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연자탕가미방의 효과에 대한 증례군 보고 - 9명의 두통 환자를 중심으로 -

Case Report on the Effectiveness of Chengsimyeonjatang-gamibang, focusing on nine patients with headache

  • 선승호 (상지대학교부속한방병원 한방내과)
  • Sun, Seung-Ho (Dep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Oriental Hospital of Sang-ji University)
  • 발행 : 2009.09.30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case serie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hengsimyeonjatang-gamibang for headache. Methods : The case subjects were nin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Taeumin from the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y were selected among outpatients who visited Sangji Oriental Medical Hospital with complaint of headache from October 2007 to January 2008 through chart reviews. They were treated with Chengsimyeonjatang-gamibang without other treatments. Relative seriousness of headache was determined by Headache Impact $Test^{TM}$(HIT-$6^{TM}$) questionnair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rapy were evaluated and scor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iedman 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 The study showed that the VAS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P<0.05). Conclusions : In summary, 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Chengsimyeonjatang-gamibang appears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headach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재영, 이시섭, 유정석, 송범용, 김락형, 육태한. 만성 두통에 대한 뇌청혈해독탕의 임상적 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1):113-42.
  2. 주민경, 임형준, 주영수, 김주용, 김윤중, 유경호 등. 한국어판 두통영향 검사(Headache Impact Test-6)의 타당도 및 신뢰도 조사. 대한신경과학회지. 2009;27(1):1-6.
  3. 이용태, 이동민, 박성하, 頭痛의 원인에 따른 形象醫學的 고찰-東醫寶鑑 頭門을 중심으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4):835-41.
  4. 정인태, 이상훈, 김수영, 차남현, 김건식, 이두익 등. 만성두통환자에 대한 침치료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22(3):105-12.
  5. 김양식, 김성현. 체침과 이침을 병용하여 치료한 긴장성두통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6;17(1):433-46.
  6. 곽병민, 김민정, 김연미, 이재민, 박양춘, 조정효 등. 만성 긴장성 두통 환자의 침치료 지속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25(2):165-77.
  7. 김지윤, 홍현우, 김재연, 이성도, 박동일, 감철우. 두통을 주소로 입원한 환자 25명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4):34-44.
  8. 이승기. 두통을 주소로 하여 내원한 환자 45명에 관한 임상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1):209-17.
  9. 심윤섭, 성기원. 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두통에 대한 파한활혈탕(破寒活血湯)의 임상적 효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4):318-23.
  10. 김수연, 정종진, 이슬희, 선승호. 청심연자탕가 미방으로 호전된 진전 환자 치험 7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4):913-21.
  11. 김정철, 오성원, 송창훈, 이슬희, 정종진, 김종윤, 선승호. 청섬연자탕으로 호전된 뇌경색을 동반한 심방세동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3):751-61.
  12. 서웅, 송정모, 김혜원. 말기위암환자의 복통에 태음인 청심연자탕을 투여한 증례.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12(2):195-200.
  13. 선승호, 이재은, 한동윤, 이성우, 이선란, 고성규. 중추성현훈과 소뇌성보행실조를 주소로 한 태음인 환자 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2):335-43.
  14. 장혜진, 선중기, 손덕칭. 청섬연자탕(淸心蓮子湯)으로 치료하여 호전된 강직성 척추염을 동반한 중증 궤양성 대장염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3):685-91.
  15. M.S. Bayliss, J.E. Dewey, I. Dunlap, A.S. Batenhorst, R. Cady M.L. Diamond, F. Sheftell. A study of the feasibility of Internet administration of a computerized health survey: the headache impact test (HITTM). Qual Life Res. 2003;12:953-61. https://doi.org/10.1023/A:1026167214355
  16. Headache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2nd edition. cephalalgia. 2004:24(S1):1-151.
  17. Kenneth W. Lindsay, Ian Bone. 이광우 편저. 임상신경학 3판. 서울: 범문사; 2003, p. 111-4.
  18. Jensen R, Strovner LJ. Epidemiology and comorbidity of headache. Lancet Neurol. 2008;7:354-61. https://doi.org/10.1016/S1474-4422(08)70062-0
  19. 서우근, 이정복, 고성범, 김병조, 박민규, 박건우 등. 안산 시민들의 두통 역학조사. 대한신경과학회지. 2002;20(6):479-85.
  20. Boardman HF, Thomas E, Croft PR & Millson DS. Epidemiology of headache in an English district. Cephalalgia. 2003;23:129-37. https://doi.org/10.1046/j.1468-2982.2003.00468.x
  21. Fendrich K, Vennemann M, Pfaffenrath V, Evers S, May A, Berger K & Hoffmann W. Headache prevalence among adolescents-the German DMKG headache study. Cephalalgia. 2007;27:347-54. https://doi.org/10.1111/j.1468-2982.2007.01289.x
  22. 洪元植 編.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4, p. 39, 89, 119, 150, 176, 246, 262, 295.
  23. 王燾. 外臺秘要. 臺北: 국립중국의학연구소; 1964, p. 416-7.
  24. 張機. 仲景全書. 서울: 一中社; 1992, p. 557-8.
  25. 張子和. 儒門事親. 臺北: 旋風出版社; 1978, p. 18.
  26. 朱震亨. 改訂版 丹溪心法. 서울: 大星文化社; 1982, p. 461.
  27. 李梴. 醫學入門. 서울: 大星文化社; 1981, p. 24-6.
  28. 許俊. 대역동의보감. 경남: 동의보감출판사; 2005, p. 452-60.
  29. 葉天士. 臨證指南醫案. 서울: 도서출판 정담; 1998, p. 653-57.
  30.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心系內科學. 서울: 군자출판사; 2008, p. 300-7.
  31. 조황성. 사상의학의 원리와 방제. 파주: 집문당; 2005, p. 435-9.
  32.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개정증보 사상의학. 서울: 집문당; 2004, p. 418.
  33. 원지상, 김정열, 양재원, 정준민, 한동윤 편역. 동의사상신편. 서울: 도서출판 정담; 2002, p. 189.
  34. 김주. 사상의학 성리임상학. 서울: 대성문화사; 1997, p. 303.
  35. 신홍일. 동의수세보원주해 下. 서울: 대성의학사; 2000, p. 1141-3.
  36.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집위원. 본초학. 서울: 도서출판 영림사; 2005, p. 167, 184-5, 190-1, 545.
  37. D owson AJ. Assessing the impact of migraine. Curr Med Res Opin. 2001;17:298-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