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ail Protocol Providing Forward Secrecy without Using Certificated Public Keys

공개키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는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E-mail 프로토콜

  • Kwon, Jeong-Ok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CIST, Korea University) ;
  • Koo, Young-Ju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CIST, Korea University) ;
  • Jeong, Ik-Ra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CIST, Korea University) ;
  • Lee, Dong-Hoon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CIST, Korea University)
  • 권정옥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
  • 구영주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
  • 정익래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
  • 이동훈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Forward secrecy in an e-mail system means that the compromising of the long-term secret keys of the mail users and mail servers does not affect the confidentiality of the previous e-mail messages. Previous forward-secure e-mail protocols used the certified public keys of the users and thus neede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ssword-based authenticated e-mail protocol providing forward secrecy. The proposed protocol does not require certified public keys and is sufficiently efficient to be executed on resource-restricted mobile devices.

이메일 시스템에서 전방향 안전성(forward secrecy)이란, 메일 사용자와 메일 서버가 장기간 사용하는 비밀키(long-term key)가 노출되더라도 이전 세션들에서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의 기밀성(confidentiality)이 보장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전방향 안전성을 지원하는 이메일 프로토콜들에서는 사용자의 공개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개키에 대한 인증을 위해서는 공개키 기반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KI의 구축이 필요 없이, 사용자의 메일 계정의 패스워드만을 이용하는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패스워드 기반의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패스워드 기반의 이메일 프로토콜은 인증된 공개키가 필요 없으므로 제한된 자원의 모바일 환경 등에 적합하다.

Keywords

Ⅰ. 서론

이메일의 사용은 그 편리함과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른 빠른 지원 속도로 사무실 일처리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범죄가 늘어나고 있고 그 위험성이 증가함에 따라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전송하는 과정에서 이메일의 콘텐츠가 쉽게 드러나거나 수정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1995년 Bacard등은 이메일의 메시지에 대한 기밀성과 인증을 제공하기 위한 PGP(Pretty Good Privacy)[1,2]를 제안하였다. PGP는 현재 NIST 표준이다. 그러나 PGP는 이메일의 기밀성과 인증을 제공하지만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만약 공격자가 장기간 사용되는 사용자의 비밀키 (long-term secret key)를 얻게 되면 공격자는 그 이전에 전송된 암호화된 이메일 메시지도 모두 복호화 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키 교환 프로토콜에서는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Diffie-Hellman 키 교환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메일과 같은 store-and-forward 시스템에서는 수신자가 송신자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유지할수 없기 때문에 Diffie-Hellman 키 교환 기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시도로 2005년 Sun 등과 2006년 Kim 등이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3,4]. Sun 등[3]은 두 가지 타입의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시 하였으나, 두 번째 프로토콜은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2005년 Dent 등은 Sun 등이 제시한 두 번째 프로토콜에서 수신자의 롱텀 비밀키가 드러나게 되면, 그 이전의 암호화된 이메일 메시지도 모두 들어난다는 것을 보였다[5]. Kim 등[4]도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두 가지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안하였지만, 두 번째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위장 공격(impersonation attack)에 취약함을 2007년 Yoon등이 보였다[6]. 이창용 등[7]은 타원곡선 기반의 signcryption 기법을 사용한 단일 수신자와 그룹 수신자를 위한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Sun 등과 Kim 등과 이창용 등의 이메일 프로토콜[3,4,7]에서는 PKI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공개키에 대한 인증서를 발행하고, 폐기하는 CA(Certificate Authority)와 같은 제 3 신뢰기관이 필요하다.

나날이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생활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AOL, Gmail, MSN, Yahoo와 같은 주된 사업자들도 모바일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모바일의 이동성과 무선과 같은 특징으로 인해 보안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이 더욱 크다. 모바일 서비스는 이미 넓게 상용화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는 PKI를 지원하지 않는다. 더군다나 모바일 장치는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KI를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계산을 수행할 만한 능력이 충분치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안전한 이메일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율적인 패스워드 기반의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즉, 장기 사용되는 사용자와 서버의 비밀키가 노출되더라도, 그이전에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기밀성을 보장한다. 또한 이전의 이메일 프로토콜과는 달리 PKI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인증서 발급과 검증, 페기와 같은 인증서 관리의 문제가 없다. 제안하는 이메일 프로토콜은 현재 널리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메일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한 이메일 프로토콜이다.

