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구조별 열쾌적성 평가와 열환경 개선방안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 투고 : 2010.07.29
  • 심사 : 2010.11.15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는 도시 소공간의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공간 구조별 열특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도심 내 위치한 고려대학교 캠퍼스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지 내에 공간 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장소에서 열환경을 조사하였다. 기상장비를 활용한 미기상 및 바이오 기상 측정, 어안렌즈 촬영사진(Fish-eye lens photography)를 활용한 공간구조 및 특성 분석, 그리고 온도나 습도와 같은 기상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활용한 열쾌적성 모델링의 순서로 공간의 열환경 및 인체 열쾌적성을 분석하였다. 열환경 평가 결과, 인체 열쾌적성의 정도는 캠퍼스 공간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건물이나 수목 등에 의해 위요된 폐쇄형 공간 유형에서 개방형 공간 유형에서 분석된 평균 복사온도, PMV, PET 지수보다 더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목과 건물에 의한 태양복사열의 차단 및 그림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간을 계획할 때 개방성이나 통풍성을 높이기 위한 수목의 배치를 고려하고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바닥포장이나 건물 외장재 종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 공간의 이용자가 실제적으로 느끼는 열쾌적성의 정도를 정량화하고 이를 평가함으로써 이용자를 고려한 공간계획 방안을 제안하였다.인체 열쾌적성을 평가하는 정량적 평가 방법 및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 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uman thermal comfort by spatial structure and to explore solutions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of a small urban space. The study site was Korea University campus. Thermal condition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thermal environment in each type of space within the study site. Micrometeorology measurements, analysis of space characteristics for using fish-eye lens photography, and thermal comfort modeling through the use of collected meteorological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rmal comfort for humans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s of space within the study site. Thermal comfort is better in open spaces than enclosed in the aspect of radiative mean temperature, Predicted Mean Vote(PMV), and Physiologically Equivalent Temperature(PET). This fact is probably due to shadows or buildings or trees that may block solar radi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atial arrangements of buildings and trees to enhance openness and ventilation in the space. Paving materials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s should also be selected to lower the radiant temperature. Given these results, a quantitative evaluation on human thermal comfort could propose a way to plan user comfortable small urban spaces. Study methods used and results provided in the study can promote a better way for urban space planning direction to improve environmental qu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학열, 김운수(2003) 서울시 도시기온 변화에 관한 모델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3):74-82.
  2. 박사근, 장길수, 송민정, 신훈 (2006) 건축외장재의 일사표면온도와 흡수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81-86.
  3. 박인환, 장갑수, 김종용, 박종화, 서동조 (2000) 대도시에 있어 냉섬의 유형별 온도 완화 효과 : 대구광역시의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8(1): 11-18.
  4. 송영배 (2007) 바람통로 계획과 설계방법 : 건강도시를 위한 기후환경계획. 서울 : 도서출판 그린토마토.
  5. 여인애, 카마타 요코, 이정재, 윤성환 (2009) 건물군 조건이 도시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량적 검토.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1):180-183
  6. 오규식, 홍재주 (2005)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 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도시설계학회지 6(1):47-6
  7. 윤성환, 정선영(2009) 공동주택의 주동형상 및 배치유형에 따른 여름철 옥외 열환경 예측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5(9):321-328
  8. 윤용한,박봉주,김원태,박선영(2008)공원녹지의 토지피복비율과 기온 간의 요인분석.한국환경과학회지 17(5):485-491
  9. 이은주 (2006)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열쾌적성과의 관련성 연구 : 서울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조현길, 안태원 (2006) 도시 수목식재와 미기후 개선의 상관성 구명.한국조경학회지 27(4):23-2
  11. 조현길,안태원 (2009) 도시기온에 작용하는 입체적 토지피복의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7(3):54-60.
  12. 조현길,안태원,김한수,정응호(2009)옥외공간 열쾌적성과 건물 에너지절약을 위한 녹지계획지표 연구.2009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10-13.
  13. 주창훈(2008)도시녹지의 토지피복현황이 온열쾌적감과 감성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한갑수,윤영활,조현길(2005)천공사진을 이용한 도시경관의 분석 및 평가.한국조경학회지 33(4):11-21
  15. 한승호,류남형,강진형(2006)조경용 투수성 블록 포장의 열환경 특성.한국조경학회지 34(2):18-25.
  16. Givoni,B. (1998) Climate Considerations in Building and Urban Desig.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
  17. ISO(2005) EN-ISO 7730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Geneva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8. Kusch, Wolfgang, Fong, HwangYoung, Gerd Jendritzky and Ingo Jacobsen (2004) Guidelines on biometeorology and air quality forecasts. WMO, No.1184.pp.3-6
  19. Lee,H.-Y. (1993) Anapplication of NOAA AVHRR thermal data to the study of urban heat islands. Atmospheric Environment 27B(1): 1-13
  20. Matzarakis, A (2009) Ray Man Pro. University of Freiburg.
  21. Matzarakis, A. and H. Mayer (1998) Investigations of urban climate's thermal component in Frieburg, Germany.13th Conference on Biometeorology and Aerobiology. Albuquergue, USA : American Meteorology Society
  22. Matzarakis, A., F. Rutz and H. Mayer (2006) Modelling the thermal bioclimate in urban areas with the RayMan model. The 23th Conference on Passive and Low Energy Architecture. Geneva, Switzerland : Passive and Low Energy Architecture.
  23. Mayer, H., S. Kuppe, J. Holst, F. Imbary and A. Matzarakis (2008) Human thermal comfort below the canopy of street trees on a typical central European Summer Day, 5th Japanese & German Meeting on Urban Climatology. Freiburg, Germany : Meteorological Institute, Albert-Ludwigs-University of Freiburg.
  24. Taha, H., S. Konopacki and S. Gabersek (1999) Impacts of large scale surface modifications on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energy use : A 10-regionmodelingstudy.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62: 175-185. https://doi.org/10.1007/s007040050082
  25. http://map.naver.com
  26. GerdJendritzky(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