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하우스에서 분변토와 부식산의 혼합시용에 대한 열무의 생장반응

Growth response of young raddish on the application of the mixed material of vermicast and humic acid in the green house

  • 투고 : 2010.09.06
  • 심사 : 2010.09.24
  • 발행 : 2010.09.30

초록

비닐하우스에서 지렁이 분변토와 부식산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토양에 시비하였을 때 열무의 생육특성 및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조사하였다. 10a 당 분변토 300kg(d.w.)에 고상 부식산 0, 5, 10, 15, 30, 50kg(a.i.)을 각각 혼합하여 시비하였으며, 관행퇴비 시비(600kg/10a)구와 무처리구를 두었다. 분변토가 시비된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엽수, 엽장, 엽폭, 엽의 생체중, 뿌리 길이, 직경, 뿌리의 생체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변토+부식산이 시비된 처리구에서 열무 생육은 관행 시비의 경우와 대등하거나 그보다 상회하였다. 10a 당 분변토 300kg(d.w.)에 부식산 5kg을 혼합하였을 때 열무 엽의 생체중은 무처리의 1.79배, 뿌리의 생체중은 2.08배로 10kg 이상의 부식산을 혼합한 경우나 관행시비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분변토와 부식산을 시비한 토양에서 열무를 수확한 후에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green house, the effect of the mixed material of vermicast and humic acid on the growth of young raddish was investigated. 5, 10, 15, 30 or 50 kg(a.i.) of solid type humic acid was mixed with 300kg(d.w.) of vermicast/10a, each of which was applicated to the soil. And the conventional treatment(600kg of conventional organic fertilizer/10a) and untreatment plot were rendered for comparison. In all the experimental plots treated with vermicast, the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leaf biomass, root length, root diameter, root biomass of young raddish were higher than those in untreated plot. And in the experimental plots treated with the mixed materials of vermicast and humic acid, growth rate of young raddish was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ly treated plot. Fresh biomass of leaves per leol' raddish in the plot treated with 300kg of vermicast + 5kg of humic acid was 1.79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untreated plot and fresh biomass of root was 2.08 times higher, which was much more effective in its growth rate than that in any other treated plots. There were no prominent changes i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fter the leol' raddish harvest from the soil treated with vermicast and humic acid, though.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산학협동재단

참고문헌

  1. 이주삼, 정재춘, 조익환, "제지슬러지와 우분의 혼합비율이 붉은지렁이의 생육과 분립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폐기물학회지, 9(2), pp. 19-26 (1992).
  2. 최훈근, 유기성슬러지 처리에 있어서 지렁이를 이용한 퇴비화 슬러지급이와 사육조건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박사 학위논문 (1992).
  3. Edwards C. A., and "Bochlen P. J., Biology and Ecology of earthworm", Chapman and Hall, p. 426 (1996).
  4. 이필원, 이주삼, "Plant Growth Media로서 지렁이 분립이 Orchardgrass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7, pp. 179-188 (1999).
  5. 윤오섭, 이범재, 윤부석, "분변토가 토양 및 작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폐기물학회지, 18(5), pp. 427-433 (2001).
  6. Szczech M.M., "Suppressiveness of vermicompost against fusarium silt of tomato", J. Phytopathology, 147, pp. 155-161 (1999). https://doi.org/10.1111/j.1439-0434.1999.tb03822.x
  7. 최훈근, 류제근, 토양생물 '지렁이'를 이용한 폐기물 활용, 심광출판사 (2001),
  8. Atiyeh R.M., Aracon N.Q., Edwards C.A. and Metze J.D., "The influence of earthworm processed pig manure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marigolds. Bioresource technology", 81, pp. 103-108 (2002). https://doi.org/10.1016/S0960-8524(01)00122-5
  9. 배선옥, 박권, "오이의 생육, 수량 및 무기성분함량에 미치는 부식산의 영향", 한국원예학회 논문 발표 요지, 제 6권 1호 pp. 70-71(70-71).
  10. Fabrizio A., Pierluigi G., Patrizia Z. and Graziano A., "The effect of commercial humic acid on tomato plant growth and mineral nutrition", J. of Plant Nutrition, 21(3), pp. 561-575(1996).
  11. 김홍기, 서동철, 정용화, 강창순, 손보균, 이도진, 강종구, 박문수, 허종수, 김봉수, 조주식, "부식산의 사용이 토마토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26(4), pp.313-318 (2007).
  12. Atiyeh R. M., Lee S., Edwards C.A., Arancon N. Q., Metzger J. D., "The influence of humic acids derived from earthworm-processed organic wastes on plant growth", Bioresource technology, 84, pp 7-14 (200). https://doi.org/10.1016/S0960-8524(02)00017-2
  13. Arancon, N. Q., Lee, S., Adwards C.A., Atiyeh, R., "Effects of humic acids derived from cattle, food and paper-waste vermicomposts on growth of greenhouse plants", Pedobiologia, 47, pp. 741-744 (2003).
  14. Arancon N.Q., Adwards C.A., Lee S., Byrne R, "Effects of humic acids from vermicomposts on plant growth". European J. of Soil Biology, 42, pp. S65-S69 (2006). https://doi.org/10.1016/j.ejsobi.2006.06.004
  15. 김태일, 송준익, 양참범, 김민균, "돈분퇴비화 중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구명", 동물자원학회지, 46(2), pp.261-272 (2004).
  16. 농촌진흥청,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진청농업과학기술원, p.202 (2000)
  17.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조영일, 고동환, 고미라, "제주지역에서 지렁이분(100%) 유기질비료 시비량 차이에 따른 열무의 생육반응 및 수량 변화" 한국초지학회지, 23(2), pp.93-99 (2004)
  18. 송창길, 조남기, 조익환, 강봉균, 고미라, 박성준, "제주지역에서 지렁이 분 시비량의 차이가 식용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2(1), pp. 93-99 (2004)
  19. 박성준,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현해남, 조영일, "지렁이분 시비가 잡초의 침입과 벤트그라스 잔디초지에 미치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25(2), pp.211-216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