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ing Improvement Priorities of Barrier Free Components for Beaches through M-IPA

M-IPA를 이용한 해수욕장 Barrier Free 환경조성 요소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

  • Choi, Seo-Yeo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 Lee, Seok-Hwa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 Shin, Kang-Wo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Received : 2010.10.18
  • Accepted : 2010.12.1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A number of cities are committed to enhancing the barrier-free (BF) environments. However, no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BF environment design concept by accounting for the universal BF components, which should be improved for providing both disabled people and non-disabled people with better BF environments. With this challenge in mind, this study determines the improvement priorities of BF components for beaches in the city of Busan by investigating the results of satisfaction survey, which was administered to disabled and non-disabled visitors. The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IPA) results show that "sanitation facilities" are the universal BF components having the highest improvement priority. The analysis results also indicate that "access facilities" have the second highest improvement priority for disabled people while "amenity facilities" have the second highest improvement priority for non-disabled people.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suggested improvement priorities of BF components can be used for policy makers to develop more flexible plans when designing the BF beach.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시설을 장애물 없는 (barrier free, BF)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장애인만을 주 분석대상으로 BF 환경 조성요소들을 도출한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선요소와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고려한 BF 환경조성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수욕장을 이용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BF 환경 조성요소들에 대한 만족도를 변형된 중요도-만족도 분석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적용하여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통개선요소인 "위생시설"의 개선이 가장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며, 장애인을 대상으로는 "매개시설"의 개선이, 비장애인을 대상으로는 "편의시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대상 해수욕장시설 이용 시 장애가 되는 요소들이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BF 생활환경 조성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통개선요소와 각 이용자별 개선요소를 제시함으로서 BF 관련 정책수립과 예산책정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박광재.정현정.강지혜.이주형, "일본베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도시공원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23권, 제12호, pp. 95-102, 12월, 2007.
  2. 강병근.성기창.박광재.김상운.김인순.이규일.강태성.이기정.노지혜, "궁.능.유적기관의 장애인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 16권 1호, pp. 7-16, 2월, 2010.
  3. 강병근.윤영삼.김은경, "장애인 및 노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한 교통광장의 실태평가", 대한주거학회 논문지, 통권 254호, pp. 53-60, 2009.
  4. 강준모.이건록, "Barrier Free 인증 모의평가를 통한 보행자도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9권 제1호, pp.101-110, 2009.
  5. 고치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 도시정보, 통권 제 317호, pp. 22-26, 2008.
  6. 조민정.최상헌, "노인요양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5권, 제3호, pp. 21-30, 8월, 2009.
  7. 이호성.최찬환.이특구, "무장애 주택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65-74, 2월, 2010.
  8. 국토해양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제도 시행지침, 2008.
  9. 국토해양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arrier Free)인증심사기준, 2008.
  10. 김태호.도화용.원제무,, "M-IPA분석을 이용한 버스서비스 지표 개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호, 제9권, pp. 1724-1738, 2008.
  11. 김태호.손상호.박제진, "M-IPA를 이용한 장애인과 일반인 지하철 이동시설 만족도 비교 연구",한국토목학회논문집, 제29호, 제6권, pp. 703-709, 2009.
  12. 김태호.하종문.임종문.박제진,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수상택시 이용자 서비스지표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9호, 205권,pp. 587-595, 9월, 2009.
  13. 박창선, "공공업무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1권, 제3호, pp. 41-49, 11월, 2005.
  14. Martilla,J. and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1997.
  15. Nunally,J.C Phychometric Theory. New York : McGraw-Hill.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