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Trends of Elderly Housing - Focused on Journal Papers since 1990 -

노인주거 연구 경향 분석 - 1990년 이후 국내 학회지논문을 중심으로 -

  • 류현주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양세화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0.05.28
  • Accepted : 2010.09.03
  • Published : 2010.10.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housing research trends by dividing both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through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elderly housing. We drew four major conclusions through this research. First, in general, the research activities for elderly housing has been conducted actively since 2000 to begin in earnest after 1990.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related with the reform of welfare laws for the elderly in 1993, with the change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e increase of social interest in elderly people's lives. Second, early studies had been started to focus on elderly home residents if we look into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research methods. In 1993, The Elderly Welfare Act was reformed by the government and then researches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were also increased by a permission of government to run private elderly welfare facilities for making profit. This movement caused to expand research targets from general elderly people to their families, facility staffs and experts. Third, in case of research contents past studies were mostly conducted on the space planning and its actual situation. However, current studies are made under diverse viewpoint with the increase of elderly housing and elderly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reforms of laws and changes of resident's perception. Fourth, because of rapid transition to an aging society the studies of elderly housing were influenced by the changes of policies and social consciousness.

Keywords

References

  1. 곽인숙 (1998). 노인이 인지하는 주거문제와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3), 95-110.
  2. 권순정 (1999). 한국 노인요양시설의 공급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5(9), 47-59.
  3. 권순정.김광현 (1998). 일본 노인요양시설의 발전 및 건축적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10), 55-64.
  4. 권오정 (1994). 노인주거를 위한 건물의 재사용과 거주자의 만족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5(1), 9-16.
  5. 권오정 (2000). 치매성 노인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과한 연구(I).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1(2), 25-36.
  6. 권오정 (2000). 치매성 노인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과한 연구(II).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1(3), 109-124.
  7. 권오정.김대년.최정신.이옥경 (2002). 치매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의 그룹홈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97-111.
  8. 김광문.정태우.김현호 (2000). 치매노인 요양시설의 공간계획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7(11), 97-106.
  9. 김대년.최정신.조명희.권오정 (2000). 개발이념을 중심으로 본 스웨덴의 치매 노인용 그룹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7), 1-10.
  10. 김민규 (2009). 노인주거단지의 외부공간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10), 153-160.
  11. 김성건 (2006). 노인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12. 김성한.강건희 (2002). 노인전문병원의 주요부문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7), 27-34.
  13. 김현진.이경락.안옥희 (2000). 노인주택의 평가항목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1(3), 75-86.
  14. 문수영.황은경 (2005), 연구경향 분석을 통한 노인복지시설 연구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학술발표논문집, 16, 375-378.
  15. 문창호 (2002). 미국 노인주거시설의 건축적 특성과 경향 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5), 11-18.
  16. 문창호 (2003).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건축계획기준에 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2), 19-26.
  17. 박신영.지은영.최은희.한수진 (2006). 고령자의 주거선호 다양성과 정책적 함의. 노인복지연구, 34, 81-104.
  18. 박희진.양세화.오찬옥 (2003). 노인시설의 단위주거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2(1), 44-51.
  19. 배창진 (2001). 노인복지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13, 173-192.
  20. 변혜령.정미렴.김대년.윤영선 (2008). 노인요양시설에 관한 국내연구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2), 93-103.
  21. 보건복지부 (2006), 통계청 자료 및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대비 심층분석.
  22. 서승희.이경희 (1994). 노인의 주거이동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41-49.
  23. 성명옥 (1998). 일본 노인서비스 주거의 실태분석. 노인복지연구, 1, 253-275.
  24. 성명옥 (1999). 노인의 집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 53-78.
  25. 성명옥 (2000). 노인의 집 운영의 활성화 방안. 노인복지연구, 7, 97-123.
  26. 신경주.황은주 (1996). 실비노인요양시설의 실태 및 거주자 만족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8), 83-93.
  27. 신경주.곽인숙.조재순.최정신 (1994). 노인주거관련 연구의 한.미.일 비교(I). 한국주거학회논문집, 5(1), 1-7.
  28. 신순호.최승영 (2001). 노인주택정책의 실상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18, 33-53.
  29. 신영숙 (2002). 내 집과 같은 노인 시설주거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III). 대한가정학회지, 39(12), 141-158.
  30. 신화경.이준민 (2008). 고령사회 노인주거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5-25.
  31. 양금석 (2002). 노인전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생활행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9), 96-104.
  32. 양금석 (2003). 치매전문요양시설 공간이용의 시계열적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1), 15-24.
