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High Viscous Modified Asphalt Binder for Porous Asphalt Pavement

배수성 포장용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개발

  • 김형석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현종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광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연구개발실) ;
  • 김형배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Received : 2010.02.10
  • Accepted : 2010.04.21
  • Published : 2010.06.15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laboratory and field performance tests on the polymer modified asphalt binder and mixtures developed in this study for porous asphalt pavements. Various physical and mechanical laboratory tests including DSR and BBR tests are performed for two types of modified binders, and one type of binder is selected based on the binder testing results. Mix designs are conducted for the selected asphalt binder and a Japanese modified binder, respectively. Various performance tests including fatigue tests, wheel tracking tests, and moisture susceptibility tests are conducted for the domestic and Japanese porous asphalt mixtures.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overal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mixture are similar to or better than those of the Japanese mixture. Based on the laboratory testing results, the domestic porous mixture is applied to a field test section. Periodic field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noise level and air voids with time. The road noise analysis shows that the noise levels of the porous pavement keep increasing and, after two years, are similar to those of SMA pavements.

본 연구는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에 사용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개발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및 혼합물의 실내 및 현장 공용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개질 아스팔트 2종에 대한 DSR, BBR 및 다양한 바인더 시험을 실시하여 공용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1종의 개질 아스팔트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개질 아스팔트와 기존에 일본에서 사용되는 개질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각각에 대하여 배합설계를 실시하고,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을 생산하여 실내 공용성을 비교하기 위해 휠트래킹 시험, 수분손상 시험, 피로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용특성 측면에서 국산의 개질 아스팔트가 일본 개질 아스팔트와 비슷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내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시험시공을 실시하였고, 추적조사를 통하여 시간에 따른 공극률과 소음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공 초기에는 배수 및 소음 저감 능력이 우수하였으나 2년이 경과한 후 소음 저감 능력이 감소하여 SMA 포장과 비슷한 수준의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원, 박태순, "배수성포장(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로포장공학회지, 제2권 3호
  2. 건설교통부(2002)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 연구", 1단계 2차년도.
  3. 이현종, 김현준, 옥창권, 김형배. (2003) "SBS 개질 아스팔트를 사용한 SMA 혼합물의 실내 공용성 평가"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23, 35-41
  4. KS F 2374, 역청 포장 혼합물의 휠 트래킹 시험 방법.
  5. Brown Et al. (1998) Design Stone Matrix Asphalt Mixtures. NCAT, USA
  6. ASTM D 4867 (1988), "Standard Test Method for Effect of Moisture on Asphalt Concrete Paving Mixtures", ASTM Designation : D4867
  7. NCHRP 284 (2000), "Performance Survey on Open-Graded Friction Course Mixes"
  8. Asphalt Institute(1994), Superpave Performance Graded Asphalt binder Specification and Testing, Asphalt Institute Superpave Series No.(SP-1)
  9. AASHTO MP1-93, "Specification for Performance Graded Asphalt Binder"