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erties of Hydration Heat with Compressive Strength Level of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수준에 따른 수화발열 특성

  • 최연왕 (세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재권 (세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재남 (한국건설품질시험원 건설재료연구실) ;
  • 김병권 (세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9.02.27
  • Accepted : 2009.07.23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research analyzes and investigates conventional concrete, hydration heat, set, and mechanical properties by making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s of binary blend and ternary blend as one of evaluations about the properties of the hydration heat of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with a strength of 30, 50, and 70 MPa. In addition, it estimates concrete adiabatic temperatures by calculating a thermal property value of powder obtained by measuring a heat evolution amount for powder used in concrete, a thermal property value of concrete obtained by conducting a simple adiabatic temperature test, and a normal thermal property value of material used in concrete, using a simple equation. Moreover, it analyzes and investigates the hydration heat property of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and the thermal stress caused by hydration heat by conducting a 3D temperature stress analysis for the hydration heat and the adiabatic temperature obtained by temperature analysis, using MIDAS CIVIL 06 program.

본 연구에서는 강도수준(30, 50 및 70 MPa)에 따른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수화발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성분계 및 3성분계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일반콘크리트와 수화열, 응결 및 역학적 특성을 분석 고찰 하였으며, 콘크리트에 사용된 분체에 대한 미소수화열량을 측정하여 얻은 분체의 열특성값, 간이단열온도실험을 실시하여 얻은 콘크리트의 열특성값 및 콘크리트에 사용된 재료의 일반적인 열특성값을 간편한 방법의 추정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단열온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온도해석에 의하여 얻어진 수화열 및 단열온도 특성값을 MIDAS CIVIL 0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온도응력 해석을 실시하여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수화발열 특성 및 수화열에 의한 온도응력을 분석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무한 외 4명(2002)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에 미치는 혼화재 종류 및 대체율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Vol. 4, No. 2, pp.145-150. https://doi.org/10.5345/JKIC.2002.2.2.145
  2. 김진근 외 4명(1995) 시멘트 및 콘크리트의 수화발열특성에 관한 연구, 콘크리트학회지, Vol. 7, No. 3, pp. 211-219.
  3. 김진근, 양은익(1997)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및 온도 응력에 대한 영향 요인, 콘크리트학회지, Vol. 7, No. 3, pp. 15-23.
  4. 문대중(1998) 광물질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단열온도상승 추정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토목구조재료학전공 박사논문.
  5. 최성우, 조현태, 유득현(2006) 결합재 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화발열 특성에 관한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Vol. 18, No. 6, pp. 769-776. https://doi.org/10.4334/JKCI.2006.18.6.769
  6.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1998)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수화열 저감 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pp. 55-79.
  7. Choi, Y.W., Kim, Y.J., Shin, H.C., and Moon, H.Y. (2006)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fluid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lightweight self-compacting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6, pp. 1595-1602. https://doi.org/10.1016/j.cemconres.2004.11.003
  8. Dhir, R.K. (1986) Pulerized-Fuel Ash, Cement Replacement Materials, Surrey University Press., pp. 197-255.
  9. Hwang, C.-L. and Shen, D.-H. (1991) The Effects of Blast-Furnace Slag and Fly Ash on the Hydration of Portland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1, pp. 1137-1147. https://doi.org/10.1016/0008-8846(91)90074-R
  10. James H. Espenson (1996) CHEMICAL KINETICS AND REACTION MECHANISMS, Second Edition, 정우식 , 박윤열 공역, pp. 1-52.
  11. Mehta, P.K. and J.M. (2004) Monteiro, Concrete: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Third Edition, Prentice-Hall, Inc., 이종득 역 pp. 209-260.
  12. Taplin, J.H. (1959) A Method for Fllowing the Hydration Reaction in Portland Cement Paste, Austral. J. Appl. Sci., 10, pp. 329-345.
  13. Zhang, Y.S. and Sifeng, W.S. (2002) Study on the hydration heat of binder paste in high-performance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2, pp. 1483-1488. https://doi.org/10.1016/S0008-8846(02)008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