Ⅱ. 이메일 프로토콜의 보안 요구사항

이메일 프로토콜에서 요구되는 안전성은 인증과 메시지 기밀성과 전방향 안전성이다. 인증이란 메시지 위조 및 변조 등과 같은 공격을 통해서 프로토콜 개체를 위장할 수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약 이메일 프로토콜이 인증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송신자를 위장하여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보내는 것과 같은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기밀성이란 전송되는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정당한 수신자 이외에 얻을 수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전방향 안전성이란 사용자와 서버들의 롱텀 비밀키(long-term secret key)가 노출되더라도 그 이전에 전송된 암호화된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Ⅲ.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된 이메일 프로토콜

본 장에서는 인증서 사용이 없이 메일 계정의 패스워드만을 이용하는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된 이메일 프로토콜인 PAE(PasswordBased Authenticated E-mail)를 제안한다.

인증된 키 교환에서는(AKE, Authenticated Key Exchange) 통신에 참여하는 개체 간 인증을 통해 그들 사이에 숏텀키(short-term key) 또는 세션키를 공유한다. 패스워드 기반의 AKE(PAKE,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의 경우, 오직 사람이 기억하는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인증하며, 세션키를 공유한다. PAE 프로토콜은 PAKE를 기본 요소로 사용한다.

프로토콜에는 메일 서버 SA와 SA에 등록된 송신자 A, 메일 서버 SB와 SB에 등록된 수신자 B, 이렇게 네 참여자가 존재한다. 여기서 서버 SA와 SB가 같을 경우 PAE는 쉽게 수정 가능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SA와 SB가 서로 다른 메일 서버라고 가정한다. 사용자 A(B)는 패스워드 pwA (pwB)를 사용하고, 서버 SA(SB)는 사전에 PWA = H(pwA)(PWB = (pwB))를 저장한다.

PAE는 로그인 단계, 메일 송신 단계, 메일 수신 단계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로그인 단계에서 사용자와 사용자의 메일 서버는 세션키를 공유하기 위해 PAKE 프로토콜을 실행한다. PAKE 프로토콜로 PAE는 Kobara[8]등에 의해 제안된 두 개체간의 PAKE 스킴을 수정하여 사용한다. Kobara 등에 의해 제안된 PAKE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이유는 기존 제안된 PAKE 프로토콜 중에 이상적인 함수와 같은 랜덤 오라클(random oracle)을 필요치 않는 구조이면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알려진 프로토콜이기 때문이다. 송신 단계에서 메일 송신자는 수신자에게 이메일을 전송한다. 이 단계에서 수신자는 온라인일 필요는 없다. 수신 단계에서 수신자는 이메일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받는다. 이 단계에서 송신자는 온라인일 필요는 없다.

3.1 공개 정보

다음은 프로토콜의 모든 개체에게 공개되는 공개 정보이다.

[표 1] 기 호

3.2 PAE 프로토콜

프로토콜 설명에서 개체 아이디는 개체의 이름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송신자 A는 모바일 장치에 일회용 (one-time) 개인키와 공개키 쌍인 (αAA)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일회용 개인키와 공개키 쌍을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공개키 암호 스킴 PE의 키 생성알고리즘 K를 사용하여 공개키로부터 개인키를 유도해 낼 수 없도록 생성한다. A의 메일 서버 SA는 A와 이전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얻은 (A,βA)을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유사하게 수신자 B도 (αBB)를 가지며, B의 메일 서버 SB는 (B,βB)를 저장한다. (αAA)와 (B,βB)는 한번만 쓰이는 값이며, 프로토콜에서 수신자의 일회용 공개키 βB는 프로토콜에서 생성되는 세션키인 kSS, KA, KB로 암호화되기 때문에 세션키(kSS, KA, KB)를 알 수 있는 사람만이 암호화 및 복호화를 할 수 있다. βB를 변조하기 위해서는 세션키(kSS, KA, KB)를 알아야 하므로 βB에 대한 인증은 세션키(kSS, KA, KB)를 통해 이뤄진다. 따라서 프로토콜에서 βB에 대한 공개키 인증서는 전혀 필요하지 않는다. [그림 1]은 PAE 프로토콜을 나타내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그림 1] PAE 프로토콜

A의 로그인 단계: A가 서버 SA에 로그인하고자 할때, A와 SA는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을 시행한다.

