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Library Services for Applying Universal Design

  • 김보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한국점자도서관 정보서비스팀)
  • 투고 : 2010.07.25
  • 심사 : 2010.09.25
  • 발행 : 2010.09.30

초록

도서관은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이용자에게 그 어떠한 장애 요소나 차별 없이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여 모든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편적 편의성: 모두가 이용 가능한 도서관, 서비스 안전성: 도서관 이용의 안전성, 이용자 주체성: 이용자 주체적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 요구성: 이용자 요구 반영한 도서관 서비스, 서비스 경제성: 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성'의 다섯 가지 도서관 서비스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구성요소는 도서관이 모든 이용자를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Libraries should offer their services to all users including those who find difficult to access knowledge information without any obstacles or discrimin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ing at providing library services to all users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to libraries, extracted and presented five components in library services: universal convenience, which allows all users to use libraries; safety of services, which offers safety in library use; user-orientedness, which offers user-oriented library services; user request, which allows library services reflecting the needs of user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services, which provide efficient and economic library services. The proposed five components will play the foundational role in implementing universal design on libraries so that all users can use library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9.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 문화체육관광부. 2009. 공공도서관의 경제적 가치 측정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3. 우에마쓰 사다오. 2005. 도서관 건축의 이해. 김효숙 옮김. 서울: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4. 이효창, 하미경. 2007. 공공도서관 실내 공용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6(5): 55-62.
  5. 전재봉. 2002. 장애인에 대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57-173.
  6. 조영행. 2008. 대학도서관의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적용성 평가: 부산지역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10): 21-29.
  7. 타나카 나오토. 2008. 유니버설 환경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연구센터 옮김. 부산: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8. 한국도서관협회. 1994. 도서관정보관리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9.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0. Sekine, Chika. 2009. Universal design at library service. Th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 59(8): 372-377.
  11. Gill, Philip. 2002. The Public Library Service: The 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 장혜란 옮김(역). 2002.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IFLA/UNESCO 가이드라인.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cited 2010.1.16]. .
  12. Fujio, Shinozuka. 2000. Barrier-free and Universal Desig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Library services for users with disabilities among universities in Japan. Th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 50(3): 124-131.
  13. 문화체육관광부. 2009. 도서관법. [cited 2010.5.9].
  14. 보건복지부. 2010.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cited 2010.5.9].
  15. 보건복지부. 2010.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cited 2010.5.9].
  16.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09. 서비스 표준 개발 - 소비자 이슈 조치 시 권고사항(KS A ISO/IEC GUIDE 76:2009).
  17.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cited 2010.5.6]. .
  18.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cited 2010.1.16]. .
  19. The American with Disability Act. [cited 2010.1.19]. .
  20. ADA Accessibility Guidelines. [cited 2010.1.19]. .
  21. 한국유니설디자인센터. [cited 2010.1.2]. .
  22. DO-IT Program. [cited 2010.4.25]. .
  23. DO-IT Program을 통해 제작된 도서관 서비스 비디오(Equal Access: Campus Libraries). [cited 2010.1.19]. .

피인용 문헌

  1.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도서관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 vol.22, pp.2,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2.201
  2. 국내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 서비스 지침 개선에 관한 연구 vol.43, pp.2, 2012, https://doi.org/10.1633/jim.2012.43.2.223
  3.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초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 개발 vol.44, pp.2,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