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제한구역 관리에 대한 공무원 인식 분석 -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Officials' Cognition on the Management of Green Belt - With Special Reference to Seoul Metropolitan City -

  • 맹치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Maeng, Chi-Young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Cho, Se-Hwan (Dept. of Urban Desig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9.02.28

초록

본 연구는 개발제한구역 관리에 대한 담당 공무원들의 인식을 실태조사하여 향후 개발제한구역 관리제도 개선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례조사는 2000년도 이래 서울특별시 개발제한구역 관련 발생된 민원분석과 공원녹지 담당 등 개발제한구역 관리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본청 3개과, 25개 구청, 1본부, 5개 사업소의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과정은 1단계로 개발제한구역 관련 민원 접수 내용을 분석하고, 2단계로 그 내용을 중심으로 심층 면접하였다. 3단계로 1, 2단계에서의 도출된 문제점을 문항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2000{\sim}2005$년까지 서울특별시에 제기된 개발제한구역 관련 민원은 시설물 및 건축물의 신 증 개축에 관련된 것이 가장 많았고, 무단적치, 토지형질변경 등의 순서로 빈도가 높았다. 둘째, 공무원 인터뷰 결과, 이러한 3가지 종류의 문제가 관리상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히 관리상 문제 가 많이 발생하는 점은 축사. 콩나물 재배사 등 농 수산용 시설물 및 건축물의 불법전용, 농 수산물 가공창고의 타 용도로의 불법 전용, 주택 또는 근린생활시설 건축 시 필로티(pilotie)를 건축하고 이를 불법적인 타용도로 전환하는 행위, 넷째, 불법적 토지형질 변경 및 무단 적치 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 제1항 제1호 나목과 다목, 제4호, 제7호, 제8호 등과, 이 와 관련한 동법시행령 제13조(허가대상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종류 등)와 관련하여 농 수산업용 창고 등 허가 시 '임차 토지는 경작 면적에 미포함 시켜야 한다는 점', 또한, '농 수산업용 창고 허가 시 경작 면적이 일정면적 미만일 경우엔 불허가해야 한다는 점', 특히, '농 수산업용 창고 등 허가 시 $10,000m^2$ 이하의 경작 면적지에 대해서도 면적 기준에 따라 창고의 허용 면적을 지정해야 한다는 점'에 대한 개선이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base data to promote the green belt(thereafter GB) regulations and management in Korea. The research took the methods of analysis of citizen's official petitions to the once, of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to the of officials of Seoul Metropolitan City who is under the job of managing the GB.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officials did understand function and necessity of GB well. They especially, put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of GB on the preven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city and prevention of concentration of population, They recognized that they suffered from the overloaded job on the management of GB in quantity and quality. The seriousness of illegal action of the change of land use, piling-up of materials and productions on the forbidden land, using exclusively of warehouses for agriculture as for commerce and enlarging the area of warehouse with application of leased land for agriculture instead of the agricultural land in law were detected in the officials' cognition. The officials proposed some ideas to prevent above mentioned illegal actions including forcing a person who did illegal actions to punish money to restore environment etc..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99) 개발제한구역 관리지침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3. 김동철 (2001)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심재익, 여창환, 박선형 (2007) 개발제한구역의 개발시능지 분석과 도시성장관리에 대한 시사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2(3) : 36
  5. 신현석 (2002) 개발제한구역의 인식에 대한 연구- 관계공무원과 자역주민을 대상으로 .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조현재 (2001) 수도권개발제한구역 조정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주성돈 (2000) 개발제한구역의 효과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한내국(2000) 개발제한구역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조정 후 활용 방안융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Departrnent of Envirorunent(l988) The Green Belts, London: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10. http://www.moc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