(1) A는 PWA = H(pwA)를 계산하고, 랜덤 값 xA#를 선택한다. 그리고(A,XA = ## mod p)를 SA 에게 전송한다.

(2) SA도 랜덤값 yA#를 선택하고, (SA, # = ## mod p)를 A에게 전송한다.

(3) A는 kA = (#)xA mod p 와τA = # (A║SA║XA# )를 계산하고, τA를 SA에게 전송한다.

(4) SA도 kA = (XA/#)yA mod p 와#= MackA (SA║A║XA#)를 계산한 후, # 를 A에게 전송한다.

(5) A(SA)는 #A)를 검증한다. 만약 MAC 태그가 유효하지 않다면 프로토콜을 중단하고, 그렇지 않다면 A와 SA는 세션키 KA =# (A║SA║XA# )를 계산한다.

A의 메일 송신 단계: A가 B에게 메시지 m을 전송하고자 할 때, A와 SA 그리고 SB는 다음과 같이 프로토콜을 시행한다.

(1) A는 SA에게 # (A║SA║B)를 전송한다.

(2) SA와 SB는 안전한 AKE(Authenticated Key Exchang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세션키 kss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서버 간에는 공개키 기반의 AKE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세션키를 공유할 수 있다.)

(3) SB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B,βB)를 이용하여 YB = # (SB║SA║B║βB)를 만들어 SA에게 전송한다.

(4) YB를 수신 후에 SA는 YA = # (SA║A║B║βB)를 A에게 전송한다.

(5) A는 KA를 사용하여 YA를 복호하여 βB를 얻는다. Z= # (A║B║m)를 계산하고, Z1 = #(A║B║Z)을 SA에게 전송한다.

(6) SA는 KA를 사용하여 Z1을 복호한 후 Z를 얻고, Z2 = # (SA║SB║Z)를 SB에게 전송한다.

(7) Z2를 전송 받은 후, SB는 kSS로 Z2를 복호하여 Z 를 얻고, (A, B, Z3 = # (Z))를 저장한다.

B의 로그인 단계: A의 로그인 단계와 동일하다. B가 성공적으로 SB에 로그인한 후에 B와 SB는 세션키 KB를 교환한다.

B의 메일 수신 단계:

(1) SB은 Z3을 B에게 전송한다.

(2) B는 KB를 이용하여 Z3을 복호하여 Z를 얻고,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개인키 βB를 이용하여 Z로부터 메시지 m을 얻는다. B는 새로운 일회용 개인 키/공개키 쌍 (α′B,β′B)를 PK를 사용하여 생성하고, 모바일 장치에 (αBB)를 (α′B,β′B)로 대체한다. 그리고 나서 #(B║SB║β′B)를 S B에게 전송한다.

(3) SB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B, βB)를 (B, β′B)로대체한다.

Ⅳ. 안전성 및 효율성 분석

4.1 안전성 분석

다음에서 PAE가 인증 및 메시지 기밀성과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함을 보인다.

인증 및 메시지 기밀성: PAE에서 만약 인증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위장 공격과 메시지 기밀성에 대한 공격이 가능하다.

