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Effects of "the Unsafe Food Program" designed For Improving Children's Eating Habits

유아들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서선숙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이주리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0.04.30
  • Accepted : 2010.06.1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unsafe food program" designed for improving children's biased eating habits coming from defenceless exposure to the instant food, fast food and adulterated food with MSG and artificial additives with analyzing the current condition of children's biased eating habits and preference for the unsafe foods. This program was performed for 5 year old children who was attending the kindergarten run by the author every day for two months. "The unsafe food program" consisted of the surveys on the parents' attitude towards food and health and children's eating habits, and of programs that was designed to attract children's attention to their daily food intake and to provide physical fitness, information about differences between wholesome food and junk food, and junk food's bad impacts on human body for children. In order to see the changes of children's body through this program, two physical examinations was preformed: SH pharmaceutical company's hair test to measure the accumulation level of toxic metal in children's hair and children's nutrition level before starting the program, and Ilsan Health Center's 'INBODY' test to analyze children's body composition such as body weight,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BMI, body fat percentage and so 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from this program follow as below. First, the unsafe foods were excluded from children's diet after parents came to recogniz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unsafe foods. Second, children became highly interested in their daily diet through the course of gathering information by themselves and discussions together while testing and analyzing foods, and children demonstrated more self-restraint on fast food and instant food. Third, children's body constitution turned out to be improved by physical fitness in addition to this program. Fourth, children formed a good habit of eating well-balanced diet consisting of vegetables, staple food and fruits through this program designed to improve children's biased eating habi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safe food project" had effects on improving children's eating habits.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식습관과 식품 선호도에 관한 최근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각종 조미료와 식품첨가물이 함유된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 불량식품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길들여진 유아들의 식습관을 개선시켜 주고자 실시한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집 만5세 유아들로, 2달 동안 매일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먹거리와 건강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식습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조사,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먹고 있는 음식에 대한 관심 유도 프로그램, 운동프로그램, 건강식품과 불량식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신체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전에는 아동의 체내 중금속(독성미네랄)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SH제약의 모발검사와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유아의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 BMI,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기 위한 일산 보건소의 건강 검진 진단(INBODY)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 과정에 참여했던 부모의 의식이 바뀌면서 안전하지 않은 음식들이 식단에서 배제되었다, 둘째, 유아 스스로 자료를 찾고 토론하며 식품을 분석. 실험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먹는 음식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게 되어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 같은 안전하지 않은 식품에 대한 자제력 향상으로 이어졌다. 셋째, 운동프로그램을 병행하면서 유아들의 체질이 개선되는 결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넷째, 유아들의 먹거리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들은 야채, 잡곡밥, 과일 등을 골고루 먹는 균형 잡힌 식습관이 형성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위험한 먹거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식습관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동경, 이혜상, 조유선 (1994). 탁아기관의 급식개선을 위한 식단의 운용시험. 한국조리과학회지, 10(2), 104-111.
  2. 건강한 몸. (2006). 좋은 교육캠페인-3H 교육 설천 사례보고서.
  3. 김석조. (2000). 6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성격 특성 및 학업 성적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애자, 김정혜 (2003). 유아를 위한 먹거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147-166.
  5. 김윤정, 한영신, 정상진, 이윤나, 이상일, 최혜미. (2006). 식사가 볼량한 영유아의 기질과 식행동, 부모의 식 행동과 식사지도 방법의 특성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 1)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2) 한국보건 산업진흥원
  6. 김정원. (2001). 유아의 식습관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7. 김현미 . (2002. 8. 1). 인스턴트식품이 아이들 폭력성을 키운다. 동아일보, p. 22-24.
  8. 박선주, 최혜미, 모수미, 박명윤. (2003).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식생활 비교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8(4), 512-525.
  9. 보건복지부. (1998). 영 유아 보육시설의 영양관리 현황보고서. 서울 : 보건복지부.
  10. 아베쓰카사. (2007).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 (안병수,역). 국일 미디어. 원판 : (2005)
  11. 오순애, 이창수. (2005) 비만이 싫어요. 제36회 전국교육자료 전 설명서. 비만예방교육자료, P.7
  12. 윤은영, 여인섭, 신은미.(1998). 식생활습관이 인체의 혈액성상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양사회 학술지, 4(1), 20-29.
  13. 이주리. (2010년). 아동아토피 피부염을 예측하는 환경적요인들 -의사결정 나무분석의적용에관한연구. 아동학회지, 31(2), 183-196.
  14. MBC다큐멘터리 <위험한 밥상>,<위험한 밥상"내가 먹는 음식이 나를 만든다.2007.1 월24-25일 방영>
  15. SBS스페셜 <싱가포르의 도전 소아비만을 잡아라! 2006년 7월 16일>
  16. Ammaniti M, Ambruzzi AM, Lucarelli L, Cimino S, D'limpio F (2004): Malnutrition and dysfunctional mother-child feeding interactions: Clinical assessment and research implications. J Am Call Nutr 23 (3): 259-271 https://doi.org/10.1080/07315724.2004.10719369
  17. Birch LL, Fisher JO (2000): Mothers' child-feeding practices influence daughters' eating and weight. Am J Clin Nutr 71: 1054-1061
  18. Crocker, R. W., Goldman, J. A. Heaman, D. & Wharton, R. (1991). Differential seccess in a pediatric weight-control porgram. In Johnson, J. H. & Johnson, S. (Eds.). Advances in child health psychology,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40-152.
  19. Fisher JO, Birch LL (1995): Fat preferences and fat consumption of 3 to 5 year old children are related to parental adiposity. J Am Diet Assoc 95: 759-764 https://doi.org/10.1016/S0002-8223(95)00212-X
  20. Kleinman R (1999): Feeding recommendations. Chapter 4. In: Ebejer M, ed. Current practices in infant feeding. Fremont, MI: Gerber products company. pp.25-32
  21. Mennella JA, Turnbull B, Ziegler PJ, Martinez H (2005):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early flavvvor experiences in Mexican infants: An intracultural study. J Am Diet Assoc 105: 908-915 https://doi.org/10.1016/j.jada.2005.03.008
  22. Sullivan SA, Birch LL (1994): Infant dietary experience and acceptance of solid foods. Pediatrics 93(2): 271-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