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c Geography of Bukhakui(北學議)

"북학의(北學議)"의 경제지리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paper aim to review the extent of Park Je-Ga's geographical interest and knowledge and where he intended to make good use of them through Bukhakui(北學議). In particular, it was classified and interpreted as the contents related to agricultural, industrial and commercial geography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economic geography. As for the contents related to agricultural geography, it suggests minutely and precisely the necessity and concrete methodology for farmland, seeding, fertilization, breeding of cattle, sericulture and fruits. As for the contents related to industrial geography, it lays emphasis on the pursuit of the modernization of ours by means of accepting high-tech, industrial engineering and knowledge from Western scholars who were staying in Beijing. As for the contents related to commercial geography, it puts emphasis on the conversion of idle labor capacity of the nobility to practical production capacity, the pursuit of economic vitalization by opening land transportation through wheels and the trade by sea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Qing, Japan, Ryukyu, Vietnam and so on. It can be known through this study that Park Je-Ga was a realist who made an effort to raise the economic power of the region and the country with using his endeavor of economic geographical interest and knowledge. His economic geographical interest and knowledge were connected directly with practical use. If his economic geographical knowledge and way of thinking had been accepted successfully at that time, the economic power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could have leaped to a considerable degree.

본 연구는 박제가의 [북학의]를 통해 그의 지리적 관심과 지리지식이 어느 정도이며 어떤면에 활용하고자 하였는지를 살피는데 있다. 특히 경제지리적 내용을 추출해서 농업 공업 상업지리 내용으로 분류 해석하였다. 농업지리 내용으로 농지, 종자파종, 시비, 가축사육, 농잠과 과일 등에 대해 섬세하고 치밀하게 필요성과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공업지리 내용으로 연경(북경)에 와 있는 서양학자들로부터 첨단과학 및 공학 기술과 지식을 받아들여 우리 것에 대한 근대화를 꾀할 것을 강조하였다. 상업지리 내용으로 양반들의 유휴 노동력을 실용적인 상업생산 노동력으로 전환시키며 수레를 통한 육로교통을 열고 이웃 나라(청, 일본, 유구, 베트남 등)들과 뱃길 통상의 길을 열어 지역 및 국가 경제의 활성화를 꾀할 것을 주장하였다. 연구를 통해 박제가는 경제지리 내용에 밝았고 깊은 관심을 기울였으며 경제지리 관련 지식을 활용해 국가경제력 제고를 위해 노력한 실학자임을 알수 있다. 그의 경제지리적 관심과 지식은 실사구시에 직결되는 것이다. 당시 박제가의 경제지리적 지식과 활용의 구체적 방법론 제시가 나라에 의해 효율적으로 채택되었다면 조선시대 후기의 국가 경제력은 크게 도약할 수 있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