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a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도서생물지리설의 관점에서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비교

  • Received : 2010.09.20
  • Accepted : 2010.10.10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describes that the number of species on an island affected by island area and distance from the mainla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invertebrates in three isolated islands, around Korean waters in terms of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Macro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using a modified underwater quadrat in August 2009. A total of 104 macrobenthic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399 individuals $m^{-2}$ and biomass of 1,506.70 g $m^{-2}$. Based on the abundance and biomass data, there were 10 dominant specie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67.17% of total individuals. The highest densities were found in the amphipoda Amphipoda spp., the bivalvia Modiolus agripetus and Mytilus coruscus, the Sipunculida Phascolosoma scolops and the polychaeta Syllidae unid.. On the contrary, the top ten species made up 95.66% of the total biomass while the three most abundant, the bivalves M. coruscus, Streostria circumpicta and M. agripetus. The conventional multi-variat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pplied to assess spatial variation in macrobenthic assemblages.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2 station groups. The group 1 was consisted with Gageodo (except for lower station at Transect 2) and Dokdo station and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Eunice antennata and Syllidae unid., the cirripedia Megabalanus rosa and the bivalvia M. coruscus. However, group 2 was associated with Sohwado station and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anomura Petrolisthes japonicus, the gastropoda Lirularia pygmaea and the brachiopoda Coptothyris grayi.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three isolated island seemed slightly related to island area and distance from the mainland.

본 연구는 가거도, 소화도 및 독도해역에 대한 2009년 8월의 조하대 암반조사를 통해서 해양생태계의 중요 구성생물 중의 하나인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생물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도서생물지리설(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의 관점에서 3개섬에 서식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의 유사성 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04종, 7,176개체(399 inds. $m^{-2}$)와 27,120.68 g (1,506.70 g $m^{-2}$)이었다. 연체동물류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에 있어서 각각 전체의 44.23%, 41.19% 및 90.32%를 점유하여 가장 우점하는 생물군이었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와 생체량을 근거로 상위 10위까지의 우점종을 선정하였다. 개체수에 기초한 상위 10위 우점종들이 차지하는 밀도는 4,820개체로 전체의 67.17%를 점유하였다. 특히 절지동물 갑각류의 미동정 옆새우류(Amphipoda spp.)와 연체동물 이매패류의 개적구(Modiolus agripetus)는 각각 1,580개체, 22.02%와 1,228개체, 17.11%를 점유하여 단일 종으로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생체량에 있어서도 상위 우점종들이 나타내는 생체량은 25,942.80 g으로 전체의 95.66%를 차지하였다. 이 가운데 이매패류의 홍합 (Mytilus coruscus)과 태생굴(Striostrea circumpicta)은 각각 15,167.64 g과 4,781.16 g을 나타내 55.93%와 17.63%의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그룹 1에는 가거도 정선 2의 하부 수심 정점을 제외한 가거도와 독도의 모든 정점이 포함되었고, 그룹 2는 이를 제외한 정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해역에서 갑각류의 미동정의 옆새우류, 바다대벌레류 및 성구동물의 상어껍질별벌레(Phascolosoma scolops)가 공통적으로 우점하였다. 이를 제외하면, 그룹 1에서는 다모류의 고리털갯지렁이(Eunice antennata), Syllidae unid., 갑각류의 만각류에 속하는 빨강따개비(Megabalanus rosa) 및 홍합의 밀도가 높았다. 반면 그룹 2에서는 갑각류의 집게류에 속하는 갯가게붙이(Petrolisthes japonicus), 연체동물 복족류의 햇살밤고둥 (Lirularia pygmaea) 및 완족동물의 세로줄조개사돈(Coptothyris grayi)이 대표적인 생물이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출현 종수는 소화도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거도와 독도의 순이었다. 각 해역의 면적과 육지와의 떨어짐 정도를 기초로 도서생물지리설에 근거하면, 연구해역에서의 생물다양성은 도서생물지리설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잘 부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제은, 홍선기. 2007. 도서의 경관생태학적 이해 - 섬생물지리학의 이론과 적용-. 도서문화. 30:30-54.
  2. 김훈수, 최병래. 1981. 을릉도 및 독도의 해양 무척추동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193-200.
