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Psychosocial Factors of Dental Professionals in C Region

  • Han, Ji-Hyoung (Dept. of Dental Hygiene, Baekseok Cultural University) ;
  • Kim, Jin (Dept. of Dental Hygiene, Baekseok University) ;
  • Nam, Soo-Hyoun (Dept. of Dental Hygiene, Chungcheong University) ;
  • Kim, Chang-Hee (Dept. of Dental Hygiene, Chungcheong University)
  • 투고 : 2010.07.15
  • 심사 : 2010.08.25
  • 발행 : 2010.08.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3월 9일부터 3월 28일까지 충청도에 소재한 치과종사자 20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정부위별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 정도는 신체부위 모두에서 상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2.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근골격계 질환 관심도가 높았으며(p=.000), 연령별로는 26-30세 이하가 관심도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 3. 업무만족은 요부군과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업무스트레스에 있어서는 요부군과 하지군에서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료만족에서는 상지군과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병원만족은 상지군과 요부군,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근무환경과 만족에서는 목군과 어깨군, 상지군, 하지군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각 신체부위에서 사회심리적 특성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사회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psychosocial factors in dental professionals in Chungcheong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206 dental professionals in Chungcheong province from March 9th, 2009 to March 28th, 2009. SPSS WIN 12.0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for the perceived symptom degre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based on measured body parts, the frequency of 'high' was the highest in all the parts of the body. 2. As for gender, females showed higher interest in musculoskeletal diseases than males (p=.000). As for age, subjects ranged 26~30 years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musculoskeletal disease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3. Work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lumbar group and lower extremity group. Work stress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lumbar group and lower extremity group. Coworker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perceived symptom in upper extremity group and lower extremity group. Hospital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perceived symptom in upper extremity group, lumbar group and lower extremity group.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perceived symptom in neck group, shoulder group, upper extremity group and lower extremity group.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the perceived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based on body parts. Therefore, psychosoci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re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Freeman R, Main JR, Burke FJ: Occupational stress and dentistry: Theory and practice. Part 1. Recognition. Br Dent J 178(6): 214-217, 1995. https://doi.org/10.1038/sj.bdj.4808716
  2. National Institud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NIOSH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NIOSH report, HETA 89-250-2046, 1990.
  3. Picavet HSJ, Hoeymans N: Health related quality if life in multiple musculoskeletal diseases:SF-36 and EQ-5D in the $DMC_3$ study. Ann Rheum Dis 63: 723-729, 2004. https://doi.org/10.1136/ard.2003.010769
  4.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Musculoskeletal disorsers and workplace factors-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2nd edition 2:1-7, 1997.
  5. Hadler NM: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n Iatrogenic concept. JOEM 32(1): 38-41, 1990.
  6. Carayon P, Smith MJ, Haims MC: Work organio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Hum Factors 41(4): 644-663, 1999. https://doi.org/10.1518/001872099779656743
  7. 민정란, 조영식, 전미진, 김동기, 이병진: 서울지역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증상 호소 실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3): 396-406, 2007.
  8. 박정란, 박재용: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3): 416-431, 2007.
  9. 최명관, 최상복, 차상은: 치과의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유해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1(6): 106-115, 2006.
  10.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질환예방팀. 근골격계부담작업유해 요인조사지침(KOSHA CODE H-30-2003): 근골격계질환 증상 조사표. 2003.
  11. 정상희: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유소견율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2004.
  12. 화종철: 부산지역 치과기공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유병실태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부산, 2004.
  13. 서영환, 전용욱: 단순 반복 작업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학회지 18(5): 135-142, 2007.
  14. New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Workplace injuries and illness in 2005. Washington DC 20212: 330-335, 2006.
  15. 노동부 산업안전공단: 2004년도 의료기관 보건관리 실태조사. 노동부, 서울, pp 21-23
  16. Macdonald G, Robertson MM, Erickson JA: 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dental work. Ergonomics 34: 953-962, 1991. https://doi.org/10.1080/00140139108964837
  17. Kilbom A, Persson J: Work technique and its consequenc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Ergonomics 30: 273-279, 1987. https://doi.org/10.1080/00140138708969706
  18. Hadler NM: Cumualtive Trauma Disorders : An latrogenic Concep. J Occup Med 32(1): 38-41, 1990 https://doi.org/10.1097/00043764-199001000-00011
  19. 곽정숙, 장선희: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와 치위생과 재학생의 진료자세와 통증과의 관계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7(4): 381-393, 2007.
  20. 전만중 외: 대구지역 치과의사들의 누적외상성 장애에 대한 조사. 대한산업학회지 13(1): 55-63, 2001.
  21. 정철현 외: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울지역 치과의상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6(2): 168-174, 2007.
  22. 차주형 외: 국내 치과의사의 근골격계질환 실태 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6(2): 137-147, 2007.
  23. 유종희, 정성창: 치과의사의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두개하악장애학회지 6(2): 103-115, 1994.
  24. 박현희, 이꽃메: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에 따른 근골격계 자각중상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6(3): 351-359, 2005.
  25. 김영실, 박재용, 박상연: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근관절건강학회지 16(1): 13-25, 2009.
  26. 김강윤 외: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평가 운동치료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4(2): 144-154, 2004.
  27. 이향섭, 한만석: 방사선사의 근골격계 증상과 유해 요인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학회지 31(3): 239-246, 2008.
  28. 유정임, 구정완: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를 착용하는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증상호소와 관련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6(2): 166-177, 2004.
  29. 정현자: 치과위생사의 임상시술자세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경험. 한국치위생과학회지 12(2): 87-94, 2006.
  30. 윤종삼: 개업 치과의사의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자각증상과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1999.
  31. Sim YS, Kim HA: Rate of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complained by some Insurance Inspectors. Korean J. Occup Health 41(3): 120-130, 2002.
  32. 강미정, 정원미, 구정완: 작업치료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2): 117-128, 2007.
  33. 하성자: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상태와 관련요인[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34. 윤미숙, 송귀숙, 고미희: 치과위생사의 직업병에 의한 건강장애 요인 인식도. 한국치위생과학회 3(2): 59-66,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