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승용차 틴팅이 조급한 성향의 후미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Aggressive Following Vehicle by Passenger Vehicle Tinting

  • 강종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이청원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투고 : 2009.01.29
  • 심사 : 2009.02.16
  • 발행 : 2009.05.31

초록

자동차 창유리 틴팅암도 규제를 위한 도로교통법 개정이 상당기간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과도한 선팅이 안전에 위협을 준다는 가설에 기초한다. 그러나 일부 운전자들은 여전히 이를 불필요한 규제로 보는 시각도 상존한다. 한편, 틴팅차량(Window tinting)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자료를 취득하여 분석한 구체적인 실험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시각을 달리하여 과도한 선팅차량이 후미차량에 영향을 끼쳐 용량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수집 방법을 구상하고 실현하여 취득한 현장자료로 가설이 참임을 입증하기 위한 개연성을 확인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틴팅차량 후미를 주행하는 차량의 미시적 운행자료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안으로 본 연구는 RTK GPS 수신장치를 활용한 방법을 구상하였다. 미시적(Microscopic) 분석을 위해서 차량추종(Car-following) 상태인 세 차량의 상대적 측위 및 속도를 매 0.1초 마다 측정해내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속도, 차두시간(Time headway), 차두거리(Distance headway) 및 가속소음(Acceleration noise)을 분석하였다. 제한적인 현장실험이었으나 분석을 통해 선행차량의 틴팅 수준이 높아질수록 교통류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실측자료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제시된 RTK GPS 수신장치를 통한 현장자료 수집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로교통 및 운전자를 고려한 확대연구는 향후 연구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afety issue of the tinted vehicle based on the field study as well as the issue of the capacity reduction from the tinted vehicle. Through this study, an innovative experimental method to verify the issues was developed using RTK GPS receivers, and 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the developed experimental method.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effects of the ahead vehicle with the windows tinted on the traffic condition such as headways and acceleration noise were analyzed to test that the ahead vehicle with windows tinted too darkly affects the increasing vehicle maneuver as following the degree of tin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rontier study and more studies, for example, full scale analyses considering various road and vehicle conditions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섭 등(2006) 자동차 Window Tinting 의 농도가 야간 운전자의 후방시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2006 추계학술대회, 대한인간공학회, pp. 415-419.
  2. 고준호(2006) GPS 장착차량으로부터 Acceleration Noise의 특성 연구. 대한교통학회 제53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 873-879.
  3. 김은영(2005) DGPS 수신장치를 활용한 차량추종 모형 파라미터 정산.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4. 이청원(2005) 교통류분석을 위한 GPS자료의 활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2D호, pp. 241-246.
  5. 이청원(2007) RTK GPS를 활용한 선팅이 후방차량에 미치는 교통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3D호, pp. 263-267.
  6. 장일준(2005) 자동차 창유리 암도에 따른 사고위험도 평가연구. 자동차 창유리 암도규제 기준마련 공청회, pp. 67-86.
  7. Punzo, V. and Simonelli, F. (2005) Analysis and comparison of carfollowing models using real traffic microscopic data. Paper presented at the 84th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Meeting 2005, Washington D.C.
  8. Wolshon, B. and Hatipkarasulu, Y. (2005) Results of car following analyses using GPS. Journal of Trasportation Engineering, Vol. 126, No. 4, pp. 324-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