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ly Private Learning

조기교육/사교육

  • 우남희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김유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
  • 신은수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09.08.18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overviewed the early private learning for children in Korea. For last 20 years the number of children who were involved in it increased and the starting age had been lowered. Now more than 90% of the children are exposed to it before going to school. Mean number of private lesson per child is between three to four (33.6%). 32.7% of preschoolers take more than 5 kinds of private lesson per week. Because of the frantic enthusiasm of the parents, most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are providing extra curricula in their programs. The main problem of the learning in Korea is that it does not run by government or universities with educational purposes but by commercial companies for profit.

Keywords

References

  1. 곽수란.이유미(1999). 사교육 교육성에 관한 연구. 나주대학논문집, 4, 161-172.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학원 관련 제도 정비 및 온오프 블렌디드 학습지원 방안 연구.
  3. 교육인적자원부(2001). 2000년도 사교육비(과외비)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4. 권정윤(2007).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문제행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19.
  5. 김명순(2002). 조기교육의 상업화 : 학습지, 아동도서 및 놀이감을 중심으로. 2002년도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1-103.
  6. 김미숙(2007). 사교육실태조사 및 사교육비 경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김보림.엄정애(2007). 유아 조기특기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8), 13-24.
  8. 김순환(2008).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 현황과 담당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327-355.
  9. 김영철.윤은경(2005). 초등학교 사교육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하여. 대한영어영문학회, 31(3), 91-124
  10. 김은미(2003). 유아영어교수법과 연령이 영어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2(2), 177-195.
  11. 김일혁.김영원.남수경.김형철.이수정.성태제(2007). 사교육비 조사방법의 개선연구. 연구보고 RR 2007-23.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2. 김지하.백일우(2006). 게임이론에 기초한 입시과외 수요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5(1), 187-215.
  13. 김진영(2008). 우리나라 가구 사교육비 지출의 특징과 사교육 정책에 대한 함의. 교육재정경제연구, 17(3), 1-28.
  14. 마송희(1997). 유치원 영어교육의 타당성 및 교수방법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2), 175-192.
  15. 마송희(2008).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의 타당성과 바람직한 실천 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21-245.
  16. 박소영(2008). 방과후 학교와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교육행정학연구, 26(1), 391-411.
  17. 박수진(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 특기 교육에 관한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박화윤.안라리.하양승(1997). 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183-206.
  19. 백혜정.김현신.우남희(2005). 조기사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힌국영유아보육학, 43, 23-43.
  20. 성낙일.홍성우(2008). 우리나라 사교육비 결정요인 및 경감대책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3), 183-209.
  21. 신동주(2007). 유아의 영어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1(2), 349-374.
  22. 신진(1997). 사교육 문제를 보는 올바른 시각. 여의도 정책논단, 14, 106-116.
  23. 양정호(2006).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 추세에 관한 연구 :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다극화 지수와 지니계수를 이용한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5(2), 199-219.
  24. 오지수(2009).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교육 실태와 자녀양육 스트레스. 아동교육학회.
  25. 우남희(2004). 아동의 권리와 한국의 초기교육. 한국아동권리학회, 8(2), 189-207.
  26. 우남희(2005). 우리나라의 유아대상 조기교육 확산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 생활과학연구, 10, 161-173.
  27. 우남희(2006). 유아의 창의성과 조기 영어교육의 관계 분석. 생활과학연구, 11, 126-133.
  28. 우남희.김영심.이은정.김현신(2009). 저출산 시대의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97-325.
  29. 우남희.김현신(2004). 아동의 지능, 보존개념의 발달과 영어학습과의 관계분석. 아동학회지, 25(1), 1-12.
