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athematics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as a Proc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전문성 신장 과정으로서의 한 수학교사의 성찰적 실천

  • Kim, Dong-W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Most of every teachers' life is occupied with his or her instruction, and a classroom is a laboratory for mutual development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lso. Namely, a teacher's professionalism can be enhanced by circulations of continual reflection, experiment, verification in the laboratory. Professional development is pursued primarily through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especially instruction practices which is grounded on $Sch\ddot{o}n's$ epistemology of practices. And a thorough penetration about situations or realities and an exact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that are now being faced are foundations of reflective practices. In this study, at first, we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earlier studies for discussing a teacher's practice. We could found two essential consequences through reviewing existing studies about classroom and instructions. One is a calling upon transition of perspectives about instruction, and the other is a suggestion of necessity of a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Subsequently, we will talking about an instance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s. We observed her instructions for a year. She has created her own practical knowledges through circulation of reflection and practices over the years. In her classroom, there were three mutual interaction structures included in a rich expressive environments. The first one is students' thinking and justifying in their seats. The second is a student's explaining at his or her feet. The last is a student's coming out to solve and explain problem. The main substances of her practical know ledges are creating of interaction structures and facilitating students' spontaneous changes. And the endeavor and experiment for diagnosing trouble and finding alternative when she came across an obstacles are also main elements of her practical knowledges Now, we can interpret her process of creating practical knowledge as a process of self-directed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the fact that reflection and practices are the kernel of a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s taken into account.

교사 삶의 대부분은 수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실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실험실이기도 하다. 곧 교사의 전문성이란 실험실 속에서 부단히 회의하고 실험하고 검증하는 과정의 순환을 통해 높아질 수 있다. 전문성의 신장은 주로 $Sch\ddot{o}n$의 실천의 인식론에 토대를 둔 교사의 성찰적 실천, 그 중에서도 수업 실천을 통해 모색된다. 그리고 성찰적 실천의 밑바탕은 당면한 상황 또는 현실에 대한 철저한 간파, 마주대하고 있는 학생들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교사의 실천을 논의하기 위하여 우선 기존 연구들이 어떤 시사를 주는지 살펴본다. 교실에 대한 이해, 수업에 대한 이해, 학생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핵심적인 두 가지 주장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을 촉구하는 것이며, 또 하나는 교사의 성찰적 실천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실제 한 중학교 수학교사의 실천 사례를 이야기 할 것이다. 연구자는 1년간 한 수학교사의 수업을 관찰했다. 그 교사는 지난 몇 년간의 성찰과 실천의 순환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을 창출해 왔다. 실천적 지식의 주요 내용은 발표 환경이라는 의사소통을 위한 큰 틀이 교실에서 온전히 정착되도록 하고, 그 속에서 앉아서 함께 생각하고 정당화하기, 한 사람이 자리에서 일어서서 설명하기, 나와서 풀고 설명하기라는 세 가지 대표적인 상호교섭구조를 창출하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더불어, 변화가 원활하지 않거나 장애를 만났을 때 부단히 문제점을 진단하고 극복 방안을 찾으려는 노력과 실험도 실천적 지식의 주요 요소가 된다. 성찰과 실천이 교사 전문성 신장의 핵심 개념임을 고려할 때, 위와 같은 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창출 과정은 곧 자기 주도적 전문성 신장의 과정이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