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s or Praxis? - Discourse Analysis and Refle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Family Studies -

유행인가? 실행(Praxis)인가? - 가족연구에서의 다문화가족 담론분석과 성찰 -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illustrate academic trends that can be gleaned from family studies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to gain a suggestion of the relatedness between discourse and practice by reviewing research in that field. The results of discour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family studies set limited focal subjects. Second, the research accepts assimilationism as a primary multicultural policy set forward by the Korean Government. Third, the research reflects a more or less conservative consciousness of family maintenance. Fourth,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perspectives from the perception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passive minorities to more active agents. Lastly, the research perceives family life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a project for practice.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2007). 국제결혼 가족복지 지원서비스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2(3), 131-145
  2. 강기정.정천석(2009). 다문화가족 부부의 가정생활 적응에 대한 경험.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3. 강성희(2009). 다문화가정 현황 및 지원 사례: 강북구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 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4. 강유진(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5. 강혜경.계선자.김연화(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 교과목 개발.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6. 계선자.강혜경.정미선(2009). 다문화가족의결혼적응력향상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7. 구견서(2003).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현상과 인식, 가을, 29-53
  8.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 319-360
  9. 김경신(2006). 결혼이민자가족의 수용과 정착을 위한 학문적, 실천적 측면에서의 접근. 결혼이민자가족: 다양성과 공존을 향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0. 김경신(2009). 다문화가족 사업 평가 및 정책 대안. 한국가족정책의 성찰과 전망.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1. 김귀분 외(2005).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현문사
  12. 김도희.김성이.신효진(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9(3), 53~78
  13. 김연수(2007).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 217-252
  14. 김영옥(2007). 새로운'시민들'의 등장과 다문화주의 논의. 아시아여성연구, 46(2), 129-159
  15. 김오남(2006a).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3), 63-106
  16. 김오남(2006b).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17. 김오남(2007).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2(3), 47-73
  18. 김오남(2008). 결혼이민자가족의 이해. 서울: 집문당
  19. 김오남.김경신.이정화(2008). 결혼이민자 남편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69-84
  20. 김은경(2008). 중소도시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83-94
  21. 김인숙(2004). 사회복지사의 '가족' 담론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2), 53-70
  22. 김재현(1996). 하버마스 사상의 형성과 발전. 장춘익 외 저. 하버마스의 사상: 주요주제와 쟁점들(pp. 19-62). 서울: 나남출판
  23. 김현미(2008). 이주자와다문화주의. 현대사회와 문화, 26, 57-76
  24. 김희정(2007).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적용. 오경석외저. 한국에서의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pp. 57-79). 서울: 한울아카데미
  25. 문경희(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을계기로살펴보는다문화주의와 한국의 다문화현상. 21세기정치학회보, 16(3), 67-93
  26. 박구용(2003). 우리 안의 타자: 인권과 인정의 철학적 담론. 서울:철학과 현실사
  27. 박정숙.박옥임.김진희(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관한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28. 박종보.조용만(2006). 다문화가족지원법 마련을 위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9. 박진숙.전혜정(2009). 난민가정의문화정체성에대한문화기술 지적 사례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31
  30. 박해광(1999). 경영담론의특성과노동자수용에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1. 보건복지가족부(2009). http://www.mw.go.kr
  32. 서홍란.김기언.김양호(2008).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21-143
  33. 설동훈(2006). 한국인결혼이민자가족: 현황과 정책. 결혼이민자 가족: 다양성과 공존을 향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4. 송미성(2008) 국제결혼을 통한 가족의 형성: 미군과 결혼한 한인여성의가족관계를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5. 신경희.양성은(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 1-8
