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s of Career Education by Vocational Cards for School Children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male and female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남.여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김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0.04.30
  • Accepted : 2010.06.1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utilizing vocational cards for school children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male and female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in the career awareness stage, which was the rudimentary career development stag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15 boys and 17 girls) students in one of seven fifth-grade classes in 'Angolp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J, South Gyeong-sang Province. Career education was provided to them by employing vocational cards for school children in six sessions for three weeks, twice a week, 40 to 45 minutes eac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l)the career education that utilized vocational cards for school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ers. (2)the career education that utilized vocational cards for school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boys. (3)the career education that utilized vocational cards for school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girl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career education utilizing vocational cards for school children was effective at stepping up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male and female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발달단계에서 가장 초보단계인 진로인식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남 여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남 J시에 위치한 '안골포'초등학교의 5학년 7개 반 중 1개 반 32명(남학생 15명과 여학생 17명)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28일부터 2009년 11월12일 까지 3주간, 주 2회기 총 6회기로 한 회기 당 40분~45분씩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진로지향성', '직업의 이해', '직업적성편견', '자기이해', '자율성'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교 남학생의 '진로지향성', '직업적성편견', '자율성'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진로지향성', '직업의 이해', '직업적성편견'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남 여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재(2005). 아동연구 방법론. 서울: 서현사.
  2. 교학사출판부(2007). 초등학교 표준 국어사전. 서울: 교학사.
  3. 권영조(1990). 국민학교 6학년 아동의 진로의식성숙도와 사회-심리적 변인들 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상모(2003).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주명(2001).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진숙(2008).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충기(2004). 직업교육과 진로교육. 서울: 한국학술정보.
  8. 민무숙.서우석.구정화.선선미(2003). 초등학생용 양성평등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총론).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9. 변인옥(2002).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울시교육과학연구원(2003). 초등진로상담프로그램 함께 가꾸어가는 나의 미래. 서울: 신영프린팅.
  11. 성민정(2005).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타(2007). 'Happy I, Happy Jobs, Happy Choice' 진로상담 프로그램.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13. 신선기(2005). 초등학생용 직업카드개발과 이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창규.안현의(2006). 홀랜드 진로발달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15. 오성자(2000).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미연(2008).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미정(2006). 활동중심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현정(2005). 중학생용 직업카드 개발과 이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유미(2002). 직업카드를 활용한 초등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명운(2002). 직업카드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직업흥미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황매향.최경애(2006). 직업차드분류 활동이 아동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15(2), 149-161.
  22. Achebe, C. (1982). Assessing the Vocational maturity of students in the east central state of Nigeri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 153-161. https://doi.org/10.1016/0001-8791(82)90003-3
  23. Brolin, D. E. (1995). Career Education: A Functional Life Skills Approach (3rd ed). NJ: Prentice-Hall, Inc.
  24. Crites, J. O. (1973).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CA: CBT/McGraw-Hill.
  25. Gysbers, N. C., Heppner, M. J., & Johnston, J. A. (2003).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진로상담의 실제(김봉환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8).
  26. Gysbers, N. C., Heppner, M. J., & Johnston, J. A. (2003).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2nd ed). Boston: Allyn & Bacon.
  27. Herr, E. L., Cramer, S. H., & Niles, S. G. (2003).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nlrough the Life span: System approach(6th ed). New York: Allyn & Bacon.
  28. Yeager, C. (2005). Career development interven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S. G. Niles & J. Harris-Bowlsbey (Eds.), Career development interventions in the 21th centure(2nd ed., pp. 280-299).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29. Zunker, V. G. (2002).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Ianning(6th ed). CA: Brooks/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