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urvey of Requested Contents for Living Safety Web DB

생활안전 Web DB 구축을 위한 콘텐츠 요구조사에 관한 연구

  • 임동현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진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0.10.11
  • Accepted : 2010.11.02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For improving social safety, It is important to build Web DB of criminal prevention and open to the public. It could be help to mitigate social damage of crimes and accidents. In this study, the main goal is to analyze and apply the applicable contents from user demands studies and case studies for a domestic life safety Web DB. For this study 31 cases of international life safety Web DB were collected and analyzed. Customer participation style of Web service was reviewed. And demand survey for crime weakness group like students, and young women was examined. As a results people needed to know the un-safety area in their usual life and their ways; school to home, work to home. While creating the Web DB for domestic life safety, user content according to different economic status and publicity for Web DB proved to be important factors.

사회적 안전을 강화하기 위하여 범죄예방을 위한 Web DB의 구축을 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범죄로 부터의 위험성을 경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지역사회의 생활안전 웹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용자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31개의 외국 생활안전 웹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으며 사용자 참여 스타일의 웹 서비스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와 여성과 같은 범죄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일상적인 생활 및 통학, 통근 경로의 위험지역을 추출하였다. 지역사회의 생활안전 웹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는 경제적 상황 및 공공성 관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은혜, 강석진, 이경훈 (2008)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기법 적용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2), 127-138.
  2. 김미연, 박찬훈, 최진원 (2008) 건설문화박물관의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1),19-27.
  3. 이유미 (2008)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범죄피해경험율과 범죄로부터 의 안전성(Safety)평가 지표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Vol.19. No2.
  4. 김태동 (2006) 건설정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웹 사이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5. 한국인터넷진흥원 (2005) 2005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6. 김진욱, 강부성 (2004) 건축 웹 서비스 형태분석 및 사용자 인식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0(11), 139-146.
  7. 강석진, 이경훈 (2004)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의 활성화와 단지내 범죄피해경험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 권 3호, pp. 71-78.
  8. 고영헌, 민권홍, 강지훈외 (2007) 초고층 건설정보 통합 웹 데이터베이스 모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323-326.
  9. 양경숙 (2004), Spss최적범주형자료분석, Spss 아카데미 교재 출판팀.
  10. 이기완, 최재필 (2000) 공간분석이론을 통한 방어공간 연구의 이론적 고찰,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제20권 2호 pp. 363-366.
  11. 정무웅, 김선필 (1997) 주거환경의 상황적 특성 및 범죄발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단독주택지역의 주택침입범죄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권 8호, pp. 95-108.
  12. 이경훈 (1994), 도시주거단지의 주거절도 예방을 위한 계획적 방안에 대한 고찰, 국토계획학회지, 제29권 제4호 pp. 235-253.
  13. 김양, 양동양 (1988) 대도시 주택단지 건물 및 근린시설의 이용행태에 따른 반달리즘에 관한 연구-1,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권 1호, pp. 143-150.
  14. 박제동 (1980) 교정시설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9호, pp.43-50.
  15. 野公宏 (2005) 2005WebGIS を活用した犯罪發生情報提供システムの開發と住民意識の分析, 日本建築學會論文集, 597, pp. 135-140.
  16. 雨宮 護, 樋野 公宏 (2007.11) "英米における 防犯まちづくり の理論の系譜と近年の動向, 日本都市計劃學會, No.6, pp. 100-107.
  17. Oscar Newman (1972)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Architectural press, p. 264.
  18. Saville, G, and Cleveland, G. (1997) 2nd generation CPTED: An antiodote to the social Y2K virus of urban design, 1998 International CPTED Association Conference.
  19. Tim Hope (1995) Crime and Justice, Vol. 19, Building a Safer Society: Strategic Approaches to Crime Prevention, pp. 21-89.
  20. Wekerle, G.R. and Whitzman, C. (1995), Safe cities, John Wiley & Sons, p.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