  30. 우남희.김현신(2004). 한국 조기교육의 과거와 현재. 생활과학연구, 9, 169-180.
  31. 우남희.백혜정.김현신(2005). 조기 사교육이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유치원 원장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1), 5-24.
  32. 우남희.서유헌.강영은(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 정책 연구과제 2002-16. 교육인적자원부.
  33. 우남희.이종희(1996). 영어교육 조기화의 문제점 분석. 응용언어학, 9-10, 137-152.
  34. 우남희.현은자.이종희(1992a). 사설학원 및 가정 중심의 조기 특기/과외교육 실태 연구. 조기교육의 현황과 전망.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63-85.
  35. 우남희.현은자.이종희(1992b). 사설학원 및 가정 중심의 조기 교육 실태 연구. 유아교육연구, 13, 49-64.
  36. 우남희.김영심.이은정.김현신(2008). 저출산 시대의 자녀 양육과 교육에 대한 한국 어머니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97-325.
  37. 이경희.전예자(1997). 가정과 유치원에서의 유아 영어교육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0), 203-230.
  38. 이기숙.장영희.정미라.홍용희(2002). 가정에서의 유아 조기, 특기교육 현황 및 부모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3), 153-171.
  39. 이대균.백경순.정명자(2006).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0(2), 95-120.
  40. 이명조(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 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 107-126.
  41. 이수정(2007). 명문대 중심 대입관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4), 455-484.
  42. 이윤숙(2003). 유아 영어 교육에 관한 제언. 현대영어교육, 4(2), 105-147.
  43. 이정화.정선아.이명조(2003). 사립 유치원의 특별활동 실태와 문제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85-118.
  44. 전예화(2003). 영어교육 어릴수록 효과적인가?. 유아교육연구, 23(3), 285-305.
  45. 조민정(2007). 사교육비 지출이 가계에 미치는 부담 정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학 석사학위청구논문.
  46. 조성연.신혜영.최미숙.최혜영(2008). 한국의 아동은 행복한가? : 전국초등학교 2,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9-81.
  47. 중앙일보(2009. 6. 19). 서울지역 외고 입시 내신 비중 커진다. http://www.joins.com/에서 2009년9월 10일 인출.
  48. 채창균(2006). 고교평준화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2), 163-179.
  49. 최애숙(2006). 초등학생의 선행학습과 학문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26(1), 221-240.
  50. 최정선.박종근.구인선(2007). 자기 및 타의주도적 선행학습이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힌국과학교육학회, 27(9), 765-777.
  51. 최형재(2006). 사교육은 대학진학에 도움을 주는가, 제8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 한국노동연구원.
  52. 최혜정.조성자(2007). 유아영어교사의 자질과 양성 교과목에 관한 실태연구. 아동학회지, 28(6), 17-36.
  53. 통계청(2008). 2007년 사교육비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 통계청.
  54. 통계청(2009). 2008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서울 : 통계청.
  55. 한국교육개발원(2008). 사교육의 실태와 대처방안. 현안보고 OR 2008-5-16. KEDI Position Paper, 5(16).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56. 한국교육개발원(2002). 선행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57. 한국교육개발원(2003).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 : 공교육 교육력 강화를 중심으로(사교육비 경감 방안 제5차 공청회 자료집).
  58. 한국교육개발원(2003).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수탁연구 CR 2003-19.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59. 한국교육개발원(2008). 사교육의 실태와 대처방안.
  60. 한지혜(2005). 조기교육에 관한 경남지역 학부모, 유아교육자, 초등학교 교사의 생각. 교육이론과 실천, 15, 5-44.
  61. 현온강.공인숙.김영주.이완정(1997). 유아용 학습지의 현황 및 인식도. 1997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5-104.
  62. 현용강.조복희.도현심.박혜원.박경자.이귀옥.이숙.이옥.조성연.최보가(2001). 한국 아동 발달의 현황. 2001년도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07-136.
  63. 홍진곤.장보윤.김경록.진석언(2008). 초등학교 수학영재의 수학교과 선행학습정도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6(3), 123-138.
  64. 황혜신(2004). 조기 영어 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13(4), 497-506.
  65. Braun, S. J., & Edwards, E. P. (1972). History and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elmont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c.
  66. Breckman, W., & Lichtenstein, J. M. (1987). Academy Stress in Kindergarten Childre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0 865).
  67. Elkind, D. (1984). 스트레스받는 우리 아이들(이현순.심성경.원영미 공역). 서울 : 창지사.
  68. O'Brien, S. J. (1988). Childhood Stress : A creeping Phenomenon. Childhood Education, 156-160.
  69. OECD (2009). Education at a glance 2009. Paris, France :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