(1) 만약 공격자가 메일 서버 SA에게 메일 송신자 A를 위장할 수 있다면 공격자는 송신자의 메일 서버와 동일한 세션키 KA를 성공적으로 공유할 수 있고, 공유한 세션키를 이용하여 자신이 보내고자 하는 이메일을 A가 보낸 것처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공격자가 수신자 메일 서버 SB에게 송신자 메일 서버 SA로 위장할 수 있다면 공격자는 SB와 동일한 세션키 kSS를 성공적으로 공유할 수 있고, 공유한 세션키를 이용하여 자신이 보내고자 하는 이메일을 A가 보낸 것처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만약 공격자가 메일 수신자 B에게 메일 서버 SB를 위장할 수 있다면 공격자는 수신자와 동일한 세션키 KB를 성공적 으로 공유할 수 있고, 공유한 세션키를 이용하여 B의 일회용 공개키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격자는 자신이 보내고자 하는 이메일을 A가 보낸 것처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2) PAE에서 이메일 메시지는 수신자 B의 일회용 공개키 βB로 암호화된다. 만약 공격자가 송신자 A에게 메일 서버 SA로 위장할 수 있다면 공격자는 송신자와 동일한 세션키 KA를 성공적으로 공유할 수 있고, 공유한 세션키를 이용하여 자신이 선택한 일회용 공개키를 송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송신자는 공격자의 일회용 공개키로 메시지를 암호화하게 되기 때문에 공격자는 자신의 일회용 비밀키를 이용하여 송신자의 메일 메시지를 복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공격자가 송신자 메일 서버 SA에게 수신자 메일 서버 SB로 위장할수 있다면 공격자는 SA와 동일한 세션키 kSS를 성공적으로 공유할 수 있고, 공유한 세션키를 이용 하여 자신이 선택한 일회용 공개키를 송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격자는 자신의 일회용 비밀키를 이용하여 송신자의 메일 메시지를 복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PAE의 인증 및 메시지 기밀성은 사용자와 메일 서버 간에 설립된 세션키와 메일 서버 간에 설립된 세션키의 기밀성에 기반한다. 따라서 SE와 PE가 모두 안전한 암호 스킴이라는 가정 하에 PAE의 인증 및 메시지 기밀성에 대한 안전성은 세션키의 키 기밀성(key secrecy)을 통해 보인다. 키 기밀성이란 계산적으로 제한된 능력을 가진 공격자가 프로토콜의 정직한 참가자에게 자신이 선택한 메시지를 보내거나 도청을 통해서 공유된 세션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키 기밀성은 공격자 Eve가 임의의 난수로부터 세션 키를 구분하는 확률로 측정된다. Eve가 주어진 챌린지(challenge) 값이 실제 세션키 인지 랜덤 값 인지를 올바르게 구분할 확률을 Pr [CG]라고 할 때, l이 안전성 파라미터(security parameter)일 때, Eve의 이득 (advantage)은 AdvEve(l)= 2∙Pr [CG] -1 이다. 만약 t 가 공격자에게 허용되는 시간이라고 할 때, 모든 다항시간(polynomial time) 공격자들에 대해서 Adv(l,t) = #{AdvEve (l)}가 무시할만한(negligible)1) 값이라면, 프로토콜은 키 기밀성을 제공한다고 한다.

PAE의 키 기밀성은 결정적 디피-헬만 가정(DDH assumption)에 기반한다. DDH 문제는 G=〈g〉가 소수인 q를 위수로 갖는 순환군이고, (g,U,V,W)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값이 실제 DDH 값인지 랜덤한 값인지를 구분하는 문제이다. 만약 다음의 부등식을 만족한다면, 알고리즘 D는 ε의 이득(advantage) AdvG,D ddh 로 DDH 문제를 푼다고 한다:

|Pr [u,v ← Zq : D(g,gu,gv ,guv ) = 1] - 

Pr [u,v,w← Zq : D(g,gu,gv ,gw ) = 1]| ≥ ε.

만약 t가 공격자에게 허용되는 시간이라고 할 때, 모든 다항 시간 공격자들에 대해서 #(t)= max D {#}가 무시할만한(negligible) 값이라면, 그룹 G에서 DDH 가정을 만족한다고 한다.

