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 State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for the Wetlands of the Tributaries around Namgang-River

남강 주변 습지의 보전 현황과 보전 대책

  • 하혜정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오경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Received : 2010.11.19
  • Accepted : 2010.11.2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abiotic factors and the vegetation naturalness of the 13 tributary wetlands around Namgang-River were assess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and to present the conservation counter plan for the wetland ecosystem of the tributaries. Assessment indices for the abiotic factor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dominant land use types of the riparian zone, ecological function of the upper levee, levee slope structure, artificiality and utilization intensity of the waterfront, artificiality of the revetment structure, diversity of the substrate, and severance of the transverse. The assessment index of Omi-cheon is the highest among 13 tributaries. The second was Banseong-cheon and third was Hyangyang-cheon, followed by Nabul-cheon and Yeongcheon-gang and Sugok-cheon, Jungchon- cheon, and Daegok-cheon in their order and Munsan-cheon got the lowest assessment index. Assessment indices for the vegetation naturalnes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vegetation diversity, exotic species dominance, annual herb dominance, naturalness and peculiarity of the vegetation, and species diversity. The assessment index of Omi-cheon is the highest among 13 tributaries. The second was Sugok-cheon and third was Banseong-cheon, followed by Yeongcheon-gang, Jungchon- cheon, Jinae-cheon, Nabul-cheon, and Jisu-cheon in their order, and Yonga-cheon got the lowest assessment index. The grades of the stream naturalnes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the naturalness indices for the abiotic factors and the vegetation naturalness. The grades of Omi-cheon is the highest among 13 tributaries as the grade I. Those of Banseong-cheon, Sugok-cheon, Yeongcheon-gang, Nabul-cheon and Jungchon-cheon, Hyangyang-cheon, Jinae-cheon, Jisu-cheon, Daegok-cheone, and Munsan-cheon and Doksan-cheon were grade II in their order, and Yonga-cheon got the lowest as the grade III. It was suggested that restoration of the simple and flat substrate, create the natural vegetation on the levee slope constructed with concrete or stone wall, and rehabilitation of the eco-bridge were demanded to improve the grades of the stream naturalness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tributaries for the diverse aquatic wildlife, high vegetation diversity and species diversity with the vegetation consisted of perennial herbs and trees.

