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Child - A Hermeneutic Understaning of Child's Cultures

유아 이해하기 - '유아 문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Published : 2009.12.28

Abstract

Understanding' the child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comes from sympathizing with the opinion that understanding the child on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ges has a certain limit and it needs the deep understanding which can not be solved by the existing quantitative researching method only. This study suggests reading the child's culture from the point of the hermeneutical view as one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ild wholistically. By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and to analyze the child deeply, our subject to understand, including the past, the current and the future of the child, and I hope that it will become one communicating way to share the life and the culture of the child.

유아를 '이해한다'는 것은 최근 유아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는 유아를 발달단계상 특징으로만 이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양적 연구방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공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서 해석학적 관점으로 유아문화 읽기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이해 대상인 유아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포함한 심층적 이해와 해석이 가능하며, 그들의 삶과 문화를 공유하는 하나의 소통 방식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광규, "문화인류학의 세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2.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제2권, 제2호, pp.27-63, 1999.
  3. 변호걸, "실증주의 교육학 이론에 대한 해석학의 비판과 함의", 건국대학교 대학원 학술논문집, pp.33-48, 1993.
  4. 유혜령, "질적 아동 연구를 위한 해석학의 방법론적 시사", 아동학회지, 제18권, 제2호, pp.57-71. 1997.
  5. H. G. Gadamer, "Truth and Method," J. Weinshmeier & D. G. Marshall., New York:Coninum., 1996.
  6. 최신일, "해석학과 구성주의", 대구대학교 초등교육 연구소 논문집, 1998.
  7. 한선아, "한국 전래동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8. 유혜령, "전통 아동놀이 연구의 대안적 접근:의미론적 해석", 교육인류학 연구, 제4권, 제3호, pp.153-17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