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보행자가로의 체험에 있어서 '어번픽춰레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덕수궁길, 인사동길, 명동길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Urban Picturesque' in the Experience of an Urban Pedestrian Street - A Case of the Duksugung-gil, Insadong-gil and Myoungdong-gil -

  • 김영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Kim, Young-J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Kim, Han-B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발행 : 2009.02.28

초록

불규칙성(irregularity)과 다양성(variety)을 특징으로 한 18세기 낭만주의 조경의 픽춰레스크 미학은 19세기 도시 가로형태에 적용되어 '어번픽춰레스크(Urban Picturesque)'라는 개념으로 불리게 된다. 선행연구가 가로의 어번픽춰레스크 특징 중 물리적 형태에만 국한하여 보행체험의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려 했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물리적 측면과 활동적 측면의 양대 인자를 보행흥미 도를 결정하는 변수로 설정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서울의 보행자중심 가로들을 대상으로 하여 '어번픽춰레스크'적 특성에 따른 물리적 측면과 활동적 측면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시 가로설계에서 '어번픽춰레스크'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모색 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조사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덕수궁길이 물리적으로는 픽쳐레스크한 특징을 더욱 많이 갖추고 있었음에도 실제의 보행흥미도에서는 인사동길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인사동길이 덕수궁길에서 보이는 가로의 다양한 형태변화의 속성과 명동길에서 보이는 다양한 활동적 측면의 요소, 그리고 가로의 독특한 분위기 등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갖추고 있는 가로이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써 도시환경의 물리적인 형태와 활동적인 요소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가로의 보행체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현대도시의 보행자가로에서 '어번픽춰레스크'적 특성이 이용자에게 보다 흥미롭고 매력적으로 느껴지게 하기 위해서는 가로의 물리적 형태와 더불어 각 가로상황에 맞는 활동적 측면이 활성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icturesque Style of the $18{\sim}19th$ Century Romantic landscape gardening had features of both irregularity and variety. These features were applied to $19{\sim}20th$ Century urbanism, which was called 'Urban Picturesque'. Preceding research has found that pedestrians take more interest in streets modeled after 'Urban Picturesque' principles mainly focused on physical appearance. further development of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hrough an experiment focused on pedestrian activity as well as physical factor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Duksugung-gil, Insadong-gil and Myoungdong-gi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lthough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street in Duksugung are fitted more on Urban Picturesque principles than the other two case studies, the degree of pedestrian interest was highest for the street in Insadong due to excellence both in physical appearance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activities available in it.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o achieve the fdl effect of a Picturesque urban scene, a diversity of place-appropriate activities related to socio-cultural programs should be combined with an excellent physical appear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진희(1995) 영국 풍경식 정원의 미 '픽춰레스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일훈(1993) 18세기 영국의 풍경식 정원과 다양성. 공간(公間)지 93년 5월호, pp. 42-46
  3. 김철수(1997) 도시계획사. 기문당
  4. 김한배(1998) 도시환경설계의 합리주의와 사조에 관한 고찰(I).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3(3): 183-202
  5. 김화영 역(2002) 다비드 르 브르통 산문집 . 걷기예찬. David Le Breton, 현대문학
  6. 마순자(2000) 자연. 풍경. 그리고 인간. 대우학술총서
  7. 방경란(1998) 영국 풍경식 정원가 Capability Brown의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손세욱(1998) 어윈의 부지 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학술연구지
  9. 장용태, 구영민(2002) 영국의 18세기 풍경식 정원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8(2): 443-448
  10. 정영선(1979) 서양조경사. 신학사
  11. 정지윤(2006) 18세기 영국 윌리엄 길핀의 픽춰레스크 정원 이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세환, 정성태(2002) 18세기 풍경식 정원과 픽쳐레스크의 화두. 건설 환경논총(제4호). pp. 149-159
  13. 홍선희(2001) 현대도시건축의 맥락성(Contextuality)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2)
  14. 황주영(2006) ut pictura hortus:18세기 영국 풍경식 정원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보, 제26집. pp. 181-204
  15. Cannona, M. (2003) Public Places-Urban Spaces: the Dimensions of bUrban Design. Architectural Press
  16. Cullen, G.(1961) The Concise Landscape. 박기조(역), 도시경관. 태림문화사. 1994
  17. Downing, A. J(1991) Landscape Gardening and Rw-al Architecture. New York : Dover Publications
  18. Gehl, J. (1987) Life between buildings. 김진우. 이성미. 한민정(역).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 푸른솔. 2003
  19. Halprin, L.(1972) Cities. 최창환, 서의택(역), 도시환경의 미. 명보문화사. 1986
  20. Issacs, R(2000) The Urban Picturesque: An Aesthetic Experience of Urban Picturesque Places. Journal of Urban Design 5(2): 145-180 https://doi.org/10.1080/713683961
  21. Lynch, K. (1960) The Image of City. Cambridge M.I.T. Press
  22. McCluskey, J.(1992) Road Fonn and Townscape. Architecture Press
  23. Sitte, C.(1889) The Birth of Modern City Planning. 손세욱, 구시온(역), 까밀로 지테의 공간예술론 도시 . 건축 . 미학 . 태림문화사, 2000
  24. Steinitz. C. (1968) Meaning and the congruence of urban form and activity.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Journal 34(4): 233-248 https://doi.org/10.1080/01944366808977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