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iency of Riparian Buffer Zone on Removing Sediment Yield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토사유출량 저감 효과분석

  • 최대규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 박무종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재철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Riparian buffer zone prevents sediment entry into drainage channels or as a protection from runoff and wind erosion. However, Studies about its removing effect according to Riparian buffer zone are shorted now. In this study, using the SWAT model, Byongseong watershed is built on the Arcview GIS. Using the function of the filter strip in SWAT model, it is also examined about the variation of sediment yield. As a simulation result, the case of constructing riparian buffer zones at subbasins near the outlet shows generally high efficiency on removing sediment yiel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analysis of changing riparian buffer zone width, it is thought that 5-10m riparian buffer zone width is the highest efficiency on removing sediment yields generated from Byeongseong watershed.

수변완충지대는 토지로부터 나오는 오염물질의 하천으로 직접유입을 차단하고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유역에서의 저감효과를 분석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을 이용하여 Arcview GIS상에 병성천 유역 모형을 구축하고 SWAT모형에서의 filter strip기능을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토사 유출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모의결과 저감효과가 큰 곳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토사유출량 관측지점인 유역 출구지점과 가까운 소유역에서 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보였다. 또한 수변완충지대의 폭을 달리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한 결과 5-10 m의 수변완충지대 폭이 그 저감효율이 가장 큰 것으로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0) 병성천 하천정비기본계획
  2.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WAMIS) www.wamis.go.kr
  3. 김남원, 신성철, 김철겸 (2003) SWAT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분 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264- 2268
  4. 김보경, 김상단, 이은태, 김형수 (2007) SWAT 모형 매개변수의 적정 범위 추정방법 개발 : 임하호 유입량 및 부유사량에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6B호, pp. 661-668
  5. 김재철, 김상단 (2007) 오염총량관리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한 낙동 강 유역 유황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3호, pp. 332-338
  6. 김재휘, 박장순, 유혜은, 김순택, 이은영, 심상보, 천세억, 방규철, 김태근 (2006) 유역모형을 이용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유 역물질 유출특성.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 추 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 pp. 58-66
  7. 박윤식, 김종건, 김남원, 박준호, 장원석, 임경재 (2008) VFSMODW 모형을 이용한 SWAT 모형의 초생대 유사 저감 효율 모 듈 개선.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 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 pp. 299-300
  8. 윤석표, 최지용 (2004) 토양칼럼을 이용한 초기우수 중 영양염류 의 수변녹지 토양에서의 제거도 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0호, 제3호, pp. 231-235
  9. 한건연, 김동일, 박경옥 (2007) 낙동강 유역 수변녹지 조성에 따 른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분석.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 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 pp. 428- 431
  10. 한수희, 강두기, 신현석, 유재정, 김상단 (2007) 비편향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본류 부유사량 산정방법의 신뢰도 향 상.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2 호, pp. 251-259
  11. 한수희, 신현석, 김상단 (2007) 낙동강 유역관리를 위한 부하량 유황곡선의 적용 가능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 경학회, 제23권, 제2호, pp. 620-627
  12. 한혜진, 박석순 (2004)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적정 수변구역 결정 에 관한 연구.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 20권, 제6호, pp. 555-562
  13. Bagnold, R. A., (1977) Bedload Transport in Natural River. Water Resources Reserch, Vol. 13, No. 2, pp. 303-312 https://doi.org/10.1029/WR013i002p00303
  14. Benaman, J. and Shoemaker, C.A. (2004) Methodology for Analyzing Ranges of Uncertain Model Parameters and Their Impact on Total Maximum Daily Load Process. Jou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0, No. 6, pp. 648-656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2004)130:6(648)
  15. Bradu, Du. and Mundlak, Y. (1970) Estimation in Lognormal Linear Models. J. Am. Stat. Assoc., Vol. 65, No. 329, pp. 198-211 https://doi.org/10.2307/2283587
  16.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17. Neitch, S.L., Arnold, J.G., Kiniry, J.R., Williams, J.R., and King, K. W.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 (Version 2000).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Texas A&M Blackland Research Center, Temple, Tex
  18. Santhi, C., Arnold, J.G., Williams, J.R., Dugas, W.A., Srinivassn, R., and Hauck, L.M. (2001) Validation of the SWAT model on a large river basin with point and nonpoint sources.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7, No. 5, pp. 1169-1188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1.tb03630.x
  19. Sugawara, M. (1995) Tank model, in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20. Williams, J. R. (1975) Sediment Routing for Agricultural Watershed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11, No. 5, pp. 965-974 https://doi.org/10.1111/j.1752-1688.1975.tb0181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