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lor Incongruity on Brand Attitude: Moderating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컬러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 Lee, Sang Eun (Woosong Univ. and Kangwon Univ. and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Hongik University) ;
  • Kim, Sang Yong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 이상은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 우송대학교, 강원대학교) ;
  • 김상용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Received : 2009.08.10
  • Accepted : 2009.12.04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In this research, through experiments, we show that incongruity of color between mediums has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itude in terms of integrated management of brand. We also present that self-image congruence of 'brand-consumer' has moderating effect on such influence of color incongruity. Mediums were limited to the ones that magnifying visual influence in order only to observe influence of color. With the same reason, visual factors other than color were coherently set or held constant and we chose brands with either low familarity or no previous knowledge. As a result, we find that brand attitude by the incongruity of color between mediums was higher compared to brand attitude by the congruence of color. In case with lower self-image congruence of brand-consumer we show higher change in attitude compared to the one with higher self-image congruence of brand-consumer. We believe our findings are interesting to note that brand may be enhanced by forming positive brand attitude through brand expression i.e., color of visual factors. In addition, we suggest that level of congruence and diversity of brand expression is in fact deeper or wider than that of brand manager's intuition. We see that it is possible for studying brands the incongruity which has been studied as a strategy to reposition mature brands can be a way of improving the recognition on new brands.

본 연구는 통합적 브랜드 관리에 있어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소비자 자아 일치성이 이 영향에 조절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가정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매체는 컬러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각적 영향이 부각되는 매체로 제한하였으며, 컬러 이외의 시각적 요인은 일관되도록 하였고, 브랜드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브랜드, 브랜드에 대한 이전의 지식이 없는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에 따른 브랜드 태도는 컬러의 일관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소비자의 자아일치가 낮은 경우에 높은 경우보다 태도의 변화가 높게 나타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이 결과는 브랜드의 관리적 요소로서 브랜드 표현, 즉 시각적 요인 중 컬러를 통하여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브랜드 관리자의 직관에 의지하던 브랜드 표현의 일관성과 다양성의 수준이 일반적 의식보다 더 폭넓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고, 이전의 연구에서 성숙브랜드(mature brand)를 리포지셔닝 repositioning)하는 전략으로만 연구되었던 불일치를 신생 브랜드의 인지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그 범위를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