 연구: 전주교육대학 조경을 중심으로. 전주교대논문집 20: 233-249
  8. 김복영(1998) 초등학교 실습지 실태와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상배(1983) 서울시내 국민학교 교육환경에 나타난 학교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석(1978) 국민학교 학교원의 현황에 관한 소고. 대구교육대논문집
  11. 김영석(1979) 국민학교 교목 및 교화의 조사에 관한 소고. 대구교육대논문집
  12. 김인호(1994) 환경교육적 측면에서 국민학교 학교조경의 활용에 관한 기초 연구: 제6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신구전문대학논문집
  13. 김인호(1995) 환경교육적 측면에서 학교조경의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성남시 국민학교 학교조경수목을 중심으로. 신구대학논문집
  14. 김인호(1998) 학교조경의 환경교육적 활용을 위한 국내.외 사회단체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식물.인간.학회지 1(2): 1-16
  15. 김인호(2000) 영국의 학교 숲 사례. 울산지역 학교 숲 만들기 세미나 자료집. 울산: (사)울산생명의 숲
  16. 김인호(2001a) 서울시 학교녹화사업의 현황과 추진 방향. 서울: 2001년도 학교녹화워크숍자료집
  17. 김인호(2001b) 한국의 학교 숲 운동 전개 과정 및 과제. 학교 숲 운동 국제세미나 자료집. 서울: 생명의 숲
  18. 김인호(2002a) 학교구성원 참여와 조직화 방안. 2002 학교 숲 시범학교 교사연수 자료집. 서울: 생명의 숲
  19. 김인호(2002b) 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김인호, 김귀곤(1998) 환경교육의 장(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1(1): 195-216
  21. 김인호, 안동만(1998) 초등학교 학교조경의 환경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환경교육 11(2): 224-237
  22. 김인호, 안동만(1999) 환경친화형 학교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책개발 연구과제. 서울: 교육부
  23. 김인호, 주신하, 안동만(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3(1): 122-132
  24. 김정호(1992) 학교조경의 실태분석과 개선방향탐색을 위한 연구: 서울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박강리(1995) 우리 나라 학교환경교육의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성은(1999) 학교환경교육에서의 자생식물 이용현황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박영수, 심경구(1993) 학교 조경수목 식재현황 조사를 통한 향토수종 이용 확대에 관한 연구: 이리시 초중고등학교 38개교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1(1): 31-50
  28. 변재상(2000)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대학캠퍼스 시설배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변재상(2007a) 우리나라 학교숲의 가치는 얼마일까?: 학교숲 운동의 성과 및 가치분석 연구. 제1차 학교숲 시범학교 지원팀 전체회의 자료집. (사) 생명의 숲 국민운동본부. 2007년 2월
  31. 변재상(2007b) 학교숲 가치성과 연구. 2008 생명의 숲 학교숲 신규시범학교 워크숍 및 모델학교 중간보고회 자료집. 2007년 11월
  32. 생명의 숲(2007) 학교숲의 성과 및 경제적 가치 평가
  33. 서울대학교(2001) 생태연못 조성 길라잡이. 서울: 환경부
  34. 서울특별시교육청(2005) 친환경학교 조성을 위한 학교녹화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사)생명의 숲국민운동
  35. 서현창, 김인호, 이태근(1999) 학교급식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환경교육적 활용방안. 서울: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36. 신영철(1989) 충북대학교 캠퍼스 조경계획에 관한 연구. 농업과학연구보고 7(1): 35-63
  37. 신중관(1990) 국민학교 학교원 조성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 인천시 국민학교의 식재현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신중관(1990) 국민학교 학교원 조성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 인천시 국민학교의 식재현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심우경(1984) 학교의 옥외환경 개선을 위한 조경학적 연구: 광주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심우경, 정동오, 이정석(1982) 전남대학교 종합캠퍼스의 조경계획에 관한 연구. 전남대 논문집 25: 1-35
  41. 안철린(1998) 학교 에너지 설비 실태 조사(영국, 프랑스, 일본). 교육시설 5(4): 105-113
  42. 연합뉴스(2007) 기후변화총회 `발리 로드맵' 내용과 전망. 2007년 12월 15일자 보도자료
  43. 이교원(1979) 학교조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이상철(1986) 순천대학 Campus의 조경계획에 관한 연구: 행태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순천대학논문집
  45. 이상호(1997)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확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6. 정대연(1992) 기초사회통계학. 서울: 백산서당
  47. 정희두(1985) 학교 녹지공간 조성을 위한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48. 조영환, 박천호(1987) 국민학교 조경에 있어서의 식물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목포시내 15개 국민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5(2): 1-21
  49. 진시현(1997) 초등학교 교정내 생태원 조성기법: 서울 용산구 후암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차혜연(1999) 학교공원 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서울시 강동구 강덕초등학교와 고덕중학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최돈형(1992) 한국 학교환경교육의 발전과정과 전망. 한.독 환경교육 국제워크숍 中 학교환경교육 발전 및 협력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2. 최돈형, 노경임(2000) 현장체험중심의 환경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독일의 환경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13(2): 51-62
  53. 홍두승(2001)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54.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 Sage Publications, Inc
  55. Titman, W.(1994) Special Places; Special People: The hidden curriculum of school grounds. Learning through Landscapes
  56. Young, K.(1990) Using school grounds as an educational resource. Learning Through Landscape Trust
  57. 大熊光治, 加藤尙裕, 村川榮(2001) 學校ビオトープ Q&A. 東京: 東洋館出版社
  58. 文部省(1999) 綠豊かな學校づくり-屋外運動場等の芝生化.植栽. 東京: ソフトサイエンス社
  59. 杉山惠一, 赤尾整志 監修(1999) 學校ビオトープの展開: その理念と方法論的考察. 自然復元特集 6. 信山社サイテック
  60. 小河原孝生(1993) 生き物のすみかをつくる-校庭の生態園, 鳥類の生態園, 昆蟲の生態園. 環境敎育敎材讀本. 敎育開發硏究所. pp. 60-75
  61. 阪神.都市ビオトープフォーラム(1999) 學校ビオトープ事例集. トンボ出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