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Integrated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for Encourag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형 개발 촉진을 위한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 황기연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
  • 신상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디지털도시부) ;
  • 조용학 ((주)도화종합기술공사 교통계획부) ;
  • 손기민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교통부)
  • Received : 2007.09.27
  • Accepted : 2007.10.22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Recent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has initiated several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to revitalize the downtown well equipped for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Since, TOD should incur higher density development in our context, it has negative impacts on travel patterns, congestion, and urban environmental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which can facilitate higher density TOD. This study includes relevant foreign case studies,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index, and the impact analysis of TOD when it is applied in the downtown Seoul. In chapter III, it developed a so-called ITLOS, new multimodal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which shows the possibility of accommodating further development by integrating roadway service index with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The study sets ten policy scenarios by varying densities, and run the Seoul Congestion Management Model (SECOMM) to estimate the sustainable transportation impacts of TOD in the downtown. Travel speed index that only represents the availability of road capacity for development reveal that higher density development in the downtown can deteriorate traffic congestion while improving region-wide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 in Seoul. Also, it is proved that higher density development is more feasible when using ITLOS as the index because it considers not only available road capacity but subway capacity in the analysis area.

최근 서울시는 TOD 기법을 활용하여 도심을 재활성화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TOD형 개발은 고밀개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통혼잡이나 환경의 질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도로 뿐 아니라 버스, 지하철 등의 용량을 함께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를 개발하여 TOD 개발을 촉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사례를 검토하고, 새로운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울시 도심에서 TOD형 고밀개발이 일어났을 때 교통부분의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는 승용차, 택시, 버스로 구성된 도로서비스환경지표와, 지하철서비스환경 지표로 구성되며, 두 개의 지표를 통합하는 방법은 각 교통죤별 서비스환경에 각 죤별 수단분담률로 가중평균해서 계산하되, 각 수단분담률의 합은 1로 하였다. 이러한 통합교통서비스환경(ITLOS: Integrated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의 수치는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며, 0에 가까울수록 개발에 필요한 교통여건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도심고밀개발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중교통과 도로교통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와 도로교통서비스 수준만을 고려하는 통행속도 지표를 활용했다. 두 지표 모두 도심 고밀 개발 시 교통서비스 수준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시 전체의 교통서비스 수준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사용할 경우 비율적으로 도심교통상황의 악화 정도는 평균속도지표의 경우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반면 서울시 전체적인 개선폭은 비율적으로 상당히 높게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서울시 장래교통수요 예측 및 정책방 향, 정책토론회자료
  2. 서울특별시(2004) 청계천복원에 따른 도심부관리 방안
  3. 신상영(2004) 토지이용과 자동차 의존성간의 관계, 서울도시연구, Vol. 5, No. 1, pp. 71-93
  4. 황기연, 엄진기(2000) 교통수요관리론. 청문각
  5. Cervero, R. and Gorham, R. (1995)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1, pp. 210-225 https://doi.org/10.1080/01944369508975634
  6. Cervero, R. and Kockelman, K. (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D, Vol. 2, pp. 199-219 https://doi.org/10.1016/S1361-9209(97)00009-6
  7. Dunphy, R. and Fisher, K. (1996) Transportation, congestion, and density: New insigh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52, pp. 89-96 https://doi.org/10.3141/1552-12
  8. Ewing, R, Haliyur, P., and Page, G. W. (1994) Getting around a traditional city, a suburban planned unit development, and every- thing in betwee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66, pp. 53-62
  9. Holtzclaw, J. (1994) Using Residential Patterns and Transit to Decrease Auto Dependence and Costs, San Francisco, CA: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10. Litman, T. (2005) Understanding Smart Growth Savings, VTPI (www.vtpi.org)
  11. Newman, P. and Kenworthy, J. (1989) Cities and Automobile Dependence, An International Source Book. Avebury Technical, Great Brit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