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Vehicle and Pedestrian Environments using Grey System Theory

Grey System Theory를 이용한 차량 및 보행환경 통합평가

  • 이진각 ((주)로드코리아 기술본부) ;
  • 손영태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 한상진 (한국교통연구원 기후변화대응센터) ;
  • 박진영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물류전략연구본부) ;
  • 이상화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0.03.22
  • Accepted : 2010.07.23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In this paper, understanding there is a limitation with a comprehensive and network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existing vehicle and pedestrian environments, the authors focus on develop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assessing these environments. The network evaluation here means the assessment at a three-dimensional level that includes evaluation methods of lines/axes in a spatial concept as well as integr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being used for vehicles and the walking environment. Grey System Theory (GST) was appli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network and comprehensive integrated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vehicle and pedestrian environment was performed by assigning target areas to walking preference zones.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analysis by GST, even if the service level is the same as the operating indicators (Highway Capacity Manual) of the vehicle and pedestrian environment, or relatively bett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total score could be varied over Grey Category because the observed data are calculated after considering the weights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by the range of Grey Category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Considering comprehensively these points, although the indicators on the operation of roads are relatively good, in the event that the indicators on the safety of roads are bad, it was known that the scores over Grey Category also could be changed. The result is that this evaluation method can be used to evaluate the network concept per lane (per axis) as well a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by type of urban street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차량 및 보행환경의 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방식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고려하는 평가 방법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여기에서의 통합적인 평가라 함은 차량환경과 보행환경에서 쓰이고 있는 수단별 평가 지표에 대한 통합과 더불어, 공간적 개념에서 선/축의 평가방식을 포함한 면적인 차원의 평가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평가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Grey System Theory(GST)를 적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보행우선구역 시범사업지로 하여 차량 및 보행환경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GST에 의한 종합평가 및 분석결과, 같은 서비스수준 또는 상대적으로 차량 및 보행환경의 운영지표상(도로용량편람)에서는 보다 양호한 상태라 할지라도 관측된 데이터가 Grey Category 범위에 따라 통합 평가시에는 평가지표 간 가중치 등이 고려되어 산정되었기에 Category 상에서의 종합점수는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도로운영상의 지표들이 상대적으로 좋다고 하더라도 안전상의 지표들이 나쁠 경우에는 그에 따라Grey Category상의 점수들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본 평가방법을 통해 향후 도시가로 형태별로 현재 상태를 진단할 뿐 아니라 노선별(축별), 면적인 개념에서의 평가와 더불어 평가지표간 통합평가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 "도로용량편람".
  2. 국토해양부(2008, 2009), "보행우선구역 시범사업지 설계보고서".
  3.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8), "교통사고 잦은 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5. 한국개발연구원(2008), "도로.철도 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5판.
  6. 이재길(1993), "가로망 평가를 위한 지표와 평가수법에 관한 연구", 교통정책, pp.61-68.
  7. 장우교(1994), "Grey System 이론을 이용한 기계상태의 경향예측", 대한기계학회 9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1), 대한기계학회, pp.630-634.
  8. 박종호(1997), "도시가로공간의 특성과 보행환경 질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9. 정헌영.정준영.김승룡(1998), "도로교통환경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도로평가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 Vol. 6. No 1.
  10. 김경환.김종복(1999), "보행 서비스 수준에 대한 국내 보행자의 평가", 경상대학교 생활기술연합논문집 14권, pp.151-161.
  11. 김연금(1999), "주거지역의 보행환경이 인지거리 및 보행환경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2.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2002),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49-156.
  13. 노만영(2003), "소가구와 대가구 가로망의 교통효율성 비교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건영.김형철.오승훈(2004), "주거지역 이면도로의 보행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2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197-205.
  15. 김태호.이수일.원제무.김용식(2004), "보행 잔여신호기 도입에 따른 보행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9권 1호, pp.263-272.
  16. 임진경.신혜숙.김형철(2004),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4권 제5-D호, 대한토목학회, pp.723-728.
