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esthetic Review on the Apparatus Characteristics of the Hyperrealistic Digital Animation

극사실주의 디지털애니메이션의 장치 특성에 대한 미학적 고찰

  • 현승훈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Published : 2008.09.28

Abstract

These days, there are a lot of digital images, which are us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eople, can make a liberal and creative media. In this environment, the studies on the digital animation would play a leading role of the aesthetic and technology developments for creative digital images. Digital animation images have their own aesthetics, and characteristics.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technology expansions. In particular, hyperrealistic digital animation should be more concentrated i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echnology and aesthetic, because hyperrealistic digital animation has not only an appartus feature as a side of aesthetics, but a technology feature as a post modernistic media. Therefore the technology of digital animation as a the possibility of future growth for media should adhere strictly the peculiarity of digital aesthetics.

디지털애니메이션은 기본적으로 애니메이션 장르만이 갖는 캐릭터성과 그리고 실사적 영상의 재현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디지털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진 극사실주의적 작품들은 관객에게 낯선 존재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최첨단 기술과 인력 그리고 자본으로 탄생된 극사실주의 할리우드 디지털애니메이션에 대한 관객들의 이러한 차가운 반응은 바로 기술적 문제에서라기보다는 미학적 측면에서의 접근법에 그 문제가 존재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디지털애니메이션의 장치적 특성을 기존의 실사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기술과 미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또한 새로운 리얼리즘으로서 디지털애니메이션의 고유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재철,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연구/ 테크놀로지의 미학적 효과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7권, pp.77-94, 2003.
  2. 안세웅, "사고 확장 매개로서의 디지털 3D 애니메이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pp.53-58, 2007.
  3. 이종한, "미디어미학에서 바라 본 뉴미디어로써 디지털 애니메이션", 디자인학연구, 제16권, 제4호, pp.225-232, 2003.
  4. K. F. Macdorman, "The uncanny advantage of using androids in cognitive science research," Interaction Studies, pp.297-337, 2006.
  5. M. Mori, "Bukimi no tani the uncanny valley," Energy, pp.33-55, 1970.
  6. 박성수,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2001.
  7.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8. 심혜련,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살림, 2006.
  9. 진중권,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10. D. Andrew, 김주환,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11. Lev Manovich, 서정신,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나무, 2004.
  12. Paul Wells, 한창완, 김세훈, 애니마톨로지, 한울아카데미, 2002.
  13. Steven Holtzman, 이재현, 디지털 모자이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14. Susan Hatward, 이영기, 영화사전, 한나래, 1997.
  15. Vilem Flusser, 김성재,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