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A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 - Case Study on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

  • 허윤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Hue, Youn-Su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8.24
  • 심사 : 2010.11.23
  • 발행 : 2010.12.31

초록

초등학교 옥외공간은 어린이의 가장 가까운 생활공간이자 교육공간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새로운 역할과 방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의 시선과 요구에 맞춘 공간 조성은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이러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의 도출과 적용 과정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에 의한 설계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관련 연구 및 관련 법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아동참여디자인 과정 모형을 구축한 후, 서울 돈암초등학교 옥외공간 설계에 적용하였다. 스스로의 의견을 제안하고 표현하는 데에 미숙한 어린이가 쉽게 참여디자인 과정에 참여하고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흥미로운 도구와 게임 방법 등을 포함하여 디자인 과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은 흥미유발 및 대상지 인지단계, 기대파악 및 표현단계, 계획요소도출 단계, 공간구상 및 공간배치단계, 의사결정 및 최종계획안 도출단계 등의 5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서울 돈암초등학교 옥외공간의 계획 및 설계 과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 중심의 설계와 전문가 중심의 설계는 그 디자인 목표가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결과물보다는 디자인 과정에 의미를 두고 가시적으로 보이는 물리적인 디자인의 개선뿐만 아니라 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비물리적인 디자인의 개선을 기대한다. 즉, 참여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시설물 개선 및 배치계획 제안이라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참여와 관심이라는 소프트웨어를 모두 개선하여 어린이가 바라는 초등학교 만들기의 초석을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하여 과정 모델의 형태로 제시하였다는 점과 이 과정을 대상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적용하여 설계에 반영하였으며, 이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참여의식과 주체의식, 주인의식과 책임의식을 고양시킴으로써 어린이가 주체가 되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을 조성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The outdoor space of an elementary school is the most familiar and most educational area for children.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has demanded a new role and direction for these outdoor spaces. The construction of children-friendly spaces, however, lags behind. The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is very meaningful at a time when many outdoor spaces have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varied and specific demands of children. This study realized the necessity for a design that includes a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in construction the outdoor space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reference study and a theoretical approach of related laws, this study established a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model and applied it to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The design process included playing games and providing interesting tool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suggesting and presenting their opinions more freely. The design process of this study is described in five steps(eliciting interest in and recognition of the target space, Understanding children's expectations and the expressing thereof, Establishing factors for planning, Visualizing and arranging spaces, and Decision-making and building a final design plan). This process was appli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an outdoor space for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design of the participators and experts have a different purpose. Thus, the process of the design has more meaning than the final produc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n improvement in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designs will be seen. Using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his study successfully improved the facilities and arrangement planning of an outdoor space. At the same time, it also enhanced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kind of school they desi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suggested an effective model to reflect the demands of children, the true users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results we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outdoor planning and designing. This study enhanced the awareness of school members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school's outdoor sp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1990)국민학교 건축계획의 모형연구.
  2. 교육과학기술부(2006)교육통계.
  3. 김아연(1997)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설계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금,이규목(2003)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 31(5):73-85.
  5. 김인호(2002)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인호,김귀곤(1998)환경교육의 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한국환경교육학회 환경교육 11(1):195-2
  7. 김정호(1992)학교조경의 실태분석과 개선방향탐색을 위한 연구:서울시 중학교를 중심으로.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진모,임수영(2007)교육시설의 공간구성과 이용방법에 관한 연구: 일본과 미국의 1970년대 이후의 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44-51
  9. 김혜정(2004)김해 덕정초등학교 계획설계 연구.한국교육시설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21-38.
  10. 문태헌,정경석,성한욱(2004)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한 웹기반 협력적 도시계획모형 개발.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7):23-36.
  11. 안현찬(2007)주민-전문가간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참여디자인 과정과 도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준선(2005)공립초등학교 리모델링의 경향분석 및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서울시 사례 중심으로.한국교육시설학회지 12(2):14-2
  13. 임승빈(2007)환경심리와 인간행태.서울:보문당
  14. 장대희,김현수(2004)초등학교 외부공간의 환경친화적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9):245-252
  15. 정석(1988)그들이 하는 삶터 디자인과 우리 디자이너의 새 역할.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태영(2000)컴퓨터를 활용한 주민참여설계.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세환,김태현(2004)초등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학교조경 실태분석: 서울시 사례연구.한국조경학회지 32(1):127-13
  18. Al-Kodmany,K.(1999) Using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enhancing public participation in planning and design : proces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5:37-45 https://doi.org/10.1016/S0169-2046(99)00024-9
  19. Creighton, James L.(2005)The Public Participation Handbook : Making Better Decisions through Citizen Involvement. San Francisco : Jossey- Bas
  20. Eriksen, A. (1985) Playground Design : Outdoor Environments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NewYork :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21. Hall, Kenneth B. and Gerald A. Porterfield (2001) Community by Design : New Urbanism for Suburbs and Small Communities. McGraw- Hill
  22. Hart, R.(1997) Children's Participation. New York : Unicef
  23. Hester, Randolph T., Jr. (2006) Design for Ecological Democracy. Boston: MIT Press.
  24. Hunter, J., J. Layzell and N. Rogers (1998) School Landscapes : A Participative Approach to Design. London : Hampshire County Counci
  25. Piaget, J. and B. Inhelder (1975) Die Entwicklung der Raumlichen Denkens Beim Kinde.Stuttgart : Emst Klett Verlagss.
  26. Sanoff, Henry (2000)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in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 John Wiley& Sons Inc.
  27. Wates, Nick (2000) The Community Planning Handbook. London : Earthsc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