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Warnning Criteria Investigation of Automated Rainfall Warning System -Focused on Realationship of Water Level, Discharge and Precipitation -

자동우량경보시설 경보발령기준 검토 연구 - 수위, 유출량, 강수량의 관계를 중심으로 -

  • 안재찬 (소방방재청 복구지원과) ;
  • 이종설 (소방방재청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
  • 최우정 (소방방재청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
  • 이병주 (세종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Automated rainfall warning system is a facility to prevent casualties who were recreating in the down stream region with operating lead broadcasting or signaling warning automatically when torrential rainfall occurs in mountainous area. But standard of conventional warning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asin, and warning signal. Evacuation signal 1 and evacuation signal 2 are uniformly signaled when the 10minute moving total of observed rainfall is higher than 4 mm, 6 mm, and 8 mm respectively.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relative agencies had re-established the standard of warning by analyzing the risk water level, critical discharge and reference rainfall, which a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n. In this study the standard of conventional and re-established warning of weolseong basin, which is available to acquire a real rainfall. There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risk water level, critcal discharge and reference rainfall. Also this study compares rainfall of conventional and re-established warning standard and indentifies problems by analyzing adequacy of rainfall estimation for warning and proposes alternative. The standard of conventional warning which investigates with the converted rainfall(unit of a minute) issued too many alarm. The re-established standard upward has the necessity which will be regulated about the alarm announcement number of times. Considers the safety, upward regulation of alarm standard rainfall is a necessity which will be prudent.

자동우량경보시설은 산간계곡 집중호우시 상류지역의 강우상황을 관측, 하류지역 행락야영객에게 자동으로 경보를 발령하거나 안내방송을 실시하여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이 시설의 기존 발령 기준은 유역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관측강우량의 10분간의 이동합이 4 mm, 6 mm, 8 mm 이상인 경우에 각각 경계경보, 대피 1경보, 대피 2경보를 발령하였다. 이에 2003년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 단체에서는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위험수위, 한계유출량, 기준강우량 등의 분석을 통하여 경보발령기준을 재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보발령기준이 재설정된 지역중 실적 강우 취득이 가능한 경남 거창군 월성지구를 대상으로 기존 및 재설정된 발령기준을 위험수심, 한계유출량, 기준강우량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기존의 발령기준 우량, 개선된 발령기준 우량 및 금회분석을 통해 산정된 발령기준 우량을 상호비교하였다. 1분단위 변환 실적강우로 발령기준을 검토한 결과 기존안은 너무 많은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개선안도 경보의 발령횟수 측면에서는 기준을 약간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보기준우량의 상향조정은 안전측면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거창군, 한서대학교 (2003) 자동우량경보시설 보강사업 - 거창군 월성지구 -
  2. 김운태, 배덕효, 조천호 (2002)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미소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 권, 제5호, pp. 553-561
  3. 김운태 (2003) 수문학적 돌발홍수능 평가기법 개발,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4.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2004) 국지성 집중호우의 조기대응시 스템 개발(II)
  5.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 (2004) GIS 및 GCUH를 이용한 돌발홍 수 경보발령기준우량 산정의 실유역 적용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4호, pp. 311-319
  6. 이병주 (2003) 위성영상 피복분류에 대한 CN값 산정, 석사학위논 문, 세종대학교
  7. Interagency Advisory Committee on Water Data (IAWCD) (1982) Guidelines for Determining Flood Flow Frequency, Bulletin #17B, subcommittee, U, S. Geological Survey, Reston Virginia
  8. Jarrett, R.D. (1984) Hydraulics of High-Gradient Stream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0, No. 11, pp. 1519-1539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4)110:11(1519)
  9. U. S. Department of commerce (1997) Automated Local Flood Warning Systems Handbook. Weather Service Hydrology Handbook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