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Dwelling Environment Performance at Skyscraper

초고층 건축물 거주환경성능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박현구 (전남대학교 바이오하우징연구사업단) ;
  • 양승희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공학과) ;
  • 고성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09.06.17
  • Accepted : 2009.11.20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More and more domestic skyscrapers have been rapidly constructed to get enough living space for people living in overcrowded cities. The purpose of skyscrapers is to provide citizens with useful facilities and to establish landmarks and also national and regional symbols.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hich focused on the structure, materials, plans, maintenance, and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skyscrapers. Skyscrapers, however, are different from other smaller buildings regard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well as in other ways. Recently, several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that the indiscreetness of current skyscrapers cannot guarantee residents a high quality living environment, and they might contain risks unless criteria are put forward to ensure that the design and facilities provide for this aim. It is judged that a set of performance criteria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ensure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could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suggest a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skyscrapers by establishing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calculates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factor using AHP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suggests evaluating criteri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opose guidelines for residents at the design and planning stage of building a skyscraper.

과밀 도심의 주거공간 확보 해결책으로 2000년 초부터 도심지내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주거유형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도심 주거시설로써 초고층 건축물의 필요성은 과밀화 현상의 해결 효과와 함께 도시의 상징을 표현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의미가 높다. 그러나 무분별한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은 거주자의 생활환경을 보장해주지 못하며, 설계, 시설기준 등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 한 위험요소를 항상 내포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제 초고층 건축물은 단순한 이미지와 상징성을 떠나 미래의 주거공간을 구성하는 도시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도시와 건축의 유기적인 상호관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거주환경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AHP 분석을 통해 각 영역/범주별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정립하고, 향후 초고층 건축물 계획시 거주환경성능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부성, 초고층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한 제도개선 방향, 대한건축학회 초고층도시건축위원회 및 초고층건축물건설기술개발연구단 세미나, 2007
  2. 국토해양부, 기존 건축물의 종합성능 평가모델 개발,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2002
  3. 김병선, 초고층 건축물의 개요와 발전방향, 한국설비기술협회 설비, pp.36 2007.1
  4. 김선숙 외, 공동주택의 거주성능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제9호, 2004
  5. 박상현 외,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거주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6권 제1호, pp.45-48, 2006
  6. 박현구 외, 초고층 공동주택의 건축적 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8권 제1호, 2007
  7. 손세관, 도시주거 유형으로서의 주상복합건물, 대한건축학회지, 1994
  8. 염동우 외, 지속가능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평가방법을 위한 평가지표 및 가중치 설정 연구, SB07 Seoul, 2007
  9. 이규인 외,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가중치 설정 및 모의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4권 제3호, pp.23-32, 2008
  10. 이제선, 현대도시에서 초고층건물과 도시공간형태 및 도시민의 삶, 2008
  11. 임보람 외, 현대 초고층 건축물의 형태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12호, 2008
  12. 정성운 외, 건축실무자 조사를 통한 초고층 공동주택 거주환경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3권 제11호, pp.11-8, 2007
  13. M. Colomban, M. Zobec and M. kragh An Integrated Design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Building, Building Service System

Cited by

  1. A Study on the Weights Development of LQI(Living Quality Indicator) Indicators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vol.12, pp.6, 2012, https://doi.org/10.9798/KOSHAM.2012.12.6.107
  2. Optimum energy use to satisfy indoor air quality needs vol.46, 2012, https://doi.org/10.1016/j.enbuild.2011.1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