  33. 양내원.유영민 (1998). 최근 독일 노인 의료시설의 공급 체계와 시설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4(7), 47-55.
  34. 양세화.박희진.오찬옥 (2003). 노인시설주거의 커뮤니티구성에 대한 요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3), 67-76.
  35. 오찬옥 (2004). 치매노인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5), 59-67.
  36. 오찬옥 (2008). 그룹홈과 공유주택개념을 중심으로 본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주거대안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3), 59-70.
  37. 오찬옥.양세화.양세정 (2000). 노인가계의 주거비 지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10, 47-60.
  38. 오찬옥.이연숙 (1993). 중년층의 배경변인에 따른 노인주거특성에 대한 선호. 한국주거학회논문집, 4(1), 29-38.
  39. 오혜경.홍이경.김현지 (2004). 미국 노인주거시설의 공간 구성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107-115.
  40. 유병선.홍형옥 (2005). 영국.미국.일본의 노인공동생활주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27-38.
  41. 유영민 (1999).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5(9), 97-106.
  42. 유영민.양내원 (1998). 우리나라 노인의료시설의 유형과 시설현환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4(7), 31-38.
  43. 유은영.김문덕 (2004). 노인복지회관의 서비스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6), 3-11.
  44. 유혜생 (2003). 한국의 노인주거정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45. 윤정숙.김한나.신수영.강지혜 (2007).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노인주거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4), 9-15.
  46. 은민균 (2009). 노인주거복지시설 계획방향설정을 위한 수요자 요구조사 및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3), 27-36.
  47. 이경희.장온정 (1991). 단독가구노인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225-240.
  48. 이근홍 (1999). 노인의 경로당 이용만조도와 운영 개선방안. 노인복지연구, 5, 95-124.
  49. 이시영 (2008). 노인주거시설 외부공간의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2, 379-406.
  50. 이연숙.이소영.김미선.이정화.곽윤정 (2007), 국내 노인주거환경계획 분양 연구의 흐름 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7(2), 77-85.
  51. 이윤희.이연숙 (2004). 한국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주거 환경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129-140.
  52. 이재모 (2004). 노인의 경로당 이용특성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5, 101-120.
  53. 이진혁.임창복 (2005). 도시형 유료노인복지시설의 동향과 건축계획적 제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3), 11-22.
  54. 이현정 (2006). 싱가포르의 노인주거복지정책 및 노인주택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1), 135-142.
  55. 임춘식 (2002).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효율적인 운영 개선방안. 노인복지연구, 15, 73-89.
  56. 임춘식.김근홍.김문석.이근홍.이인수 (2006). 서울시 경로당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노인복지연구, 31, 313-343.
  57. 장입현.최성재 (1991). 노인복지학. 서울대출판부.
  58. 전명숙.강순주 (1992). 노인주거 계획에 관한 이론적 접근.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6), 15-26.
  59. 전명숙.조현경.강순주 (1992). 노인주거에 관한 중년층의 주요구. 대한가정학회지, 30(4), 121-136.
  60. 전은경외 5인 (2000). 울산지역 노인의 의.식.주생활 실태조사. 노인복지연구, 8, 121-147.
  61. 정명섭.이근택 (2001). 노인주거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2(4), 83-92.
  62. 정무웅.정기남 (1996). 노인연구 경향 연구동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11), 51-61.
  63. 정미숙 (2007). 고령화시대 노인주거정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서울.
  64. 정순주.박용환 (1999).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생활영역 형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5), 29-36.
  65. 조성희.이태경 (2005). 예비노인의 노후상활별 주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6(4), 9-16.
  66. 조재순.신경주.곽인숙.최정신 (1995). 미국의 노인주거 관련 연구 경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3-18.
  67. 지은영.홍형옥 (2002). 노인주거 연구의 접근방법과 쟁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137-147.
  68. 최정신.곽인숙.신경주.조재순 (1996).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한국주거학회논문집, 7(2), 45-56.
  69. 최정신.이언폴슨 (1997). 치매노인을 위한 스웨덴의 구룹홈. 한국주거학회논문집, 7(2). 45-56.
  70. 통계청 (2009), 2008 고령자 통계.
  71. 현외성.민말순 (2003). 노인복지시설의 유형별 선호입지 분석. 노인복지연구, 22, 243-265.
  72. 홍형옥 (1999). 한국의 지역사회통합형 노인주거의 대안적 모색. 주택연구, 7(2), 75-91.
  73. 홍형옥 (2002). 노인의 지역사회보호에 있어서 주거관리의 역할과 쟁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51-67.
  74. 홍형옥.유병선.전경화 (2004). 노인계획주거 대안선택 집단에 따른 특성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1), 129-136.
  75. Beyer, G. H. (1955). Houses are for people, N.Y.: Cornell University Housing Research Center, in Meeks, Carol B, 1980, Housing, Prentice-Hall, Inc.
  76. Chui, E. (2001). Doomed Elderly People in a Booming City: Urban Redevelopment and Housing Problems of Elderly People in Hong Kong, Housing, Theory and Society, 18, 158-166. https://doi.org/10.1080/14036090152770528
  77. Cutler, V. A. (1947). Personal and family values in the choice of a home, Cornell University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Bulletin 840, N.Y.: Cornell University, in Meeks, Carol B, 1980, Housing, Prentice-Hall, Inc.
  78. Izuhara, M. (2000). Change Family Tradition: Housing Choices and Constraints for Older People in Japan, Housing Studies, 15(1), 89-110. https://doi.org/10.1080/02673030082496
  79. Piet, H. (1997). Challenge in the Modernization of Dutch Housing and care for the Elderly, Housing Studies, 12(3), 355-366. https://doi.org/10.1080/02673039708720901
  80. Teo, P. (1997). Space to Grow Old In: The Availability of Public Spaces for Elderly Persons in Singapore, Urban Studies, 34(3), 419-439. https://doi.org/10.1080/0042098976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