  36. 심상준(2009). 베트남의생활문화: 한국의 다문화가정의 상관속에서.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37. 양순미.정현숙(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대한영향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38. 양옥경.송민경.임세와(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 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37-168
  39. 오강남 주석(1995). 도덕경. 서울: 현암사
  40. 오경석(2007).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조망. 오경석외저. 한국에서의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pp. 22-56). 서울: 한울아카데미
  41. 오윤자(2007). 결혼이민자가족을 위한 통합지원 패러다임모색에 대한 탐색적 연구: 동대문구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73-92
  42. 오윤자(2009).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 본 다문화가족 지원 현황. 한국가족정책의 성찰과 전망.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3. 오윤자.도은숙(2009).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가족 역량 강화 교육 현황.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44. 오윤자.박선민.배지영(2008). 다문화가족지원 상담서비스 실태조사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5. 오윤자.배지영(2009).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본 다문화 인식개선 실태탐색연구. 다문화사회와생활문화: 아시아 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46. 옥선화(2009). 다문화사회와 생활과학의 역할.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47. 유명기(2004). 소수자 그 무적의 논리. 최협.김성국.정근식.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 한울
  48. 윤평중(1998). 담론이론의 사회철학. 서울: 문예출판사
  49. 이무영.강기정(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 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집단프로그램의효과.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2(2), 29-44
  50. 이미승.김갑숙(2008). 집단미술치료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 적응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3(4), 123-143
  51. 이상길.안지현(2007). 다문화주의와 미디어/문화연구: 국내연구동향의 검토와 새로운전망의 모색. 다문화사회 한국사회과학의 과제 심포지엄 자료집. 성대 동아시아지역 연구소
  52. 이소희.최운선(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문화정체감과 사회적관계에관한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3), 163-185
  53. 이양희.황소영.김진희.이혜숙.윤보람(2008). 다문화가정의 가족응집력과 가족적응력 및 아동의 학교탄력성간의 관계: 농촌 국제결혼자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4. 이영주(2008).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3(1), 79-101
  55. 이은주(2007). 결혼이민여성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시론적 연구. 가족과 문화, 19(1), 29~60
  56. 이정우(1994). 담론의 공간: 주체철학에서 담론학으로. 서울:민음사
  57. 이지선.천혜정(2008). 한국남성과 연애 결혼한 일본여성의 한국 결혼생활 적응의 의미에 과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2), 57-76
  58. 이철우(2004). 시민권, 어떤 개념인가.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59. 이혜경(2004). 국가간 노동이주와 국제결혼가정의 문제. 가족과 차이. 한국가족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60. 임주용.오윤자(2009). 청소년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효능감.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61. 임혁백(2000). 통일기반조성을위한민족화해방안. 민주통합과 국민 화합의 새 패러다임. 민주평통 통일연구회 제1차 정책포럼 보고서
  62. 임홍빈(2001). 인권개념의 철학적 정당화와 문화다원주의. 철학연구, 54
  63. 장은주(2000). 문화적 차이와 인권 -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철학연구, 49
  64. 장진경.전종미.신유경(2008).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가족의 적응성 저해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65. 장진경.전종미.신유경(2009).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가족의 레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 문화권의소통과공존을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66. 전홍주.배소영.곽금주(2008).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9(3), 161-186
  67. 정현숙.양순미(2009). 농촌의 혼인 관련 인구학적 현황과 농촌 미혼남성의 혼인과 국제결혼 관련 태도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17-29
  68. 정혜실(2007). 파키스탄 이주노동자와 결혼한 여성들의 이야기. 오경석 외 저.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pp.167-194). 서울: 한울아카데미
  69. 조성은.정지영.김명희(2009).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70. 조영달(2005). 제도공간의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71. 조형(2006). 여성주의 시민화시대의 시티즌십과 시민사회. 여성주의 시티즌십의 모색. 서울: 이화여대 출판부
  72. 조희금(2009). 몽골 결혼이민자여성의 원가족에 대한 이해.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73. 진미정(2006). 새터민의 자아존중감 및 내적 귀인성향에 따른 사회문화적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44(7), 141-152
  74. 진미정.이순형(2007). 가족특성에 따른 새터민의 사회문화적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45(5), 63-74
