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 전처리시스템(MBT)의 동역학적 수치해석 및 모델링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FD Modelling and numerical analysis for MSW in MBT system

  • 투고 : 2010.09.09
  • 심사 : 2010.09.25
  • 발행 : 2010.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간접흡입식 풍력선별기의 모델에 대하여 폐기물의 선별특성을 전산유체역학적인 방법으로 고찰하여 폐기물 모델에 대한 적정한 항력계수 및 흡입풍속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개발중인 풍력선별기는 송풍기를 설치하여 공기를 사이클론 후단에서 흡입하는 방식으로 선별 폐기물이 송풍기 회전차를 통과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흡입구의 특성 및 배관의 압력손실이 선별효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풍력선별기를 이용한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의 공기역학적 특성에 대한 사전연구가 필수적이다. 비닐의 경우 약 0.8~1.0 내외의 항력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캔은 압축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0.2~0.7의 범위에 있다. 풍력선별기의 흡입유속에 따른 선별효율은 약 25~26 m/s의 흡입유속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얻었다. 흡입구의 형상, 이송덕트의 배관방법에 따라 압력손실이 발생하여 흡입유속이 변화하므로 표준화를 통해 적절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model of the indirect wind suction waste sorting machine for characteristics of the screening of waste was studie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the drag coefficient for the model and the suction wind speed were obtained. The wind separator are developing by installing a cyclone air outlet to the suction blower impeller waste is selective in a way that does not pass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let pipe of the pressure loss and separation efficiency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ing Wind separator for selection of waste in the waste prior research on the aerodynamic properties are essential. For plastic cases, it is reasonable to take the drag coefficient between 0.8 and 1.0, and for cans, compression depending on whether the cans, the drag coefficient is in the range from 0.2 to 0.7.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waste as change suction speed was the highest efficiency when the suction speed was 25~26 m/s. Shape of the inlet, depending on how the transfer pipe of the duct pressure loss occurs because the inlet velocity changes through the appropriate design standards to allow for continued research is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건주, "생활쓰레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연소속도론적 연구", 유기물자원화, 15(3), pp.135-142(2007).
  2. 환경부, "2006 환경백서", pp. 112 (2006).
  3. 수도권 매립지관리공사, "생활폐기물 처리방법 및 시설의 다변화를 위한 연구조사", pp. 25-45 (2005).
  4. "제3차 전국 폐기물 조사", 국립환경 과학원 pp.25 (2007).
  5. 윤오섭, 폐기물 처리기술, pp. 17-37 (1999)
  6. A. W. Larsen, H Merrid, J. Moller, T.H. Christensen, "Waste collection systems for recycle : An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sessment for the municipality of Aarhus", Waste Management 30, pp. 363-369 (2010).
  7. Junifer,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A Guide for Decision Markets Process", Policiesand Markets (2005)
  8. Defra, Waste Implementation & MBT (2005).
  9. 서용권, 강상모, 서이수, "전산 유체역학" 동아대학교 출판
  10. Anst, "AnsysCfx Training", pp. 26-22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