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 Care in Korea : A Look to the Future

보육

  • 김선영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향은 (고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09.08.18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Child care in Korea has been officially institutionalized due to the legislation of the Child Care Act in 1991. Since then, the predominant social phenomena such as growing female workforce, more intensified female education, and the low birth rates have led the stronger demand for child care at the national level. Accordingly, the supply of child care services and the demand of families using the servic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producing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care via improved and extended laws and regulations. Such movements have arisen academic interests and policy issues to specific sectors with details including child care policies, curriculum and professional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need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program evalu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진(1995).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 경인지역에 위치한 국.공립 민간 보육시설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2, 245-269.
  2. 김종해(2005). 보육정책의 현황과 대안에 대해. 아동의 사회적 보호와 보육 공공성 확대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1-12.
  3. 김현숙(2005). 영유아 보육정책의 방향 : 시장과 정부의 역할분담. 재정포럼, 133, 6-23.
  4. 백선희(2000). 영유아보육비용 재정분담의 구조의 현황과 과제. 힌국영유아보육학, 21, 209-240.
  5. 보건복지가족부(2008. 12). 보육통계. http://www.stat.mw.go.kr에서 2009년 6월 10일 인출.
  6. 보건복지가족부(2009a). 보육정책, 아이와 부모의 입장에서 바라보다 : 영유아기에 대한 종합투자전략, 아이사랑플랜을 소개합니다. 육아정책포럼, 12, 36-46.
  7. 보건복지가족부(2009b). 2009 보육사업안내.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8. 보건복지가족부.육아정책개발센터(2009).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서.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9. 서문희.이미화.김은설.이세원(2006). 농어촌지역 소규모 보육시설 확충 및 운영방안(수탁보고 2006-04).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0. 송태민.서문희.박지혜.최진원(2005). 보육교사 자격증 발급 기준 연구(연구보고 2005-08). 서울 : 여성부.
  11. 유희정.이경숙.최진(2008). 지방자치단체별 육아지원 실태와 효과 분석(연구보고 2008-02).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2. 이기일(2008). 아이사랑플랜 2008-2012. 아이사랑플랜 공청회 자료집, 3-30.
  13. 이미화.김은영(2007). 보육시설 특별활동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연구(연구보고 2007-09).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4. 이미화.이윤진.이세원(2007).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 영역별 목표와 내용(수탁보고 2007-11).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5. 이미화.장명림.신나리.김문정.김현철(2006). 육아지원인력의 수급전망과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연구보고 2006-03).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6. 이연승.조미나(2005).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41-67.
  17. 이옥.김은설.신나리.문무경.최혜선(2006). 육아 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아교육.보육의 협력과 통합 방안(연구보고 2006-01).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8. 이옥.서문희.유희정.장명림.이미화.김은설 외(2007). 육아 선진국을 향한 차기정부의 육아정책 과제(연구보고 2007-11). 서울 : 육아정책개발센터.
  19. 이일주(2007). 유아교육에서 협력의 의미, 실천 및 과제.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31-62.
  20. 지성애(2001).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37-167.
  21. 통계청(2009). 2008년 주민등록인구통계 : 2008년 읍면동별 각세인구. 대전 : 통계청.
  22. 표갑수(2005). 보육정책의 재정립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역할 : 공보육 수준 강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 보육정책 방향의 재정립을 위한 공개토론회 자료집, 1-52.
  23. 현진권(2004). 보육시장의 확충과 시장규제. 재정포럼, 98, 31-44.
  24. 현진권(2005). 보육재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 재정 논집, 19(2), 179-204.
  25. Caldwell, B. (1991). Educare : New product, new future.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12(3), 199-205.
  26. Smith, A. B. (1992). Early Childhood Educare : Seeking a theoretical framework in Vygorsky's work(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s No. ED 353 010).
  27. Smith. A. B. (1996a). Early Childhood Educare : Quality programmes which care and educate(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s No. ED 403 053).
  28. Smith, A. B. (1996b). Quality programs that care and educate. Childhood Education, 72(6), 330-336. https://doi.org/10.1080/00094056.1996.10521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