만약 PAE의 공격자 Eve가 KA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면, Eve는 랜덤 값과 세션키 KA를 무시할 수 없는(non-negligible) 확률로 구분해 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KA에 대한 키 기밀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DDH 문제가 어렵다는 가정이 성립할 때, 공격자 Eve가 KA와 랜덤 값을 다항 시간 내에 구별할 수 없음을 보인다.

Eve의 이득(advantage), AdvEve(l)을 계산하기 위해 우선 두 게임 Game0과 Game1을 정의한다. Game0에서 프로토콜 메시지는 PAE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된다. Game1에서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MAC 키인 kA를 랜덤 값으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만약 두 게임에서 Eve 의 이득이 무시할 수 없는 확률로 다르다면 Eve를 사용하여 DDH 문제를 무시할 수 없는 확률로 푸는 알고리즘 D를 다음과 같이 만들 수 있다. 이것은 DDH 문제가 어렵다는 사실에 모순되므로 무시할 수 없는 확률로 다항 시간 안에 세션키에 대한 기밀성을 깨는 공격자가 존재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D에는 DDH 문제 사례의 입력 값 (g1, U = #, V = # , W)이 주어진다. D는 W= #이면, 1을 출력하고, W가 랜덤한 값이라면 0을 출력한다. D는 입력 값을 프로토콜의 메시지에 다음과 같이 심는다. D는 XA= U∙# mod p, # =V∙# mod p, kA = W를 계산한다. 그리고 Eve에게 챌린지 값으로 동전 던지기(coin fliping)를 하여 앞면이 나오면 kA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계산한 KA를 주고, 뒷면이 나오면 랜덤 값을 준다. Eve는 챌린지 값이 실제 세션키라면 1을 출력하고, 랜덤한 값이라면 0을 출력한다. D는 Eve의 답을 DDH 문제의 답으로 그대로 출력하며 종료한다.

DDH 문제의 해답과 키를 구분하는 문제의 해답은 동일하다. D는 (g1,U,V,W)가 DDH 값이 맞느냐 아니냐에 따라 Game0 또는 Game1을 Eve에게 완벽히 시뮬레이션해 줄 수 있다. 즉, 만약 (g1,U,V,W)이 DDH 값이 맞으면 D은 Game0을 시뮬레이션하고, 그렇지 않으면 Game1을 시뮬레이션한다. 따라서 D가 성공할 확률 # 가 다음과 같다고 할 때, |Game0에서 Eve의 Pr [CG] - Game1에서 Eve의 Pr [CG]|= #가 된다.

# = |Pr [u,v ← # , (g1, U,V,W)←(g1,#) : 

D(g1, U,V,W)] = 1| -

|Pr [u,v,w ← # , (g1, U,V,W)←(g1,#) : 

D(g1, U,V,W)] = 1|.

Game1에서 kA는 랜덤 값이므로 프로토콜 메시지와는 독립적이다. 이로부터 KA 또한 프로토콜 메시지와 독립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Game1에서 Eve의 Pr [CG]는 1/2보다 클 수 없다. 따라서 AdvPAE(l,t) ≤≤ #이다. KB에 대한 키 기밀성 역시 이와 마찬가지로 증명된다.

두 메일 서버간의 세션키 kSS 또한 안전한 AK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설립되기 때문에 랜덤 값과 구별 가능 하지 않다.

전방향 안전성: 두 서버가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지 않는 AK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세션키 kSS를 공유했다고 가정해보자. AKE가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공격자는 서버의 롱텀키를 이용하여 두 서버 간의 세션키 kSS를 계산할 수 있다. 공격자는 kSS를 이용 하여 YB를 복호화 함으로써 B의 일회용 공개키 βB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공격자는 일회용 공개키 βB에 대응하는 일회용 개인키 αB값을 계산할 수 없으므로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를 복호화 할 수 없다. 따라서 롱텀키가 노출되기 이전에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에 대해서 어떠한 정보도 얻을 수 없다. 공격자가 pwA와 pwB를 획득했을 경우, 사용자와 서버간의 임시키 kA와 kB는 Diffie-Hellman 키 교환 기법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공격자는 pwA와 pwB로부터 세션키 KA또는 KB를 알아낼 수 없으며 βB에 대한 정보도 알아낼 수 없다.