  75. 차성란(2009). 다문화가정의가정생활문화통합의지향성. 다문화 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공동학술대회 자료집
  76. 채옥희(2006). 국제결혼가족지원 프로그램. 결혼이민자가족:다양성과 공존을 향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77. 채옥희(2009). 몽골 다문화가족 생활 실태.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아시아문화권의 소통과 공존을 위하여. 대한가정학회.한국몽골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78. 채옥희.홍달아기(2005). 국제결혼 부부의 갈등과 대처에 관한 연구. 생활자원개발연구, 7, 1-17
  79. 채옥희.홍달아기(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건강가정을 위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력 향상 교육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63-78
  80. 채옥희.홍달아기(2007).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61-73
  81. 채옥희.홍달아기.김정훈.이남주(2006). 국제결혼가족의 가정생활 적응 전략. 결혼이민자가족: 다양성과 공존을 향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2. 최금해(2005).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과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 219-244
  83. 최나야.우현경.정현심.박혜준.이순형(2009).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255-268
  84. 최배영(2009).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초급한국어교재의 생활문화 내용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107-125
  85. 최성환(2008).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전망: 문화형식(이해)의 변동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24, 287-310
  86. 최연실(2008). 인구통계자료에 나타난 한국인 국제결혼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9-298
  87. 최연실(2009). 한.일 다문화가족의 경험과 적응. 한국가족정책의 성찰과 전망.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88. 최연실.권용혁.김태성.우실하(2007). 한.중 국제결혼에 서의 갈등과 적응: '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251-299
  89. 최종렬(2008).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지형과 쟁점. 다문화사회를 향한 전망과 정책적 대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주최 심포지엄 자료집
  90. 추현화.박옥임.김진희.박준섭(2008).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4), 85-101
  91. 통계청(2009). http://kosis.nos.go.kr
  92. 한건수(2003). 타자만들기: 한국 사회의 이주노동자의 이미지. 비교문화연구, 9(2), 157-193
  93. 한승완(2007). '다문화주의' 담론과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정책방향. 정책연구, 151, 1-33
  94. 한인섭(2000). 왜 '소수자, 약자의 인권'인가. 한국인권재단 편. 일상의 억압과 소수자의 인권. 서울: 사람생각
  95. 홍기혜(2000).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6. 홍달아기.채옥희(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 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97. 홍달아기.채옥희(2007). 국제결혼 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 유형과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98. Castles, S., & Davidson, A.(2000). Citizenship and migration: Glob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belonging. N.Y.: Routledge
  99. Cheek, J.(2000). Postmodern and poststructural approaches to nursing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이은주 역(2005). 간호학연구방법론: 포스트모던 포스트 구조주의 접근법. 서울: 대학서림
  100. Cheek, J., & Rudge, T.(1994). Inquiry into nursing as textually mediated discourse. In P.Chinn(Ed.), Advances in methods of inquiry for nursing(pp. 59-67). Gaithersberg, MD: Aspen
  101. Gouldner, A. W.(1971). The coming crisis of Western sociology. NY: Basic Books. 김쾌상 역(1981). 현대사회학의 위기. 서울: 한길사
  102. Gubrium, J. F., & Holstein, J. A.(1990). What is family? Mountain View, California: Mayfield. 최연실.조은숙.성미애 공역(1997). 가족이란 무엇인가?: 사회구성 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담론. 서울: 하우
  103. Kimlicka, W.(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Oxford: Clarendon Press
  104. Kimlicka, W., & Banting, K.(2006). Immigration, multiculturalism, and the welfare state. Ethics & International Affairs, 20
  105. Macdonell, D. Theories of Discourse. 임상훈 역(1992). 담론이란 무엇인가
  106. Osmond, M. W.(1987). Radical-critical theories. In M. B. Sussman & S. K. Steinmetz(Eds.), Handbook of marriage and family(pp. 103-124). NY: Plenum
  107. Parker, I.(1992). Discourse dynamics: Critical analysis for social and individual psychology. London: Routledge
  108. Potter, J.(1997). Discourse analysis as a way of analysing naturally occuring talk. In D. Silverman(Ed.), Qualitative research: Theory, method and practice(pp.144-160). Lonson: Sage
  109. van Dijk, T.(1997). Analysing discourse analysis. Discourse and Society, 8(1), 5-6 https://doi.org/10.1177/09579265970080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