남강 본류로 유입되는 경상남도 진주시 관내에 소재한 13개 지류에서 습지의 보전 현황을 평가하고 우수한 습지생태계를 발굴하며 인위적인 훼손과 오염으로부터 습지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보전 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습지생태계의 생물 서식지로서의 물리적 특성과 식생의 자연도를 조사하였다. 지류 주변의 토지 이용, 제방상단의 생태적 기능, 제방 사면의 구조, 둔치의 인공화 정도 및 이용 강도, 호안의 인공화 정도, 하상 재료의 다양성, 하천의 횡단 구조물 등으로부터 산정한 물리적 특성의 자연도 평가지수는 오미천이 가장 높고 반성천, 향양천, 그리고 나불천, 영천강 및 수곡천, 중촌천, 대곡천 등의 순이었으며, 문산천이 가장 낮았다. 식생의 다양성, 외래종의 우점면적, 1년생 초본의 우점면적, 현존식생의 자연도 및 특이성, 종다양성 등으로부터 산정한 식생자연도의 평가지수는 오미천이 가장 높고, 수곡천, 반성천, 영천강, 중촌천, 지내천, 나불천, 지수천 등의 순이었으며 용아천이 가장 낮았다. 물리적 특성과 식생 자연도의 평가지수로부터 산정한 하천 자연도는 오미천이 I등급으로 가장 높고, II등급인 반성천, 수곡천, 영천강, 나불천 및 중촌천, 향양천, 지내천, 지수천, 대곡천, 문산천 및 독산천 등의 순이었으며, 용아천이 III등급으로 가장 낮았다. 지류의 습지생태계를 복원하여 하천의 자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전대책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희, 이팔홍, 손성곤, 김철수, 오경환, 남강의 연 안대 습지에서 교란지와 비교란지의 식생구조 와 환경요인의 비교, 한국습지학회지, 제3권, 제1호, pp. 1-17, 2001.
  2. 길혜경, 김동건, 정상우, 신일권, 조강현, 우효섭, 배연재, 경기도 경안천에서 소형 보의 철거 이 후에 변화된 저서형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85-393, 2007.
  3. 김성봉, 신효중, 복원비용을 통한 습지의 가치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제8권, 제2호, pp. 83-92, 2006.
  4. 김수진, 하천식생 평가법의 개발과 적용, 인하대 석사학위 논문, 2006.
  5. 김종오, 남강유역 하천 수질 및 유량. 진주시 남강 유역 생태계 조사 및 보존 대책 수립 조사보고서, pp. 197-231, 2001.
  6. 김혜수, 생태적 복원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서 한국 하천의 자연도 평가, 서울여자대학교 석사논문, pp. 61, 2009.
  7. 김홍배, 안경수, 자연형 도시하천의 식생 및 어류 다양성과 특성 평가, 한국습지학회지, 제8권, 제2호, pp. 53-64, 2006.
  8. 남정길, 자연생태계 보전 및 환경복원을 위한 자연 친화형 하천정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98, 2004.
  9. 농림부,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통계연보, 농촌기반공사, 2006.
  10. 박익수, 자연형하천 복원을 위한 도시 중.소하천의 하천자연도 평가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1. 박진원, 서울지역 도시하천의 식생현황과 하천 자연도 평가,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자연형 하천으로의 정비방안 연구, pp. 125-131, 1996.
  13. 송종석, 안상홍,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검암 습지): 식생, 환경부, pp. 250-281, 2004.
  14. 안홍규, 우효섭, 김규호,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곡릉천 곡릉 2보 철거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 11권, 제2호, pp. 40-54, 2008.
  15. 안홍규, 우효섭, 윤병만, 조강현, 단절된 하천생태 통로의 복원.-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 및 부분 개보수를 통하여, 한국습지학회지, 제6권, 제4 호, pp. 15-24, 2004.
  16. 이경보, 김창환, 김종구, 이덕배, 박찬원, 나승용, 만경강 본류의 자연정화능력 향상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한국환경농학회지, 제22권, pp. 153-165, 2003.
  17. 이두한, 손민우, 대형 인공하천실험을 이용한 생태 수리학 연구 소개. 일본 자연공생센타를 중심으로, 한국습지학회지, 제6권, 제1호, pp. 5-15, 2004.
  18. 이창석, 수변식생 자연도 조사 및 평가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pp. 14, 2008.
  19. 이팔홍, 하천변에 분포하는 버드나무속의 생장 특성과 군집 동태, 경상대 박사학위 논문, pp. 186 p, 2002.
  20. 이팔홍, 김태근,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해평 습지): 식생, 환경부, pp. 19-72, 2004.
  21. 임동욱, 조원철, 최현우,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 습지의 식물자원, 한국습지학회지, 제11 권, 제2호, pp. 17-28, 2009.
  22. 조용현,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 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53-85, 1997.
  23. 조형진, 우효섭, 이진원, 조강현, 도시 하천 양재천 에서 복원후 하안식생의 변화, 한국습지학회지, 제10권, 제3호, pp. 111-124, 2008.
  24. 조형진, 홍일, 여홍구, 조강현, 본류와 폐천의 식물 상과 식생분포의 비교, 한국습지학회지, 제11 권, 제1호, pp. 65-73, 2009.
  25. 조홍제, 윤종춘, 계층분석과정기법(AHP)을 이용한 하천자연도평가법 개선, 한국습지학회지, 제11 권, 제3호, pp. 21-35, 2009a.
  26. 조홍제, 윤종춘, 하천자연도를 이용한 자연형하천 대안 선정기법, 한국습지학회지, 제11권, 제3 호, pp. 71-80, 2009b.
  27.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소방방재청, 수해복구사업 업무추진 종합지침(2009 수해복구 추진지침), 소방방재청 복구지원과, pp. 101, 2009.
  28. 표재훈, 하천 환경생태공간 정보화를 통한 통합적 하천자연도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68, 2009.
  29. 한건연, 김지성, 백진규, 박홍성, 하천에서 천변저 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pp 223-236, 2005.
  30. 한국수자원공사, 하천자연도 평가지침 업무메뉴얼, pp 9-20, 2003.
  31. 한승주, 김현우, 김해란, 김혜주, 한동욱, 박상규, 유영한, 하천변 버드나무군락의 1차순생산량, 유기탄소 흡수량과 낙엽분해, 한국습지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15-22, 2010.
  32. 환경부, 하천 복원 가이드 라인, G-7 국내 여건에 맞는 자연형 하천공법 개발 연구팀, pp. 136-138, 2002.
  33. 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 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구보고서 (III) 수 생태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국립환경과학원, pp. 306-321, 2007.
  34. Barbour, M.G., Burk, J. H., Pitts, W.D., Terrestrial Plant Ecology, The Benjamin/ Cummings Pub. Co., pp. 156-160, 1987.
  35. Barbour, M.T., Jeristen J., Synder B.D., Stribling J.B.,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1999.
  36. Braun-Blanquet, J.,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ated by G. D. Fuller and H. S. Conard, 1965), Hafner Publishing Co., New York & London, 437pp, 1932.
  37. Dorn, R.D.. A synopsis of America Salix., Can. J. Botany, Vol. 54, 2769-2789, 1976. https://doi.org/10.1139/b76-297
  38. Lee C.S., Cho Y.C., Shin H.C. Moon J.S., Lee B.C., Bae Y.S., Byun H.G., Yi H., Ecological Response of Streams in Korea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Water Engineering Research, Vol. 6, No. 3, pp. 131-147, 2005.
  39. Mitsch, W. and Gosselink, J., Wetland.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3.
  40. Otto J.M., Nation Building, and Social Tension in Egypt. In: Designers of Development; Intellectuals and Technocrats in the Third World. B. Galjart and P. Silva (Eds.). Research School CNWS, Leyden, pp. 107-128, 1995.
  41. Salinas, M.J., Guirado, J., Raparian plant resstoration in summer-dry riverbeds of Southeastern Spain, Res. Ecol. Vol. 10, pp. 695-702, 2002. https://doi.org/10.1046/j.1526-100X.2002.01050.x
  42. Vannote R.L., Minshell G.W., Sedell J.R., Cushing C.E.,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Vol. 37, No. 1, pp. 130-137, 1980. https://doi.org/10.1139/f8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