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문직업적 신념 및 태도

Professional Belief and Attitud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양승경 (대구산업정보대학 치위생과) ;
  • 김영남 (경복대학 치위생과)
  • 투고 : 2010.07.15
  • 심사 : 2010.08.26
  • 발행 : 2010.08.30

초록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제도의 빠른 변화와 양성 교육기관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치과위생사의 내재적 전문성에 대한 관심과 논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절실할 것으로 인식하여 현행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을 받은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적 신념 및 태도 즉 전문직업성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23개 대학의 치위생(학)과 2010년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연구자가 직 간접 방문 및 우편, E-mail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에 관한 설명 후 설문지를 배부 실시 후 회수하였으며 총 934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1. 치과위생상 양성 교육기관의 학위과정에 따라 전문직업성의 각 요소는 '전문조직의 준거성', '공공봉사에 대한 신념', '자율성'은 p<0.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통제'와 '소명의식'에서 p>0.05로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기관의 권역에 따라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 요소는 '전문조직의 준거성'과 '소명의식'은 지역별로 p<0.001수준, '공공봉사에 대한 신념'과 자율성은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은 p>0.05로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기관의 학제개설 배경에 따라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 요소는 '전문조직의 준거성', '공공봉사에 대한 신념', '소명의식', '자율성'에서 p<0.001수준,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은 p<0.05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연구대상자의 배경요인에 따라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은, 학사학위과정에 따라 p>0.05, 권역별, 학제의 개설배경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p<0.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직업적 신념과 태도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기본적인 덕목일 뿐 아니라, 사회적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지만, 현행 양성교육기관의 학위과정, 권역, 학제개설 배경에 따라 즉 양성교육기관의 배경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에 있어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e students as dental hygienists, who received education to become dental hygienis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degree programs to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in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ce, beliefs in service to the public and autonomy according to degree programs(p<0.00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belief in self-regulation and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ccording to degree programs(p>0.05). 2. As for connections between geographic region and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ce and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p<0.001) according to geographic reg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beliefs in service to the public and autonomy(p<0.01),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p>0.05). 3. Concerning links betwee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ce, beliefs in service to the public,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nd autonomy(p<0.001), and a belief in self-regulation(p<0.05). 4. In regard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background variables according to bachelor's degree programs(p>0.05),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according to geographic region an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p<0.001).

키워드

참고문헌

  1. Hall RH: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 R 33(1): 92-104, 1968. https://doi.org/10.2307/2092242
  2. Anderson WA, Martin PY: Bureaucracy and professionalism in the social servic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nflict and congruity. J Soc Serv Res 5(2): 33-50, 1983.
  3. 조병희: 개업의사들의 전문직업성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2(2): 37-64, 1994.
  4. 이철형: 수발인력의 전문직업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2007.
  5. 김수진: 요양보호사 교육참여자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및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8.
  6. 박정란: 전문대학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과 및 임상실습에 대한 태도[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대구, 1991.
  7. 장계원: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 내용 및 활동 분석[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경남, 2005.
  8. 장종화: 성취동기와 임상실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서울, 2000.
  9. 김영남: 치위생과 학생이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경복대학논문집 4: 373-391, 2000.
  10. 이춘선: 치위생과 학생의 실습여건 및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1): 93-100, 2002.
  11. 양정승: 치위생과학생의 지역사회 구강진료기관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3): 205-217, 2000.
  12. 강부월: 임상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인과요인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1(1): 115-121, 2003.
  13. 이철우: 치과의사의 직업의식과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1997.
  14. 안덕선 등: 국가시험 국제화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05.
  15. 장희정, 성명숙, 주영희: 임상간호사의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기본간호학회지 5(2): 324-340, 1998.
  16. 정원균 등: 우리나라 치위생학 학문체계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위생(학)과 교수협의회, 2009.
  17. 박종우: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4.
  18. 최윤경: 한국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 업무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19. 이지연: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이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경남 김해, 2009.
  20. 권홍민: 치위생과 학생의 전문직 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002.
  21. 김정원: 영유아기 자녀의 자기규제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양상. 아동학회지 23(4): 35-51, 2002.
  22. Flynn TM: Affective characteristics that predict preschool achievement in disadvantaged children. ECDC 16(3-4): 251-263, 1984.
  23. 신현자: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전문직에 대한 태도가 사회복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3.
  24. 김현미: 임상간호사의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6(2): 278-289, 1999.
  25. Jackson SE: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s strategy for reducing job related strain. J Appl Psychol 68(1): 3-19, 1983.
  26. Alexander CS, Weisman CS, Chase GA: Determinants of staff nurse' perceptions of autonomy within different clinical contexts. Nurs Res 31(1): 48-52, 1982.
  27. 조규판: 교사의 효능감과 자율성이 학생의 동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17(1): 115-128,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