주의: PAE는 정직하게 행동하는 서버들 간에 이메일 메시지의 기밀성을 제공한다. 즉, 서버들은 도청을 통해서 사용자의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얻을수 없다. 그러나 만약 서버들이 정직하지 않게 프로토콜을 수행한다면, 서버는 모든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알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알아낼 수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공개키 기반의 이메일 프로토콜에 비하여 패스워드만을 비밀키로 사용하는 모든 패스워드 기반의 이메일 프로토콜이 가지는 부득이한 사항이다.

4.2 효율성 분석

[표 2]에서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며 안전하다고 알려진 이메일 프로토콜과 제안 프로토콜의 계산량을 비교한다. 프로토콜들에서 수행하는 연산 중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연산은 지수승 연산이기 때문에 표에서는 지 수승 연산만을 비교한다. [표 3]에서는 [3]에서와 같이 송신자 측에서 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전에 계산 가능한 부분은 제외하고 온라인으로 수행해야하는 지수승 연산과 수신자 측에서 메일을 복호화하기 위해서 수행 해야하는 지수승 연산을 비교한다. 그리고 사용자 측의 공개키 인증서 검증의 필요성 대해 비교한다.

[표 2]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안전한 이메일 프로토콜의 효율성 및 인증서 검증 여부 비교

*CertVfy: 인증서 검증 시 필요한 지수승 연산, Sig: 서명 생성 시 필요한 지수승 연산, Vfy: 서명 검증 시 필요한 지 수승 연산,

PEnc: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에 필요한 지수승 연산, PDec: 공개키 복호 알고리즘에 필요한 지수승 연산

Ⅴ. 결론

본 논문에서는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된 이메일 프로토콜인 PAE를 제안한다. PAE는 사용자가 공개키 인증서 없이 메일 계정의 패스워드만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이메일을 주고받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PAE는 공개키 기반구조(PKI)를 적용하기 어려운 여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이메일 프로토콜이라 할 수 있다.

References

  1. A. Bacard, The Computer Privacy Handbook: A Practical Guide to EMail Encryption, Data Protection, and PGP Privacy Software, Peachpit Press, Jan. 1995
  2. B. Schneier, E-Mail Security with PGP and PEM: How to Keep Your Electronic Mail Private, John Wiley Press, Jan. 1995
  3. H.M. Sun, B.T. Hsieh, and H.J. Hwang, "Secure E-mail Protocols Providing Perfect Forward Secrecy,"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9, no. 1, pp. 58-60, Jan. 2005
  4. B.H. Kim, J.H. Koo, and D.H. Lee, "Robust E-Mail Protocols with Perfect Forward Secrecy,"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10, no. 6, pp. 510-512, June 2006 https://doi.org/10.1109/LCOMM.2006.1638632
  5. A.W. Dent, "Flaws in an E-Mail Protocol of Sun, Hsieh, and Hwang,"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9, no. 8, pp. 718-719, Aug. 2005 https://doi.org/10.1109/LCOMM.2005.1496593
  6. E.J. Yoon and K.Y. Yoo, "Cryptanalysis of Robust E-Mail Protocols with Perfect Forward Secrecy,"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11, no. 5, pp. 372-374, May 2007. https://doi.org/10.1109/LCOMM.2007.061770
  7. 이창용, 김대영, 심동호, 김상진, 오희국, "완전한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저자우편 프로토콜," 정보보호학회논문지, 17(5), pp. 27-38, 2007년 10월
  8. K. Kobara and H. Imai, "Pretty-simple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under standard assumption," IEICE Transactions on Fundamentals, vol. E85-A, no. 10, pp. 2229-2237, Oct. 2002
  9. 김범한, 구재형, 이동훈, "완전한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이메일 프로토콜," 한국정보보호학회 충청지부 학술대회, pp. 37-48, 2005년 10월
  10. 이창용, 김대영, 김상진, 오희국, "Signcryption 기반의 완전한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는 이메일 프로토콜," 한국정보보호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pp. 344-348, 2006년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