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by Tidal Environment Changes: Muan Bay, West Coast of Korea

조석환경 변화에 의한 표층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 한국 서해안의 무안만

  • Ryu, Sang-Ock (Institute of Tidal-Flat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
  • Chang, Jin-Ho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Jun (Marine Geology Laboratory,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Jo, Yeong-Jo (Ocean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sheries & Development Institute(NFRDI)) ;
  • Choi, Ok-In (Environment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Fisheries & Development Institute(NFRDI))
  • 류상옥 (목포대학교 갯벌연구소) ;
  •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 이희준 (한국해양연구원 지질연구단) ;
  • 조영조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연구과) ;
  • 최옥인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팀)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Muan Bay has extensively undertaken artificial influences through a series of construction of dams and dykes nearby resulting in a substantial increase in highest high water level. To unravel sedimentary responses to the water level rise, we collected a number of surface sediment samples and hydrodynamic data from in-situ observations of tidal currents in Muan Bay in 1998 and 2007. Comparison of the data between 1998 and 2007 shows that the relative content of coarse fractions, sand and gravel, in the sediment samples has increased with a decreased mean size, on average, from 6.2 to 5.8${\phi}$ at the expense of silt contents. Such a coarsening trend, which is more evident around high water level, particularly on the tidal flats of Dongam-ri, Guro-ri and Aphae-do, is most likely attributable to rising 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an increase of fine fractions locally in the western entrance of the bay can be explained with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s imposed by construction of bridges therein, such as decreased velocities and varied direction and phase of the tidal currents.

하구언과 방조제 건설에 따라 고극조위 상승과 같은 조석환경 변화가 심한 무안만에서 표층퇴적물의 분포 변화와 변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고 조류관측을 실시하였다. 무안만의 표층퇴적물은 1998년에 비해 역과 사의 조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고 실트의 함량이 감소하여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6.2${\phi}$에서 5.8${\phi}$로 조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조립질퇴적물의 함량 증가와 실트의 함량 감소는 만조선 주변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암리와 구로리, 압해도 조간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만조선 주변의 조립화 현상은 일차적으로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고극조위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측 만입구 주변에서 세립질퇴적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현상은 인공구조물(교각) 건설에 따른 조류속의 감소와 위상차에 의한 조류의 방향 변화 등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 1996.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목포해역의 환경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6(II-6): 611−619
  2. 강주환, 문승록, 2000. 조석환경 변화를 고려한 목포항의 고극조위산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2(4): 203−209
  3.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6. 조석/해일 환경 변화를 감안한 고극조위 빈도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8(II-2): 185−193
  4. 강주환, 송재준, 오남선, 1998. 낙조우세와 관련된 목포해역의 조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8(II-2): 185−193
  5. 강주환, 임병선, 1998. 방조제 건설로 인한 목포해역에서의 오염확산양상 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8(II-6): 613−622
  6. 국립지리원, 1982. 연안해역 기본도(고이, 압해)
  7. 국토해양부, 2008. 연안습지 생태계 조사. 383 pp
  8. 류상옥, 김주용, 유환수, 2000.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1(2): 128−136
  9. 류상옥, 김주용, 장진호, 2001. 서해남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 분포와 조간대 퇴적률. 한국지구과학회지, 22(1): 30−39
  10. 이석우, 1994. 한국항만수리지. 집문당, 서울. pp. 93-116
  11. 임동일, 정회수, 추용식, 박광순, 강시환, S.Y. Yang, 2002. 한국서해 남부 함평만의 해안선 변화 연구 I. 해안절벽의 침식과 후퇴.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3): 148−156
  12. 최병호, 1984. 영산강 하구의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위 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4(2): 113−124
  13. 홍재상, 1998. 한국의 갯벌. 대원사, 서울. 143 pp
  14. Byun, D.S., X.H. Wang and P.E. Holloway, 2004. Tidal characteristic adjustment due to dyke and seawall construction in the Mokpo coastal zone,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9(2): 185−196 https://doi.org/10.1016/j.ecss.2003.08.007
  15.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s, Austin, 170pp
  16.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ournal of Sedimentology Petrology, 27(1):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17.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 by R.E. Carver, Wiley-Interscience, New York, pp. 49−67
  18. Kang, J.W., 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8(4): 429−438 https://doi.org/10.1006/ecss.1998.0464
  19. Lee, H.J., Y.S. Chu and Y.A. Park, 1999.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i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157(3-4): 171−184 https://doi.org/10.1016/S0025-3227(98)00159-5
  20.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mi-closed bay: Hampyong Bay, South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3-4): 481−492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199-3
  21. Ryu, S.O., H.J. Lee and J.H. Chang, 2004. Seasonal cycle of sedimentary process on mesotidal flats in the semienclosed Muan Bay, southern west coast of Korea: culminating summertime erosion. Continental Shelf Research, 24(1): 137−147 https://doi.org/10.1016/j.csr.2003.09.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