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 Meaning of PungGongYuBoDoRyak

"풍공유보도략(豊公遺寶圖略)"의 복식사적 의미

  • 장인우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Punggongyubodoryake. Punggongyubodoryak was the records and pictures written by Ohgyeongmun(吳景文, Painter) and Gangbonpungeon(岡本豊彦, a Japanese painter, 1773~1745). in 1832. Those records and pictures were about the gifts which Korea's King(宣祖, 1567-1608) sent to Doyotomi Hideyosi(豊臣秀吉, Pungsinsugil) in 1590. Most of the gifts were of the Korean costume, which meant that Korea recognized Doyotomi Hideyosi as the new general of Japan, Tokugawa Shogunate(幕府將軍). The pictures of every Clothing in punggongyubodoryake described forms of every cloth and delineated ornamental patterns and sizes of clothing as closely as actual, they were clothes of the Middle period of Chosun. the author of the study inferred that it would be one of the impotent material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mong the clothes, there were several danryeongs(단령, ceremonial coat), okgwan (玉冠 woman headdress with) and paeok(佩玉, pendents with jade stings) and choongdan(中單 ceremonial undercoat) and Sang(裳, ceremonial Skirts for man), gyeontongsuseulran (肩通袖膝襕, chinese coat) was recorded in punggongyubodoryake. they were not a set of clothes for ceremonial costume but a mixture of men's and women's costume, of korean and abroad styles. the author inferred that this phenomenon was actually a good proof that the gifts were sent to Hideyosi only as courtesy, which meant for downgrading the receiver.

Keywords

References

  1. 이자연 (2002). 朝鮮前期 朝鮮通信使와 일본사신 간의 교역품을 통하여 본 복식문화연구. 복식, 52(4), pp. 65-73
  2. 이자연 (2003). 1711年 朝鮮通信使 服飾에 관한 硏究. 복식문화연구, 11(4), pp. 541-550
  3. 이자연 (2003). 朝鮮의 使節과 日本使臣 間의 交易品을 통하여 본 朝鮮 前期의 織物文化. 복식문화연구, 11(6), pp. 826-834
  4. 이자연 (2006). '동사록'을 통해 본 1811년의 조선통신사 복식과 교환물품.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3), pp. 269-274
  5. 이주영, 권영숙 (2007). 조선통신사행도를 통해 본 小童의 역할과 복식. 복식, 57(5), pp. 33-44
  6. 신혜성, 박선희 (2007).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복식, 57(10), pp. 99-111
  7. 박성실 (1994). 풍공유보도략에 나타난 宣祖朝 王室服飾. 韓國服飾第12號. 석주선 기념 민속박물관, pp. 105-117
  8. 정은주 (2006). 정덕원년(正德元年)(1711) 朝鮮通信使行列會圈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미술사논단, 23, pp. 205-240
  9. 이이화 (2000). 조선과 일본의 7년전쟁. 한길사, p. 84
  10. 정은주. 앞의 글, 부록 표1 조선통신사 파견연표 참고, p. 231
  11. 김문자 (2005). 이벤트로서의 朝鮮通信使. 日本歷史硏究, 第22輯, pp. 47-58
  12. 高福男 (1986). 韓國傳統服飾史硏究. 一潮閣, p. 472
  13. 박성실 (1994). 풍공유보도략에 나타난 宣祖朝 王室服飾. 韓國服飾第12號. 석주선 기념 민속박물관, pp. 111
  14. 文化財大觀 (1986). 중요민속자료편(Ⅰ).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p. 34
  15. 김영숙, 박윤미 (2007). 朝鮮朝王室服飾(英王服飾中心).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p. 110
  16. 장인우 (1995). 조선중기 출토복식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4-98
  17. 규장각자료총서 금호시리즈의궤편(1994 영인본). 英祖貞純后 嘉禮都監儀軌上. 서울대학교 奎章閣, p. 203
  18. 이은주 (2005). 김여온묘의 출토복식 분석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국립안동대학교박물관, p. 141
  19. 윤진영 (2008). 신경유의 靖社功臣像과 17세기 전반기 武官胸背 圖像. 韓國服飾, 제26호, 단국대학교 선주선기념박물관, pp. 122-125
  20. 樂學軌範(성종 영인본, 1972). 卷之九, 冠服圖說 한국고전총서Ⅱ, 大提閣
  21. 박성실 (1994). 풍공유보도략에 나타난 宣祖朝 王室服飾. 韓國服飾第12號. 석주선 기념 민속박물관, pp. 112
  22. 김미자 (1980). 중국의 단령에 대한 연구. 복식, 3, pp. 47-65
  23.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 제도 변천. 복식, 55(6), pp. 38-50
  24. 신혜성, 박선희 (2007).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복식, 57(10), pp. 99-111
  25. 장인우 (1995). 조선중기 출토복식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4
  26. 김미자. 송미경 (2005). 출토복식의 고찰 인천석남동회곽묘출토복식. 인천광역시립박물관 학술총서2, pp. 110-190
  27. 고부자, 박승원 (2003). 조경묘 출토복식 연구. 조경묘출토유의. 서울역사박물관, pp. 46-126
  28. 송미경, 박진영 (2005).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pp. 190-271
  29. 이은주 (2000). 출토복식의 유형과 조형적 특징. 포항내단리 장기 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대학교박물관, pp. 32-62
  30. 송미경, 박진영 (2006). 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학술총서, pp. 114-171
  31. 이은주 (2000). 이응태 묘의 연습구에 대한 조형적 분석.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보고서. 안동대학교 박물관, pp. 211-241
  32. 이은주 (2000). 이응태 묘의 연습구에 대한 조형적 분석.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보고서. 안동대학교 박물관, pp.38-113
  33. 송미경 (2007). 김확(金矱) 합장묘 출토복식 연구.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안동김씨문온공파. 경기도 박물관학술총서, pp. 148-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