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ning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Daycare Centers for Toddler

영아반 보육실습 체험에 대한 의미

  • 천혜정 (숙명여대 평생교육원 아동학학점은행제) ;
  • 서영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0.04.30
  • Accepted : 2010.06.1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s during their toddler educaring practicum and what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are. A narrative study on practicum experiences was conducted with four junior students wh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university in Seoul. The experiences of prospectiv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for toddler were diverse. Such diverse experiences allowed teachers to find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toddler and to learn what being a teacher was like. And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attitude toward practicum and becoming toddler care and education teachers following improved understanding about the lives and development of toddlers and care-giving and teaching skills. The meaning of toddler educaring practicum was explained as building justification for existence and essential identity through continuous self-reflection, and experiencing happiness of caring and teaching toddlers. During the practice, they also learned that teachers in charge of toddlers should understand their lives, provide child friendly and stable environments, and be receptive and sensitively respond to them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developmental levels. Student teachers realized that their role was to give loving care and to have sincere concern about the lives of toddler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실습에서 예비보육교사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어,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의 A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4명의 보육실습 체험을 8개월간 수집한 내러티브 연구이다.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의 체험은 개인마다 다양하였으며 실습을 통하여 교사가 되어가는 것의 가치와 영아에 대한 이해, 영아보육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고 있다. 영아반보육실습의 의미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자기존재를 확인하고 교사로서 자신을 돌아보는 자기성찰의 태도를 통하여 자기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고, 가르치는 일에 행복함을 체험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은 영아들의 삶에 진정으로 마음을 다하여 함께 하는 돌봄의 자세임을 알아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소희 (2003). 열정의 교육 서사를 향한 시론: 예술가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1), 29-74.
  2. 김숙령, 김선희, 육길나, 조숙진 (2006). 영아와 교사의 집단 활동 상호작용에 있어서 영아교사의 민감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4), 125-150.
  3. 김희연, 정선아 (2006). 어린이의 삶의 관점에서 본 유아보육. 교육과정의 본질: '발달'과 '교과'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5), 355-376.
  4. 박은혜, 이은화. (1998). 반성적 사고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지도. 교과교육학연구, 2(1), 187-204.
  5. 박지완 (2001). 유아교육 및 보육실습 실태와 실습생의 인식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해선 (2005). 예비교사가 인식한 유치원 교육실습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보건복지가족부 (2010). 2010년 보육사업안내.
  8. 백혜리 외 (2006). 보육과정. 서울: 창지사.
  9. 서영숙(2007). 보육학개론. 양서원.
  10. 안효진 (2005). 교육실습상황에서 실습교사들이 느끼는 갈등과 그 의미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5(3), 289-309.
  11. 염지숙 (1999).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3), 57-82.
  12. 염지숙 (2003). 유아교육실습: 유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사교육, 20(2), 223-248.
  13. 오문자 (1999). 귀 기울임(listening)에 기초한 교육: 현장사례발표회. 한국 레지오 연구회.
  14. 오종숙 (2003).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 사상과 그 실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유연화, 최경애, 오애순 (2004). 보육실습교사가 경험한 실습유형에 따른 보육실습실태. 영유아보육연구, 37, 47-66.
  16. 윤연숙 (2004). 유급 '아동 보살핌(Child caring)' 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명순 (2000). 유치원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의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성은 (1995). 교사들이 경험하는 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교육행정학 연구, 13(1), 83-207.
  19. 이혁규, 심영택, 이경화 (2002). 초등 예비 교사의 실습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6(1), 141-197.
  20. 정기섭 (2002). 교육현실과 교육학. 서울: 문음사.
  21. 조부경, 고영미 (2004).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유치원과의 협력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24(3), 47-76.
  22. 조부경, 김정화 (2005). 유아교육실습. 서울: 학지사.
  23. 조부경, 김정화 (1999). 유아교사양성대학 전공강좌에서의 이론과 교수 경험 통합 사례 . 한국교사교육, 16(2), 101-126.
  24. 최명선 (2005). 해석학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5. 현정환 (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31.
  26. Bae, S. Y. (1990). Student teachers' thought proces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27. Beasley, M., Thompson, T., & Davidson, J. (2003). Resilience in response to life stress: the ffects of coping style and cognitive hardi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1). 77-95.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027-2
  28. Carr, D. (1986). Time, narrative, history. B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29. Carson, T. R. (1997).교육현상의 재개념화-현상학, 해석학, 탈현대주의적 이해-(허숙, 유혜령 편.). 서울: 교육 과학사. (원저 1995 출판)
  30. Clandinin, D. J., & Connelly, F. M.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9005002
  31.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lishers.
  32. Fein, G. G. (1994). Preparing tomorrow's inventors. In S. G. Goffin, & D. E. Day(Eds.), New perspectiv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3. Goffin, S. G., & Day, D. E. (1999). 유아교사교육의 새로운 접근 (조부경 . 김정미 역.). 서울: 양서원 (원저 1994 출판)
  34. Guyton, E., & McIntyre, D. J. (1990). Student teaching and school experiences. In W. R. Houston, M. Haberman, & J. Sikula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p. 541-534). New York: Macmillan.
  35. Knowles, J. G., & Cole, A. L. (1994).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yes: Exploring field experience through narrative and inquiry. New York: Macmillan College Publishing Company, Inc.
  36. Koehnecke, D. S. (2000). Innovations in teacher preservice programs. ERIC, ED 444957.
  37. Lazarus, R. S. (1976). Patterns of adjustment. New-York: McGraw-HIl.
  3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39. MacIntyre, A. (1981).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Notre Dame, I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40. Polkinghorne, D. E. (1988).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1. Robin, A. W. (2004). Personnel preparation: Using student perspectives to enhance early childhood practicum experiences(Unpublished docteral dissation, University of Kansas). Digital Dissertations on UMI, No. 3185244.
  42. Wood, E, F., & Geddis, A. N. (1999). Self-conscious narrative and teacher education: Representing practice in proffessional course work.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5(1), 107-119.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