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조경디자인의 추상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bstract Types of the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 김준연 (나사렛대학교 플라워디자인학과) ;
  • 이행렬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방광자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Kim, Jun-Yon (Dept. of Flower Design, Nazarene University) ;
  • Lee, Haeung-Yul (Dept. of Environment Resources, Sangmyung University) ;
  • Bang, Kwang-Ja (Dept. of Environment Resources, Sangmyung University)
  • 발행 : 2009.02.28

초록

본 연구는 현대조경의 추상유형에 관한 연구로서 현대조경의 탈장르적 경향과 건축, 조경, 예술 장르간의 하이브리드화에 의해 현대조경의 형태나 예술성은 과거의 픽쳐레스크식의 조경이 표현할 수 없었던 많은 부분들을 표현해 내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현대의 조경은 한편의 거대한 추상예술을 보는 듯하고, 그 난해함은 정도를 더하고 있어 일반대중들 뿐만 아니라 전문 조경가들조차도 추상적 현대조경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고 정확한 이해나 해석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어 현대조경의 추상성에 대한 연구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 건축, 미술 등 여러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예술의 창작원리로 작용되어온 '추상성'에 대해 근본적인 탐구를 하여 추상에 대한 이론정립, 추상성 변천과정, 추상성의 현대적 의미를 파악하여, 조경학적 시각으로 각 예술분야와의 연계성을 밝히고 현대조경작가와 작품에서 표현되어 나타나는 추상형태, 추상언어, 추상특징을 추출해봄으로써 현대추상조경의 진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조경의 추상유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cdot$연역적 추상조경(inductive abstract)은 논리적 과정에 의하지 않고 직관적이고 선험적인 정신성, 그리고 초월적 관념 표상을 의미하며 예술가의 내면의 세계 즉, 다시 말해서 외부 대상이 없이 예술가 자신의 관념이나 마음 속을 그리고자 하여 대상의 재현이 아닌 작가 내면의 표현 또는 표출되는 것이다. $\cdot$귀납적 추상조경(deductive abstract)은 전통적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대상을 객관적 사실에 대해 지적이고 논리적인 사상(捨象)의 과정을 거쳐서 대상을 단순화하거나 왜곡, 과장, 확대된 논리적 조형성을 표현한다. $\cdot$복합적 추상조경(complex abstract)은 연역적 추상조경과 귀납적 추상조경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현대조경의 추상유형에 관한 연구는 추상조경작품에 대한 가치를 재평가하는 계기가 될 수 있고 현대의 추상조경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미래의 조경에 더욱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이의 근본이 되는 추상성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Abstract Types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The formation and artistry of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reveals many areas which Previously have not been able to be expressed in scenic landscape thanks to the deviation of the genre in contemporary landscape and the hybridization that has occurred among architecture, landscape and art genr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concerning "the abstract", which is used as a creative artistic theory in a variety of art fields such as landscape, architecture and painting. Through a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the abstract", its process of change, and the discovery of its contemporary principl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art field in landscapes and the formation of the abstract, abstract language, and abstract properties have been studied. The use of the abstract i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can be classified in three ways: Inductive abstract representing conceptual transcendental symbols not logically but rather through intuition and transcendental cognition to display the inner expressions, ideas and minds of the artists. Second, a deductive abstract represents an expansive, logical model for the simplification of objects, distortion, exaggeration based on knowledge and logical reasoning about objective fact based on traditional realism. The complexity of the abstract is a concept that is bound to both the deductive & inductive abstract. As a major trend, the concept of "The abstract" in contemporary landscape has been putting forth ever-deeper roots. New trends like abstract works and landscape architecture reflecting the artist's inner expression, in particular, will provide fertile soil for landscape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about the concept of "the abstract" will also be necessary in the time to com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기 (2007) 2007 광주디자인비엔날래 빛. LIGHT. 디플
  2. 김정란(2005) 감상교육을 통한 미술비평 방법론의 교육적 함의(含繹).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제연 (2006) 미술비평을 통한 미술관 감상수업의 지도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지연 (2004) 펠드만의 미술비평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한배(2001) 모더니즘 조경설계에 미친 미술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4): 56
  6. 김한배 (2004) 포스트모던 조경설계의 다원적 전개 양상. 한국조경학회지 32(6): 69-70
  7. 김홍기 (2002) 건축 조형 디자인론, 기문당
  8. 김현화(2001) 20세기미술사. 한길아트
  9. 노영덕 (2004) 예술의 비 모방적 속성에 대한플로티누스적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기웅 (2003) 현대미술이론 1. 형설출판사
  11. 박이문(1995) 건축이론과 비평 분야의 교육과 접근방식 : 예술비평과 건축비평.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9(4): 16
  12. 박정욱(2000) 조경의 틈으로 틀어온 현대미술. Locos 2
  13. 박준원(1997) 예술노트. 미술문화
  14. 박휘락(2003)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시공사
  15. 오광수(1994) 추상미술의 이해. 일지사
  16. 오병남(2003) 미학강의. 서울대학교출판부
  17. 오종환(1995) 미적 도구주의의 관점에서 본 예술비평의 인식적 성격. 서울대학교인문논총 33: 93
  18. 임숭빈(1984) 조경계획 . 설계론. 보성문화사
  19. 유재길(1992) 추상화 감상법, 대원사
  20. 장일영 (2006) 현대조경설계에 있어서 하이브리드적 경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장재웅(2005) 기하학적 추상미술에 나타냐나는 선적요소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요한(2003) 예술철학. 미술문화
  23. 조정송, 안건용(1993) 조경설계작품평가의 기준과 항목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3) : 22
  24. Anma Moszynska (I998) Abstract Art. 전혜숙(역), 20세기 추상미술의 역사, 시공사, 2003
  25. Bauer, Hermann (1998) Kunst historik. 홍진경(역), 미술사학의 이해. 시공사. 1998
  26. Denys Riout(2006) Qu'est-ce que l'art modeme? 정진국(역),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눈빛. 2006
  27. Foster, Hal et aI. (2004) Art Sinoe 1900. 배수희 등(역), 1900년 이후의 미술사. 세미콜론. 2007
  28. Kandinsky, W. (1912) U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권영필(역), 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미술책방.2004
  29. Koller, H(1954) Die Mimesis in der Antike: Nachahrmung, Darstellung Ausdruck. Bem
  30. Lacoste, Michel Conil(1979) Kandinsky. Crown New York
  31. Nicolin, Pierluigi and Francesco Repishti(2003) Dictionary of Today's Landscape Designers. Skira
  32. Herbert Read(1968) The Meaning of Art. 임산(역), 예술의 의미. 에코리브르. 2006
  33. Stolnitz, Jerome(1991) Aesthetics and Philosophy of Art Criticism 오병남(역), 미학과 비평철학. 이론과 실천. 1991
  34. 町田甲一.(1986) 정충락(역), 미술개론. 미술문화원. 1986
  35. 編著組(1989) 유홍순, 빅수인(역), 예술개론, 청년사. 1989
  36. http://photo.anyang.go.kr/Clist.asp
  37. http://www.charlescorrea.net/
  38. http://www.ferrater.com/
  39. http://www.landliving.com/image/groundswell_1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