  3. 독도해양수산연구회. 2003. 독도 인근 해역의 환경과 자연적 가치. 시그마프레스.
  4. 박흥식, 강래선, 명정구. 2002. 독도 연안 암반에 서식하는 초대형 저서동물의 수직분포와 산업종의 현존량 추정. Ocean and Polar Res. 24:457-464. https://doi.org/10.4217/OPR.2002.24.4.457
  5. 승영호. 1992.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한국해양학회지. 27:324-331.
  6. 이지은. 2000. 독도의 갯지렁이상과 분포. 대구효성카톨릭대 대학원 이학석사학위청구논문. 52pp.
  7. 제종길, 강래선, 명철수, 이종수, 이시완, 신상호. 1997. 독도의 해양저서생물상(예보). 수중과학기술. 1:67-80.
  8. 제종길, 최광식, 이영돈, 고동범, 김병일. 2002. 우리바다 해양 생물. 도서출판 다른세상, 서울. 391pp.
  9. 차재훈, 제종길, 김기태. 2000. 을릉도∙독도 조간대 저서동물의 계절적 변이에 대한 연구. 수중과학기술. 2:1-7.
  10. 최병래, 박중기, 이종락. 1996. 을릉도.독도의 해산 연체동물. 자연실태종합보고서. 10:353-411.
  11. 최세웅. 2000. 한반도 도서지역 나비 종 수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에 관한 연구 -섬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최고 고도의 역할-. 환경생물. 18:237-246.
  12. 최진우, 현상민, 김동성, 김웅서. 2002. 한국 동해 독도 주변 천해 및 사면해역의 대형저서동물군집. Ocean and Polar Res. 24:429-442. https://doi.org/10.4217/OPR.2002.24.4.429
  13. 해양수산부. 1998. 독도해양환경.수산자원보존을 위한 기초연구. 독도해양.수산연구회. 544pp.
  14. 홍병규, 손민호, 서인수, 김미향, 이해원, 최영민, 전영렬. 2008. 독도 연체동물상에 대한 추가 종 보고. 한국패류학회지. 24:199-203.
  15. 홍재상. 1981. 독도의 해양저서생물상의 잠수관찰. 한국자연 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229-236.
  16. 환경처. 1994. '93 자연생태계 지역 정밀조사 보고서- , 소흑산도.
  17. 환경부. 1999.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제3차년도-, 소흑산도.
  18. 환경부. 2000.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전라남도 완도군 II.
  19. Choe BL and JR Lee. 1996. Opistobranchus (Mollusca: Gastropoda) from Ullung and Dog-do Islands, Korea. Korean J. Zool. 37:352-376.
  20. Choi IY, BK Hong, KA Jeon and MH Son. 2006. Echinoderm fauna of Dokdo, Korea. J. Fish. Sci. Technol. 39(Special Issue):231-235.
  21. Coen LD, MW Luckenbach and DL Breitburg. 1999. The role of oyster reefs as essential fish habitat: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nd some new perspectives. In Fish habitat: essential fish habitat and rehabilitation (LR Benaka ed.). American Fisheries Society Symposium, Bethesda, Malyland. 22:438-454.
  22. Harper EM. 1991. The role of predation in the evolution of cementation in bivalves. Paleoontology 34:455-460.
  23. Hong BK, MH Kim, JN Kim and KA Jeon. 2006. Decapod crustaceans of Dokdo Island, Korea. J. Fish. Sci. Technol. 39(Special Issue):252-258.
  24. Kim HS. 1978. Faunistic study of arthropods on Island Dokdo in Korea. Nature Conservation (Seoul) 23:13-15.
  25. MacArthur RH and EO Wilson. 1963. An equilibrium theory of insular zoogeography. Evolution 17:372-387. https://doi.org/10.2307/2406169
  26. MacArthur RH and EO Wilson. 1967.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27. Son MH and SY Hong. 1992. A catalogue of marine molluscs of Dokdo Island. Pub. Island. Res. Soc. Korea 1:71-88.
  28. Son MH, BK Hong, SY Hong, KA Jeon and CH Moon. 2004. Report of twenty five additional molluscan species from rocky inter- and subtidal area of Dokdo Island, Korea. Korean J. Malacol. 20:135-140.
  29. www.dokd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