  17. 김경환.박상훈.김대현(2006), "퍼지근사추론을 이용한 보행 서비스수준 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6권 제2-D호, 대한토목학회, pp.241-250.
  18. 김용석.최재성(2006), "보행자와 자동차를 동시에 고려한 도시 가로의 균형적 계획 및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55-64.
  19. 이군상(2007), "택지개발 예정지구내 적정가로망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20. 김용석(2007), "용도지역 특성을 반영한 도시 보도 설계기준 정립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김태호(2008), "지속가능한 보행환경을 위한 보행자 네트워크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원제무.하오근(2009), "주거지역 도로망 평가지표 개발",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2호 pp.3-10.
  23. 이진각.손영태(2009), "Gray System Theory를 이용한 도시가로 특성별 통합평가 방법 개발 -보행우선구역 시범사업지를 대상으로-", 제61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803-808.
  24. John J. Fruin, Ph.D.(1987),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ELEVATOR WORLD, INC.
  25.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2000), "Highway Capacity Manual".
  26. Little, R. J. A..Rubin D. B.(2002),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 Second Edition, New York : Wiley.
  27. Wen, K.-L.(2004), "Grey System : modeling and prediction", Yang's Scientific Press.
  28. Sifeng Liu.Yi Lin(2006), "Grey Information,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Springer.
  29. Land Transport New Zealand(2007),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Guide".
  30. Geo H. Huang.Brian W. Baetz.Gilles G. Party(1994), "Grey Dynamic Programming for Waste-Management Planning under Uncertainty",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Vol. 120, No 3, September, ASCE, pp.132-156. https://doi.org/10.1061/(ASCE)0733-9488(1994)120:3(132)
  31. Wong Wing-gun(1999), "Grey Evaluation Method of Concrete Pavement Comprehensive Condition", Journal of Transportation, Vol 125, No. 6, November/December, ASCE, pp.547-551.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1999)125:6(547)
  32. Ni-Bin Chang.S. C. Teh.G. C. Wu(1999), "Stability analysis of grey compromise programming and its application to watershed land-use plan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 Science, Vol. 30, No. 6, pp.571-589. https://doi.org/10.1080/002077299292092
  33. Chang, W. C.(2000), "A Comprehensive study of grey relational generating", Journal of Chinese Grey System 3, pp.53-62.
  34. Ghaug-Ing Hsu.Yuh-Horng Wen(2000), "Application of Grey theory and multiobjective programming towards airline network desig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 Research Vol. 127, Issue 1, 16 November, Elsevier. pp.44-68. https://doi.org/10.1016/S0377-2217(99)00320-3
  35. John. S. Miler.Jeremy A. Biglow, and Nicholas J. Garber(2000), "Calibrating Pedestrian Level- of-Service Metric with 3-D Visualization", TRR 1705.
  36. Jaskiewicz, F.(2000),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ased on Trip Quality", Transportation Research Circular, TRB.
  37. Bruce W. Landis, VenKat R. Vattikuti, Russell M. Ottenberg, Dougls S. McLeod, Martin Guttenplan(2001), "Modeling the Roadside Walking Environment a Pedestrian Level of Service", TRB No. 01-0511.
  38. Sheila Saker(2003),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fort Needs in Urban Walkways in Major Activity Centers", TRB Annual Meeting.
  39. Yi Lin, Sifeeng Liu(2004),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Grey Systems Theory", 2004IEEE
  40. Huang, C.-C..Lee, H.-M.(2004), "A Grey Based Nearest Neighbor Approach for Missing Attribute Value Prediction", Applied Intelligence 20, pp.239-252. https://doi.org/10.1023/B:APIN.0000021416.41043.0f
  41. Thambiah Muraleetharan(2004), "A Study on Evaluation of Pedestrian Level-of-Service along Sidewalks and Crosswalks using Conjoint Analysis", Journal of Infrastructure Planning,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1 No 3, pp.727-735.
  42. J Li(2004), "Performance Evaluation of Signalized Urban Intersections under Mixed Traffic Conditions by Grey System Theory:, Journal of Transportation, Vol. 130, No. 1, January 1, ASCE, pp.113-121.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2004)130: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