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용 콘텐츠의 평가준거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Criterion for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Contents

  • 투고 : 2010.08.30
  • 심사 : 2010.11.09
  • 발행 : 2010.12.31

초록

프로그램 언어 교육용 콘텐츠 평가 관련 기존 연구는 주로 일반적인 교육용 콘텐츠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문제해결능력 관점에서 프로그램 언어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평가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언어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평가 준거 개발을 제안하며 그 세부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콘텐츠 평가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언어 교육용 콘텐츠를 대한 평가 준거를 설계한다. 둘째, Visual Basic 교육용 프로그램 콘텐츠를 이용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설계된 평가 준거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타당성을 근거로 실제 타당성을 실험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 언어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평가 준거 제안과 분석을 통해 현재 사용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프로그램 언어 교육용 콘텐츠의 개발 및 평가 준거를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So far, previous works with respect to evaluating program contents have concentrated on the implementation of general educational content evaluation. In terms of the efforts required to solve problems, however, there are a few evaluation methods o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contents. Therefore, we propose new evalua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contents. The detailed research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 existing works and propose naval evalua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contents. Second, the new evaluation criteria is verified by teachers who use Visual Basic educational contents via questionaries. Also, a program content is experimented via the evaluation criteria. Finally, it is expected that our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contents can be used to evaluate newly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contents and to design its evaluation plan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1996-2000 교육정보화 촉진 시행계획”, 2000.
  2. 박성진, 박판우, “웹기반 프로그래밍 튜터 시스템”,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5(2), 2001.
  3. 한태인, 곽덕훈, “이러닝 유러닝”, (주)한독산학협동단지, p.27, 2006.
  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가 e-러닝 품질관리 지원을 위한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초.중등교육”, 2008.
  5. 이충현, 윤미현,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평가 지침 및 시행에 관한 연구”, Foreign Language Education, 10(3), pp.187-217, 2003.
  6. 노명숙, 이미자, 박선주, “초등학교 웹 코스웨어 평가기준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1), pp.358-368, 2001.
  7. 한종임, “첨단 영어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전자교재 콘텐츠 개발 및 평가”,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5(1), pp.191-220, 2008.
  8. 안성훈, 김홍래, 김태영, “초등학교 웹 코스웨어의 품질 향상을 위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5(2), pp.270-280, 2001.
  9. 차승희, 김현배, “초등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9(2), pp.309-318, 2005.
  10. C.Ardito et al., “Systematic Evaluation of e-Learning Systems: An Experimental Validation,” 2006.
  11. Giorgio Venturi, Nik Bessis, “User-centred Evaluation of an E-learning Repository,” 2006.
  12. Vivian Schoner et al., “Learning Objects in Use:‘Lite’ Assessment for Field Studies,” 2005.
  13. Petri Nokelainen, “An empirical assessment of pedagogical usability criteria for digital learning material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06.
  14. Renato Schibeci et al., “Evaluating the use of learning objects in Australian and New Zealand Schools,” 2006.
  15. Gagne, R. “The conditions of learning(4th ed.)” New york: Holt Rinehart& Winston, 1985.
  16. 최길수, 김용대, 이종연,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제16-A권, 제5호, pp.395-402, 2009.10. https://doi.org/10.3745/KIPSTA.2009.16A.5.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