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기온변화 예측과 $CO_2$, CO, 상대습도와의 상관성분석

The Prediction of Ambient Temperature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Relative Humidity in Gwangju

  • 이대행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정원삼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이세행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박강수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김난희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김도술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백계진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 박종태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 Lee, Dae-Haeng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Jeong, Won-Sam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Lee, Se-Haeng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rk, Kang-Soo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Kim, Nan-Hee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Kim, Do-Sool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ik, Ke-Jin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rk, Jong-Tae (Department of Environment Research,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투고 : 2009.05.29
  • 심사 : 2009.11.12
  • 발행 : 2009.11.30

초록

광주지역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기온변화를 예측하고, 광주지역의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상대습도의 상관성연구를 실시하였다. 2008년까지 48년간 광주지역 전체 평균기온은 $13.5^{\circ}C$이며, 2108년까지 100년간 $2.7^{\circ}C$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안면도지역에서 이산화탄소 연평균 농도는 1999년과 2008년에 각각 370.7 ppm과 391.4 ppm으로서 기온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1997년부터 2008년까지 광주의 평균기온은 $14.2^{\circ}C$로 나주, 담양, 화순, 장성지역 보다 훨씬 높았다. 2108년경 광주의 봄 시작일은 1월 중순 이전, 여름의 시작일은 5월 중순, 가을의 시작일은 10월 중순, 겨울의 시작일은 12월 말경으로 전망되었다. 48년간 평균상대습도는 71.3%로 7월이 가장 높았으며, 해가 지날수록 감소하여 연도와는 반대현상을 보여주었다. $CO_2$와 CO는 양의 상관도(0.87)를 보여주었고, 조사기간 중 $CO_2$ 평균 농도는 457 ppm으로 우리나라 배경농도인 안면도의 397.3 ppm(2008)에서 보다 65.6 ppm이나 높았다. $CO_2$는 CO(0.87)와 상대습도 (0.48) 모두에 대하여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The ambient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Gwangju and the reducing method of temperature, air pollutan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atmospheric data in Gwangju. Average ambient temperature ($T_{a-ave}$ was $13.5^{\circ}C$ during 1961 to 2008. The temperature was predicted as increasing of about $2.7^{\circ}C$ in 2108 after 100 years using the trend line of regression equation. Carbon dioxide was 370.7 and 391.4 ppm at Anmyundo, in 1999 and 2008, respectively, showing proportionally increased as ambien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at Gwangju, $14.2^{\circ}C$ during 1997 to 2008, was a little higher than at neighboring counties as Naju, Damyang, Hwasoon, and Jangsung. In Gwangju, Spring will start in mid-January of 2108, Summer in mid-May, Autumn in mid-October, and Winter in last-December.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in the air ($RH_{a-ave}$)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versely increased. The average $CO_2$ was 457 ppm, which is 65.6 ppm higher than that in Anmyundo, korean background area of $CO_2$ in 2008. Carbon dioxi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oth of them, with carbon monoxide (0.87) and relative humidity (0.48).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청, 기후변화 2007 과학적근거(2008)
  2. IPCC,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1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MO/UNEP, Published for IPCC, Houghton, J. T. et al, Cambridge university, UK(2001)
  3. 기상청, 기후변화 2007 종합보고서(2008)
  4. 환경부, 한반도기후변화영향평가및적응프로그램마련: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피해 가능성 조사 및 피해 저감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2003)
  5.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의기후특성(2002)
  6. 환경부, 한반도 및 동아시아 기후변화 추세분석 및 원인규명(2008)
  7. 국립기상연구소, 기후변화 협약 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용기술개발(I), 국립기상연구소연구보고서, MR050C03, 408(2005)
  8. 국립기상연구소, 기후변화 협약 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용기술개발(II), 국립기상연구소연구보고서, MR060C42, 611(2006).
  9. 국립기상연구소, 기후변화 협약 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활용기술개발(III), 국립기상연구소연구보고서, MR070C70, 559(2007)
  10. Kwon, Y. A., Kwon, W. T., Boo, K. O., and Choi, Y. E.,“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J. Korean Geographical Soci., 42(3), 355-367(2007)
  11. 차유미, 이효신, 문자연, 권원태, 부경온“, ECHO-G/S를 활용한 미래동아시아기후전망,”대기지, 17, 55-68(2007)
  12. Kwon, Y. A., Kwon, W. T., and Boo, K. O.,“ Future Projections on the Change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J. Korean Geographical Soc., 42(6), 835-850(2007)
  13. 김수봉, 김해동“, 도시의 수목이 기온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한국조경학회지, 30(3), 25-34(2002)
  14. 김규랑, 권태헌, 김연희, 구해정, 최병철“, 청계천 복원에 따른 온.습도의 시공간적 변화 관측,”기상학회,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팀, 1-2(2006)
  15. 김수봉, 정응호, 김기호“, 대구광역시 중구의 가로수 및 열섬 모자이크현황분석,”한국환경과학회지, 15(4), 325-332(2006)
  16. 김근기,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의 해결을 위한 대체에너지의 개발과 전망: 지속가능한 건물냉방 방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2008)
  17. 기상청, 쉽게 이해하고 간편하게 활용하는 Climate Change Handbook, 22-23(2009)
  18. 안지숙, 김해동, 김상우“, 대구의 토지이용도 유형에 따른 여름철 도시열섬포텐셜 추정연구,”한국환경과학회지, 16(1), 65-71(2007)
  19. 도후조, 이정민, 나정화,“ 도시 지표면 온도분포 특성 및 열섬완화방안,”한국환경과학회지, 16(5), 611-622(2007)
  20. 차재규, 정응호, 류지원, 김대욱“, 도시열섬완화를 위한 녹지네트워크 및 바람길 구축,”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 102-112(2007)
  21. 안지숙, 김해동“, 대구지역의 기상조건에 따른 도시열섬강도의 계절별변화특성,”한국환경과학회지, 15(6), 527-532(2006)
  22. Kim, J. Y., Lee, D. G., Park, I. S., Choi, B. C., and Kim, J. S., “Influence of Heat Waves on Daily Mortality in South Korea,” Atmosphere, 16(4), 269-278(2006)
  23. 이정민, 도후조, 나정화, 김수봉, 정응호, 다항목 평가기법의 적용 을 통한 열섬효과의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4(11), 1005-1014(2005)
  24. 이병설“, 우리나라의자연계절에관한연구,”지리학, 14(2), 1-11(1979)
  25. 배현웅, 엑셀을 이용한 통계학의 기초와 활용 기법, 교우사, pp.273-278(2007)
  26. Kwon, Y. A., Kwon, W. T., and Boo, K. O.,“ Future Projec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J.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1), 36-51(2008)
  27. Koo, G. S., Boo, K. O., and Kwon, W. T., “The Estimation of Urbanization Effect in Global Warming over Korea using Daily Maximum snd Minimum Temperatures,”Atmosphere, 17(2), 185-193(2007)
  28. 기상청, 기상청 지구대기감시보고서, pp.1-17(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