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pe for a Scholarly identity by Comparative Analysis in curriculum of Department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Studies

"경호학과"와 "경호비서학과"의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경호비서의 정체성 모색

  • 공배완 (경남대학교 법정대학 경호비서학부)
  • Received : 2007.07.26
  • Accepted : 2009.08.25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Recently the demand for civil protection and security guards shows rapid growth by the social develop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However the supply and education system have some limitations in spite of the high demand guard-secretary. The main role of secretaries has been to accompany superiors in order to maintain their dignity or trait. However, the secretaries are required to play additional roles of safety managers such as a security manager, a protocol manager, an intelligence manager and a protective driver in order to overcome the domestic and the international safety environment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service as a competitive wo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current situation of curriculum on security guard training at the universities related to this department, and to seek an educational model for this area. For that,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examined. First, Do the professional training organizations meet social demand for the body and security guards? Second, What kind of training has to be provide for the body and security guards? and what the qualifications of the trainers? Then,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raining courses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Is there differences in the job placement among the trainers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etc.. In summary to meet the social demand common curriculum for the body and security guard will be drawn from the analyses of diverse training organizations with different training courses in contents, training periods, educational value, and social aim. For the scholarly identity to the security and secretary studies is th following on the core curriculum, then the university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for that. It is need to arrange the curriculum that is actually current at College or University for the suggestions on scholarly identity and development of the security and secretary studies.

경호경비 또는 경호비서분야가 학문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한지도 15여년의 세월이 흐르고 있다. 경호분야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도는 처음보다는 감소되고 있는 듯하나, 여전히 사회안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각종의 사회범죄 증가와 더불어 사회불안이 가중됨으로써 사회안전에 대한 민간분야에의 의존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대학에서의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치도 상승되고 있고, 대학의 사회적 역할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경호분야에 대한 학과의 정체성 및 학문적 정체성은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경호비서학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경호비서학과의 정체성을 모색하고 학문적 발전성을 제안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경호비서학부(과)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대학은 5개 학교로 조사되고 있고, 경호학부(과)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곳은 4개 대학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학과들에 대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정착을 통한 학문적 정체성을 본 연구에서는 도출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교육목표를 지향하면서 학교별로 차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은 전문교육의 미분화현상, 또는 학문적 미정착 현상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경호비서분야의 학문적 정착문제 또는 정체성 문제는 관련분야의 내부적인 문제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경호비서분야의 사회적 수요와 교육적인 특성을 감안하여 이러한 문제들은 학교 간 또는 학자들 간의 노력을 통해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