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Method of Slipperiness of Inclined Floors from a Viewpoint of Safety in Case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in Walking

신체장애자의 안전성 관점에서 경사로 바닥의 미끄럼 평가방법에 관한 기초적 연구

  • Published : 2009.1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 that must b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the slipperiness of an inclined floor, when considering its use by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by the able-bodied. For this study, a simulator that can rep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sway of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was developed through a comparative experiment between able-bodied people and people with hemiplegia. In addition, as cale for the evaluation of the slipperiness of flat floors and inclined floors was composed by the sensory test result targeting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able-bodied persons wore the body sway for the handicapped and ageing in the experiment) and the able-bodied.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the slipperiness of an inclined floor, it was evaluated that it is safe when the C.S.R' (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of a healthy person is over 0.30, while it was evaluated that it is dangerous when the C.S.R' of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s over $0.45{\sim}0.50$. Concerning this difference, it is judged that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that the walking mechanism differs between an able-bodied person an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이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 약자와 건강한 사람의 경사로 바닥에 대한 미끄럼 평가척도의 변동 경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반신마비 장애인과 건강한 사람에 대한 중심동요 비교 실험을 통하여 신체적 약자의 중심동요 특성을 항상 재현하는 장애 고령화 체험장비가 개발하였다. 그리고 신체적 약자(건강한 사람이 장애 고령화 체험장비 착용)와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관능검사결과로부터 수평바닥 및 경사로 바닥에 대한 미끄럼 평가척도를 구성하였다. 미끄럼 평가척도와 미끄럼저항계수(C.S.R')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경사로의 기울기나 미끄럼저항 차이에 따른 미끄럼 평가척도의 변동 경향은 남성과 여성이 서로 유사하다는 사실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경사로 바닥에 대한 미끄럼의 평가는 건강한 사람은 C.S.R'가 0.3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평가하지만, 신체적 약자는 C.S.R'가 $0.45{\sim}0.50$ 이상인 경우에도 위험하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의 차이는 주로 건강한 사람과 신체적 약자의 보행 메커니즘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6. 11
  2. 横山 裕 他, 高齢化にともなう歩行メカニズムの変化からみたすべりの評価の相対的変化の推定 : 高齢者の安全性からみた床のすべりの評価に関する基礎的研究(その1), 日本建築学会構造系論文集, No.478, pp.35-44, 1995. 12
  3. 小野英哲 他, 高齢者の安全性からみた床および斜路のすべりの評価方法, 日本建築学会構造系論文集, No.484, pp.21-29, 1996. 6
  4. 佐々木直人 他, 住宅における床のすべりと高齢者の歩行特性との関係に関する研究, 日本建築学会学術講演梗概集, A, pp.809-810, 1994. 9
  5. 高見正利 他, 床反力計による健常者歩行の研究 : 特に年齢および性別による違いについて, 日本リハビリテーション医学会誌, vol.24(2), pp.93-101, 1987. 3 https://doi.org/10.2490/jjrm1963.24.93
  6. 山田忠利, 床反力解析からみた歩行の年齢変化, Japanese Journal of Sports Sciences, vol.8(3), pp.128-133, 1989. 3
  7. 小野英哲, 携帯型床のすべり試験機(ONO.PPSM)の開発, 日本建築学会構造系論文集, No.585, pp.51-56, 200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